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맺음말

문서에서 창조경제 (페이지 36-39)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비전은 시효가 지난 제조업 수출 중심의 성장 공식을 대체하고 한국 경제가 지금과 같은 중진국 함정에서 벗어나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성 장 패러다임이다. 창조경제 구현의 관건은 기업가정신이다. 즉 국민 모두가 자신이 활동하고 있는 영역에서 더 나은 삶을 위해 창의적인 기업가정신을 왕성하게 발휘해야 창조경제도 구 현되고 경제 재도약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기업가정신은 개인의 人性이나 素養의 문제가 아 니라 경제제도에 내재하는 誘因構造에 좌우되는 변수이기 때문에 창조경제를 구현하기 위해 서는 무엇보다도 개인과 기업의 경제활동에 유인구조로 작용하는 게임의 법칙(rules of the game), 즉 제도를 바로 세워야한다는 것이 이 글의 요지이다. 이 글에서는 창조경제 생태계 를 창의와 혁신, 개방과 융합, 도전과 인정의 세 축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제도개혁의 방향 과 대안을 제시하였다.

창조경제를 달성하려면 필요하지만 없었던 제도는 세우고, 기존의 제도 중에 기업가정 신을 왜곡하거나 위축시키는 것들은 폐지하거나 바로 잡아야 한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제 도개혁이 녹록치 않다는 사실이다. 이미 형성된 제도 주변에는 다양한 이익집단들이 공고히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1980년대 영국의 대처 행정부의 개혁과정에서 보듯이 국민경제를 위 해 필요한 제도개혁에도 정치적 저항이 따르게 마련이다. 더군다나 경제활동 규율 제도의 근 간은 국회에서 결정하기 때문에 정부가 적극적인 의지를 가지고 추진한다고 해도 행정부만의 노력으로는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 과거 많은 정부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 규제개혁을 추진했지만 끝내 규제의 총량이 감소하기는커녕 오히려 증가했던 것도 이러한 원리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 제안하는 여러 가지 개혁 방안은 행정부 차원의 정책을 넘어 범국가적 차원에서 추진해야 그 나마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도가 국민경제에 미치는 함의, 개방경 쟁시대에 뒤떨어진 한국 제도의 실상과 문제점, 제도의 생성에서 집행 및 판단에 이르기까지 의 개선 필요성에 대한 인식 공유를 바탕으로 입법부와 사법부도 함께 참여하는 제도개혁추 진체를 구성해서 추진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한국 제도경쟁력의 후진성에서 비롯되는 제도의 실패는 정부의 책임도 있지만 정치의 책임이 더 크다. 제도 입안의 1차적 책임이 국회에 있기 때문이다. 이에 국회는 국회에서 만드는 제도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스스로 자정방안을 마련 하는 한편으로 행정부, 사법부와 함께 21세기 한국경제의 지속발전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제도개혁에 동참해야 할 것이다.

총 론

◎ 참고문헌 ◎

• 김일중, ‘한국의 과잉범죄화 현황: 규제범죄, 기소형태 및 공정거래법 등을 중심으로’, KERI Symposium 발표자료, 2013.11

•김주훈, ‘혁신주도형 경제로의 전환에 있어서 중소기업의 역할’ KDI, 2005

• 김태윤·황인학 외, 「산업별 종합규제지도 작성을 위한 조사연구: 규제지도 분석을 통 한 기업규제 개선방안 연구」, 기재부·한국규제학회, 2013

•박정수·김홍석 외,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서비스산업 전략과제」, KIET, 2013

•반성식 외, 「글로벌 기업가정신연구(GEM): 2012 연구보고서」, 2013

•유윤하, “경제성장과 제도,” 「제도와 경제」, 2009

•이혁우, “영국의 규제비용총량제가 한국의 규제개혁체계에 주는 시사점”, 2013

•이홍균, ‘창조경제를 견인할 창의인재 육성방안에 대한 검토’, 2013

•정부 , 「벤처·창업 자금 생태계 선순환 방안」, 관계부처 합동, 2013.5.15.

•정부, 「창조경제 실현계획–창조경제 생태계 조성방안」, 관계부처 합동, 2013.6.4.

•정부, 「서비스산업 추진방향 및 1단계 대책」, 관계부처 합동, 2013.7.4.

•정부, 「창조경제를 견인할 창의인재 육성방안」, 관계부처 합동, 2013.8.6

• 차두원·유지연, ‘창조경제의 개념과 주요국 정책분석, KISTEP Issue Paper, 2013-01

•최병일·황인학 외, 「기업가정신: 창조경제 성공의 핵심조건」, 2013

•현대경제연구원, ‘최근 규제개혁의 성과와 한계’, 「경제주평 13-41」, 2013.9.27.

• 한국경제연구원, ‘기업활동에 대한 과잉범죄화: 경제성장에 주는 함의’ KERI Symposium, 2013.11

• 황인학, ‘기업규모 분포로 본 기업생태계의 취약점’, 전경련 출입기자 전지세미나 발표 자료, 2008, 6.27

•황인학, ‘대기업이 되고 싶지 않은 160가지 이유’, KERI 칼럼 2011.9.21.

• 황인학, ‘한국경제 리스크 극복을 위한 시장제도와 규제 개선 방향’, 경제·인문사회연

• 황인학·송용주, 「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현안 인식 조사 보고서」, 한국경제연구원, 2013

• Acemoglu, “Institutions as a Fundamental Cause of Long-run Growth,”

Handbook of Economic Growth, 2005

• European Commission, Entrepreneurship in the EU and beyond, Eurobarometer, 2013

• Kirzner, Ira M., “The Ethics of Competition” in Sibert, H., ed., The Ethical Foundations of the Market Economy, 1994

• North, Douglas, “Economic Performance through Time,” American Economic Review, 1994

•OECD, 경제전망보고서, 2013.6

•OECD, Entrepreneurship at a Glance, 2013

•UNDP/UCTARD, Creative Economy Report 2010.

•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Competitive Index 2013-2014:

Sustainable Growth, Building Resilience

• Xavier, Siri R and Donna Kelley, et.al.,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2012 Global Report, GERA

-Part 1: 창조경제와 기업가정신

Part 2: 기업가정신과 그 발현을 위한 환경 조성

문서에서 창조경제 (페이지 3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