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덕 감정과 숭고

문서에서 쇼펜하우어의 예술론 연구 (페이지 38-42)

Ⅲ. 칸트의 미와 숭고개념

3) 도덕 감정과 숭고

칸트는 숭고의 경험이 이성의 이념적 사유를 요청할 뿐 아니라 도덕적 감정을 고양 시키는 수단이 될 수 있음 또한 언급한다. 이는 미적 경험이 도덕적 성향의 창출 및 유 지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도구적이라는 것이다.111) 칸트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양자(미와 숭고)는 (…) 도덕적 감정과의 관계에 있어서 합목적적이다. 미는 우리로 하여금 기꺼이 무언가를, 심지어 자연 그 자체까지도 무관심적으로 사랑하도록 마음의 준비를 시킨 다. 반면에 숭고는 우리로 하여금 기꺼이 무언가를, 심지어 우리 자신의 관심에 거슬릴지라 도, 높이 존중하게끔 마음의 준비를 시킨다.

112)

칸트에게 있어 도덕적 감정은 실천적 행위에서 자신의 이해와 욕심과는 무관하게 주 어지는 만족감으로서, 미적 대상이 가져다주는 무관심적인 쾌와 유사한 만족의 원리를

109) KU, B194.

110) Scheer, Brigitte, Einführung in die philosophische Ästhetik, Primus Verlag, Darmstadt/Germany, 1997. ; 미와 예술, 박정훈 옮김, 미술문화, 2016, 137-138쪽.

111) Crawford, Donald W., Kant's Aesthetic Theory, The Univ. of Wisconsin Press, 1974. ; 칸트 미 학 이론, 김문환 옮김, 서광사, 1995, 214-215쪽.

112) KU, B.115.

가지며, 따라서 미적인 경험은 우리로 하여금 도덕적 감정으로 이행하기 쉽도록 한 다.113) 칸트는 “자연에 대한 직접적인 관심을 가진다는 것은 선한 영혼의 표징이며 (…) 만약 이 관심이 습관적인 것이라면, (…) 그것은 적어도 도덕적 감정에 호감을 가 지는 마음의 상태“114)라고 말하며 미적 경험과 도덕적 감정의 고양에 관한 관련성을 언급한다. 또한 미적 경험은 “우리에게 쾌의 감정에서 합목적성에 주목할 것을 가르침 으로써 우리를 도야”115)시키는데 이는 “미적 판단과 그리고 그것의 형식적 조건들과 친화적”116)인 도덕적 감정의 고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언급한다.

미적 경험과 도덕적 감정 사이의 연관성은 특히 숭고의 경험에서 더욱 가깝게 찾아 볼 수 있다. 칸트는 “숭고의 감정에 마음이 조화되기 위해서는 이념을 받아들이는 마음 의 감수성이 필요하다”117)고 말하는데 따라서 자연의 숭고함에 대한 미적 판단에는 문 화적으로 도야된 감수성이 요구되고 이러한 미적 판단은 “인간의 본성 속에 그 뿌리는 두면서도 사람들이 상식과 마찬가지로 누구에게나 요구하거나 기대할 수 있는 것에서, 말하자면 이념들, 즉 도덕적인 것에 대한 감정의 경향성 속에서”118)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미적 판단으로서 숭고는 마음의 초감성적인 힘을 인지하는 데서 기인하는 쾌의 감정인데, 그러한 마음의 초감성적인 힘은 도덕성의 필수적 조건이기도 하다.119) 그러 므로 숭고의 경험은 도덕적 감정을 고양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으며, 거꾸로 도 야된 도덕성을 통해서 숭고의 감정은 경험될 수 있다. 칸트는 이를 강조하며 “사실 도 덕적 이념의 발전이 없으면 문화에 의해 준비된 우리가 숭고하다고 부르는 것이 미개 인에게는 한낱 겁먹게 하는 것으로 나타날”120)뿐이라고 말한다.

이처럼 도덕적 감정과 숭고의 감정은 감성적 형식에 대한 이성의 지배에 의해 불러 일으켜지는 만족감이라는 점에서 서로 연관되어 있다. 하지만 감성에 대해 이성이 행사 되는 방식에서는 다르게 나타난다. 즉 “사유방식에 있어 자유성, 다시 말해 감각적 향 락에 대한 만족으로부터의 독립성을 전제하고 그것을 교화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럼 에도 숭고에 의해서는 법칙적인 과업에서의 자유라기보다는 유희에서의 자유가 표상된

113) Crawford, 위의 책, 215쪽.

