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구성요인 개선내용

의사결정 지원

- 제공자에게 가이드라인 배포

- 내분비의사, 안과의사, 족부의사, 기타 전문가에게 의뢰 증가 - 가이드라인에 대해 제공자 교육

- 환자 가이드라인에 대한 브로셔 및 소책자 가이드 개발

임상정보시 스템

- 환자 등록 개발

- 등록자료를 유지하는 과정 수행 - 고위험환자에게 자동케어기억기 사용 - 제공자를 보조하기 위해 환자요약시트 사용 - 제공자에게 케어 일정을 알려주기 위한 시스템 사용

자료: Coleman K, Austin BT, Brach C, Wagner EH. Evidence On The Chronic Care Model In The New Millennium. Health Aff 2009; 28(1):75-85.

나. 덴마크

덴마크 만성질환관리모형의 주요 목적은 비용효과적인 수준에서 만성질 환이 있는 사람들의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만성관리 질환 모형에 의거하여 보건위원회(National Board of Health)가 정책전략 을 개발하였고 이를 실시할 법(the Health Act)이 개정되었다. 보건위원회 정책전략의 강조점은 다음과 같다.

- 환자 자가관리 지원 프로그램의 운영

- 통합의료 전달체계 및 핵심 서비스의 적절한 통합 및 조정 관리 - 임상 가이드라인, 질병관리프로그램과 같은 의사결정 지원도구의 사용 - 지역사회의 참여

- 보건의료정보기술의 사용 확대

덴마크의 만성질환관리모형 정책과 관련된 이해관계자는 <표 3-3>과 같다.

58

〈표 3-3〉덴마크 만성질환관리모형 정책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역할 및 의견

구분 역활

국가보건위원회, 보건부 정책추진 리더십 담당 지역기관 정책지원 및 수행의 주요 역할 GP 조직 일정정도 개발을 지원

병원의 보건의료 전문가 위치, 영향, 작업환경이 얼마나 영향을 받을 지 확신할 수 없 으므로 CCM의 아이디어를 일정정도 싫어함

일차 의료의 민간 기업에서

일하는 GP 규제 및 질 모니터링 증가 영향을 우려

보건위원회가 대부분 만성질환의 질병관리프로그램에 대한 디자인, 개발, 수행, 추적조사를 개발하였으며 여기에는 지역사회에서 프로그램을 어떻게 시작하여야 하는지 기술하고 있다. 질병관리프로그램 수행 평가지표는 국가 임상데이터베이스 또는 지역에서 개발된 데이터베이스에서 도출될 수 있다.

보건위원회는 모니터링과 평가를 동시에 시행하는 것을 권고하였으나 공식 적인 평가가 실시되지는 않았다.

3. 확장형 만성질환관리모형(Expanded Chronic Care Model)

만성질환관리모형은 임상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예방 및 건강증진 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만성질환관리모형에 예방 및 건강증진 요소 를 접목하고자 확장형 만성질환관리모형(Expanded Chronic Care Model) 이 제안되었다. 확장형 만성질환관리모형은 만성질환관리모형과 인구집단 건강증진을 통합하였으며, 보건의료시스템과 지역사회 사이의 명확한 관련 성을 보여주고 있다(그림 3-2 참조).

59

3

〔그림 3-2〕 확장된 만성질환관리모형

출처: http://www.impactbc.ca/aboutus/themodel

확장형 만성질환관리모형에서는 보건의료체계와 지역사회 사이에 구멍이 있는 경계가 있으며, 이 구멍이 있는 경계는 지역사회와 보건의료시스템 사 이에 아이디어, 자원, 사람의 흐름을 나타낸다. 이전의 만성질환관리모형과 의 차이점은 4개의 중점영역(자기관리 지원, 의사결정 지원, 전달체계 디자 인, 정보시스템)의 위치이다. 이 4개 중점영역을 나타내는 원이 보건의료체 계와 더 큰 지역사회의 경계에 걸쳐있다. 보건의료서비스 전달과 인구집단 의 건강증진 모두를 나타내기 위해, 4개 영역의 활동이 통합될 수 있고 보 건의료조직과 지역사회 양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건강증진에 대한 오타 와선언의 5개 활동영역을 포함하기 위해 2개 중점영역이 다시 정의되었다.

만성질환관리모형과 확장된 만성질환관리모형의 구성요소를 <표 3-4>에서 비교하였다.

60

61

3

4. 만성질환관리모형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