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 미국에서의 생산교육 이론과 학교기업 발전

문서에서 학교기업 활성화 방안 연구 (페이지 32-35)

생산교육의 이론을 제공한 대표적인 미국 학자인 듀이(Dew ey )는 생산 활 동과 이론 학습의 결합을 주장하고 이를 실현시킨 교육 이론가이다. 교육에

대한 그의 기본 사상은 그의 주장, 즉 교육은 경험의 계속적인 재구조화로 인식되어야 하고, 교육의 목표(goal)와 과정(pr ocess )은 하나로서 똑 같 다 (Dew ey , 1915: xix )라는 교육 신조에 요약되어 있다. 그의 사상 체계는 일 반적으로 실용주의(pragmatism), 경험주의(experientialism), 도구주의(instrumen-talism )로 일컬어진다.

듀이는 탐구하고, 연장과 도구를 조작하며, 조립하려는 학생의 자발적인 성 향이 지니는 중요성을 지적하였다. 그는 이러한 학생의 욕구를 교육과정의 일 부분으로 통합하는 것은 학교에서의 생활과 실제 생활간의 격차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고 보았다. 그는 생산교육의 지지자였지만 생산교육의 목적은 학 생에게 특정한 직업을 위해 교육시키는 것이 아니라 선택된 직업에 관한 사 회 과학적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이에 대해 학생의 관심을 고취시키는 데에 있다고 주장하였다(v on Bor st el, 1982: 89- 90).

듀이는 육체 노동과 정신 노동의 통합이 지니는 사회적 함축성을 파악하여 기존의 생산교육의 원리들을 보다 구체화시켰고, 생산교육을 지지하는 교육자 들에게 실질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의 생산교육에 대한 개념은 루소와 낭만주 의자들의 영향을 상당히 받았다.

고전학자들의 사상을 종합하여 생산 경험이 교육의 필수적인 부분이 될 때 학생들이 가장 잘 배운다고 일관되게 주장한 그는 최근에 발전하고 있는 인 지과학 (cognitiv e science)에 의해 새로운 지지를 받고 있다(Berrym an , 1992).

미국에서는 이미 1970년대부터 고전학자들이 주장한 생산교육의 개념을 적 용한 사업이 운영되었다. 이 때 미국 정부는 특수계층 지원 프로그램 (Supported Work Dem onstration )을 도입하면서 생활보호자, 마약중독자, 청소년 실업자, 교도소재소자 등의 자생력을 키워주기 위해 제품을 스스로 생산하고 판매하 는 기업을 설립하였다(Manpower Demonstration Research Corporation, 1980).

또한 미국의 남동부 지역에 있는 여러 대학들(colleges )은 전통적으로 학교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학교기업을 운영하기 시작했다(Mullinax , et al., 1991: 83- 104). 이 대학들 중 하나인 베레아(Ber ea )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제과점, 목재가게, 농장, 낙농장, 음식점 및 호텔 등을 포함하여 대학의 전기 발전소, 건물 유지 및 관리, 도서관 운영, 관리실 운영 등과 관련된 사업에 종

사하였다(P eck, 1989: 5- 28).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학교기업이 교육적인 목적보다는 학교교육에 필요한 경비의 확보 차원에서 운영되는 경향을 보임에 비해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 는 교육적 효과 제고 차원에서 운영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F idler , 1983, 48 - 63 ; Rig g s , 1981: 646- 56).

미국에서 최근에는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에서의 학교기업 운영이 관심의 대 상이 되고 있다. 획기적인 계기는 미국 연방 정부가 1990년에 제정한 P erkin s 직업 기술교육법 개정안 (Carl P erkin s Vocational and Applied T echnology E du cat ion A ct Am en dm ent s )과 1994년에 제정한 학교- 직업세계 연계강화 법 (ST W OA : S chool- to- W ork Opportunities A ct )에 의해 마련되었다. 전자에 따라 미국 정부는 직업 교과과정과 인문 교과과정의 분리를 유지하는 대신에 연방 기금을 인문 교육과정과 직업 교육과정을 통합시키는 프로그램에만 지 출하도록 하였다. 결국 이 법은 보다 많은 학교기업의 실행을 촉진시켰다. 또 한 후자의 제101조에서 모든 학생은 학교중심의 학습 (school- based learnin g )과 현장 중심의 학습 (w ork - b ased learnin g )을 받을 수 있고, 양자간 의 연계 강화가 중요하다 고 규정함으로써 현장지향적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 하였다. 호너와 웰리(Hoerner & Wehrley , 1995)는 현장 중심의 학습 (work -based learning )에 대한 개념은 과거에는 실제의 현장 혹은 가상적인 현장을 중심으로 혹은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경험과 활동 이라고 정의되었지만 최근의 시대적 변화 속에서는 이 정의가 적절치 못하다고 주장하고, 그 대신 에 모든 학생들이 학교교육을 받기 시작하는 단계부터 그들에게 사람들은 살아가기 위해 일을 해야 하고, 학교교육과 생산적인 삶을 살아가는 과정간에 는 매우 밀접한 상관성이 있다는 주제나 내용을 가르치는 모든 유형의 지식 과 학습 으로 새롭게 정의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미국 내에 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학교기업은 학교중 심 현장지향 프로그램의 하나로 운영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미국 내에서 학교기업은 고등학교와 대학의 인문계열 학생들에게는 자주 적용되어 오지 않았다. 듀이와 다른 학자들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대학입학 준비 교육과 직업준비 교육은 분리되어 운영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문과

정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운영하는 학교기업 사례가 탄생하였다. 그것은 영어 수업 시간에 만든 잡지와 책을 출판하는 문예 기업인 폭스파이어(F oxfir e)이 다(Wigginton , 1986).

미국 내에서 학교기업은 여러 가지 목적 하에 이루어지고 있다. 학교기업의 목적에 대해 베리만(Berrym an , 1992: 68)은 이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기업가 정신 (entr epreneur ship )을 가르치고, 그들이 배운 지식과 기술을 실제에 적용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학생의 개인적 사회적 발달을 증진시키고, 지역 사회의 경제발달을 촉진시키는 것이라고 하였다. 한편 스톤(Stone, 1989)은 선 행 문헌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교기업은 ① 기업가 정신(entrepreneur ship) 의 교육, ② 지식과 기술의 실제 적용, ③ 학생의 개인적 사회적 발달 증진,

④ 지역사회의 경제발전 촉진 중 한 가지 이유를 배경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밝혔다. Stern (1991: 17)은 이들 이유 중에서 기업가 기술 (entr epreneurial skill )을 가르치기 위함이 가장 일반적인 이유가 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멕팔레 인(M cF arlane, 1981: 138)은 기업가 기술을 가르치는 프로그램의 최우선 목표 는 소기업의 창업과 운영에 관련된 기초 기술을 계발시키는 것 이라고 하였 다. 학교기업에서 기업가 기술을 가르치는 일이 중요함과 관련하여 에쉬모어 (A shm ore, 1988)는 미국 기업가의 40%가 고졸 출신이고, 또 다른 26%는 단 과대학을 다녔지만 학위가 없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고등학교나 전문대학 에서 학생의 학교기업 참여 경험은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즉 학교기업 은 직업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미래의 기업가들에게 소기업을 경영해 보는 경 험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줌으로써 기업가 양성에 기여하는 직업 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문서에서 학교기업 활성화 방안 연구 (페이지 3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