•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도시 베이비붐 세대의 농촌이주 사유

대도시 거주 베이비붐 세대의 과거의 거주지 이전 사유를 살펴보면, 베이비붐 세대의 생애주기에 따라 청소년기 이전에는 부모의 이사에 따른 이주, 20세 이상 의 청장년기에는 취업, 그리고 30세 이후에는 가족 등을 위한 주택마련과 입주 등이 주요한 이주사유가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단위 : %) 구 분 1950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전체 직 장 0.0 0.9 12.0 37.9 34.0 23.0 16.8 25.5 주 택 0.0 15.7 33.8 35.7 54.0 63.0 65.5 42.5 학 업 8.2 9.6 18.5 7.5 2.8 4.5 4.4 8.0 부모의 전근‧전직 등 87.8 69.3 32.3 6.4 1.4 0.9 0.0 15.7 가족‧본인 등 요양 2.0 0.9 1.2 2.3 2.1 5.2 9.7 2.6 결 혼 2.0 0.4 1.0 8.0 3.3 0.3 0.0 3.4 기 타 0.0 3.3 1.2 2.1 2.4 3.1 3.5 2.3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주 : 응답비율이 높은 6개 사유를 기준으로 함.

<표 3-15> 대도시 베이비붐 세대의 시대별 이주사유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지난 55여 년 동안 대도시 거주 베이비붐 세대가 거 주지를 옮긴 사유로서는, 주택(42.5%)이 가장 높은 응답비율을 보이고, 이에 이어

직장(25.5%), 부모의 전근‧전직‧이사(15.7%)가 그 뒤를 잇고 있다.(<표 3-15> 참

구체적인 이주계획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서는, 상대적으로 집안 농사일이나 가 업의 승계(2.2%)와 농사일(1.5%)이 높은 응답비율을 보인다. 그리고 50대 전반에서 는 펜션‧민박 등 농촌에 대한 투자(1.8%)에 대한 응답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 징을 발견할 수 있다. 수도권 거주자의 경우는 도시생활 불편(20.5%)과 주거‧생활 비(10.8%), 비수도권 거주자는 농촌생활 선호(67.0%)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 지하는 특성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표 3-16> 참조).

대도시 거주 베이비붐 세대의 농촌이주 목적과 관련하여, 도시 거주 베이비붐 세대의 농촌 흡인요인의 창출과 강화를 위해서는, 전원‧휴양‧여가를 위한 쾌적 한 공간의 조성과 함께 유급 노동기회, 지역사회 공헌 기회 등을 통한 일자리 창 출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농촌으로 이주하려는, 대도시 거주 베이비붐 세대 의 69.1%가 본인 및 배우자의 노후 전원‧휴양‧여가 활동 영위를 위해서라고 응 답하고 있다. 이에 이어 농어촌 공동체 사업조직에의 참여를 통한 일자리 구득과 지역사회 공헌을 위해서가 15.6%로 높게 나타난다.(<표 3-17> 참조).

(단위 : %) 구 분 노후 전원· 휴양·여가 일자리 구득과 지역사회 참여 농수산생산 활동 등 서비스업펜션‧농원 소상공인(도소매) 기타 베이비붐 세대 69.1 15.6 8.1 5.7 1.5 0.0 100.0

이주계획 67.9 12.7 11.2 8.2 0.0 0.0 100.0

40대 후반 68.0 16.4 8.4 5.7 1.2 0.2 100.0 50대 전반 70.1 12.8 8.3 6.6 2.3 0.0 100.0 50대 후반 70.2 18.6 5.0 6.2 0.0 0.0 100.0

수도권 67.2 16.0 8.2 6.7 1.7 0.2 100.0

비수도권 71.2 14.9 7.4 5.5 1.1 0.0 100.0

<표 3-17> 대도시 베이비붐 세대의 농촌이주 목적과 희망 활동

구체적인 이주계획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서는, 상대적으로 농림수산물 생산‧

가공‧판매 등 지역에서의 직접적인 생산 활동 종사(11.2%), 음식점‧숙박업‧펜션

‧체험농원 경영 등 지역에서의 서비스업 종사(8.2%)에 대한 응답비율이 높게 나

타나는 특징을 보여준다. 그리고 은퇴하였거나 은퇴가 임박한 50대 후반의 경우 는, 농어촌 공동체 사업조직에의 참여를 통한 일자리 구득과 지역사회 공헌을 위 해서(18.6%), 50대 전반의 경우는 마트‧슈퍼, 시장점포 경영 등 지역 소상공인으 로서의 도소매‧유통업 종사(2.3%)에 대한 응답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성 차 이를 찾을 수 있다.(<표 3-17> 참조).

2. 농촌공간의 선호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