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2.1. 도시민과 농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변화

∙ <그림 5-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농촌 주민의 생활 만족도(10점 만점)는 2014년에 도시민에 비해 떨어졌으나, 5년 뒤인 2019년에는 농촌 주민의 만족도가 모든 항 목에서 도시민을 앞서는 역전 현상이 나타난다.6)

- 과거에 비해 도시 생활에 불만족을 느끼는 도시민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동시에 대안적인 삶을 추구할 수 있는 곳으로 농촌이 잠재력을 지닌다는 것을 시사하는 조사 결과이다.

그림 5-7. 도시민과 농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변화(2014-2019년)

주 1) 각 년도 도시・농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조사 결과(2014년: 1,778명 / 2019년: 3,063명) 2) 두 조사 모두 11점 척도(0~10점)로 측정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연도별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보고서 재구성

6)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도시민과 농어촌 주민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도별로 발행하는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조사 보 고서 참고

136_ 농업・농촌의 포용과 혁신을 위한 농정의 핵심 이정표

2.2.2. 도시민의 귀농・귀촌 수요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연도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도시민들 의 귀농・귀촌 의향은 다소 하락 추세를 보인다.

- <그림 5-8>과 같이 은퇴 후 또는 기회가 될 경우 귀농・귀촌할 의향이 있는 도시 민 비율은 2019년 34.6%를 기록하여 2010년대 전후에 비해 잠재적인 귀농・귀 촌 의향층이 감소하는 모습이다.

그림 5-8. 귀농・귀촌 의향이 있는 도시민 비율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연도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결과」 자료 정리

∙ 잠재적인 귀농・귀촌 의향층 감소에도 불구하고 실제 가까운 장래에 농촌 이주를 준비 중인 도시민 비율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현재의 귀농・귀촌 추세가 장 래 5~10년 사이에는 대체로 지속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 <그림 5-9>에 제시한 바와 같이 실제 10년 이내 멀지 않은 장래에 농촌 이주를 실행하고자 준비 중인 도시민 비율은 연도별로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7)

7) 전체 도시민 중 5년 내에 농촌에 이주하고자 준비 중인 비율(누적)은 약 3% 내외, 10년 내에 이주를 준비하는 비율은 약 8% 내 외를 기록하고 있다. 연도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결과」 보고서 데이터를 재집계한 것이다.

그림 5-9. 도시민들의 농촌 이주 예상 시기

주: 전체 도시민들 중 귀농・귀촌 결행 예상 시점을 기준으로 응답 비율을 집계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각 연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결과」 자료 정리

2.2.3. 도시민들의 버킷리스트 실현 무대로서의 농촌

∙ 도시민들 중 상당수는 가까운 장래에 자신이 꿈꿔온 버킷리스트(bucket list)를 실 현하고자 준비 중이며, 이런 희망을 실현하기 적합한 장소를 농촌으로 생각하는 비율도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9년 도시민 조사 결과,8) 5년 내에 버킷리스트를 실행 하고자 구체적으로 준비 중인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31%로 나타났고, 이 중 44.9%는 농촌에서 이를 실행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를 다시 전체 대비 비율로 환산하면 전국 도시민들 중 13.9%는 5년 내에 농촌 에서 자신의 희망을 이루려고 준비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 농촌으로 반드시 거주지를 옮기지 않고서도 농촌에서 자신이 희망하는 일을 추 구하려는 의향을 지닌 도시민들이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다.

8)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도시민 2,291명 및 농촌 주민 1,04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로서 삶의 만족도와 일생의 버킷리스 트 실행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송미령 외. 2019. 「행복한 균형발전을 위한 농촌 유토피아 구상」.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8_ 농업・농촌의 포용과 혁신을 위한 농정의 핵심 이정표

그림 5-10. 도시민들이 희망하는 버킷리스트 실행 장소 및 준비 상황

주 1) 전체 응답자(2,291명) 중 5년 내에 버킷리스트를 실행하려는 도시민 850명을 대상으로 집계한 결과 주 2) 버킷리스트 실현 장소는 위 850명 중에서 정보습득, 저축 및 투자, 기술교육 등 학습, 적당한 장소 물

색 등 구체적인 준비 단계에 있는 711명을 대상으로 구분하여 도시와 농촌 각각의 비율을 집계함.

자료: 국민 삶의 만족도・바램(Bucket List) 및 농촌 수요 조사(송미령 외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