114) KU, B166.

115) KU, B114.

116) KU, B115.

117) KU, B110.

118) KU, B112.

119) Crawford, 위의 책, 223쪽.

120) KU, B111.

다.”121) 즉 이성이 감성에 대해 강제력을 행사한다는 것에서는 공통되지만, 숭고한 것 에 대한 미적 판단은“도덕성의 고유한 성질인 법칙에 따르는 활동”이 아닌 “이성의 도 구로서의 상상력 자신에 의해 행사되는” 자유의 활동이라는 면에서 다르다.

감성에 대한 이성의 제어라는 면에서 도덕감과 숭고감은 유사한 만족의 원리로 연관 되어 있으며 문화적 도야를 통한 이성의 이념에 대한 사유를 요구한다는 면에서 모두 고양된 감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숭고에 대한 경험은 이성 이념을 불러오도록 강제함 으로써 도덕성의 고양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것은 자연보다도 우월한 우리 안의 이성 의 합목적성에 대한 경외감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합목적적인 지고의 법칙인 “도 덕적 선은 미적으로 판단하면 아름답다기보다는 오히려 숭고하다고 표상되지 않으면 안 되며, 그래서 그것은 사랑의 친밀한 애호의 감정이라기보다는 존경의 감정을 일깨우는 것이다.”122)

하지만 칸트가 한 사람의 미적인 성향과 도덕적 성향, 또는 미적 감정과 도덕적 감정 을 유사한 것으로, 간접적으로만 연관짓고 있다는 점에서 미적 판단의 도덕적 판단으로 의 완전한 이행을 설명하기에 모호하고 불충분하다는 지적은 여전히 존재한다.123) 이러 한 모호함은 칸트 스스로의 언급에서도 나타나는데 둘 간의 연관에 대한 설명에도 불 구하고“단적으로 좋은 것은 물론 그 자체로는 미적 판단에 속하지 않고, 순수한 이성적 판단에 속하며, 또한 반성적 판단에서가 아닌 규정적인 판단에서, 자연이 아니라 자유 에 부여되는 것이다”124)라고 단정하고 있는데서 칸트는 미적 판단과 도덕적 판단의 영 역을 구분한다. 미적 감정과 도덕적 감정의 연관에 대해서 칸트는 미를‘도덕성의 상징’

으로서 설명함으로서 극복하고자 한다. 미가 일반적으로 표현하는 것, 즉 미적 이념이 도덕성에 기초한 이념이라는 것이다. 미의 경험은 인간이 세계를 경험하는 방식을 규정 하는 원리를 초감성적으로 스스로 입법한 결과이기 때문에, 인간에 의해 입법되는 최고 의 법칙이 도덕 법칙이므로, 미는 도덕성의 토대를 상징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입법한 결과는 우리가 경험하는 감성적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보인다는 데서 미와 숭 고는 도덕성의 토대를 상징한다.125)

121) KU, B116.

122) KU, B121.

123) Crawford, 위의 책, 214쪽.

124) KU, B114.

125) Crawford, 위의 책, 224-233쪽 참조.

요컨대, 자연에 대하여 상상력과 오성의 조화로운 쾌를 경험하는 미와 달리 숭고는 무한한 자연 앞에서 적대적으로 세워진 인간으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게 하 고 이성의 사유를 통해 그것을 합목적적으로 포섭하도록 한다. 이 가운데 인간의 도덕 성에 대한 일깨움이 동반되는데, 즉 외적인 자연 대상은 우리의 상상력에는 반목적적이 지만 우리의 내적인 능력, 즉 실천이성, 도덕적 추론에 종사하는 능력에 대해 합목적적 인 것으로 판명된다.126) 이처럼 칸트에게 숭고의 감정은 무한한 것처럼 보이는 자연 앞 에 선 인간을 이성의 이념에 대한 사유로, 그리고 지고한 법칙으로서 도덕적 감정에로 고양시키는 미적 경험이라는 데서 그 도덕적 토대를 가진다.

126) Wenzel, 위의 책, 235쪽.

문서에서 쇼펜하우어의 예술론 연구 (페이지 3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