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 진행과 성과

2.2.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 진행 경과

2.2.2.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 추진 결과

∙ 2018년 실증연구와 2019년 본 사업 추진의 정성적 및 정량적 성과를 평가하는 것 은 아직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여기에서는 사업추진 상 나타난 몇 가지 특징을 관련 자료를 이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첫째, 실증연구 결과 주민들이 스스로 마을환경을 점수로 평가해보는 질문에서는 활동 전 평균 80.3점을 주었으나, 활동이 끝난 후에는 82.5점으로 조금 더 높은 점

108_ 농업・농촌의 포용과 혁신을 위한 농정의 핵심 이정표

수를 주어, 주민 인식 변화의 단서를 제공하였다.

- 협약활동 참여자 전체의 87.9%(95명)가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활동 시행으로 작년에 비해 마을환경이 좋아졌다’고 응답하였다.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이라는 정책에 대한 평가에서는 ‘우리 마을에서 계속 시행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96.3%(104명)로 나타나 참여하는 마을 주민들의 정책에 대한 지지수준과 참여 의지가 매우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 개인활동별로 중요도를 묻는 질문에서는 협약활동 전보다 이후에 중요도(3.94→

4.19)를 더 높게 평가했다. 이는 협약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농업환경문제 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중요도를 높게 평가한 만큼 시행가능성도 높아진다면 좋겠지만, 실제 응답 결과 시행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서는 사후에 더 낮게 평가(3.43→3.40)되었다. 경작지가 논인지 밭인지에 따라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이 구분되기도 하지만, 실증연구 과정에서 경험했던 교육과 수요조사, 일대일 컨설팅 등을 통해 개별프로그램에 대한 주민들의 인지수준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 공동활동은 중요도(4.14→4.44)나 시행가능성(4.02→4.14) 모두 개인활동프로 그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주민 인터뷰 결과 공동활동의 경우 유형이나 효과 와 관계없이 마을계획에 따라 참여하겠다는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실제로 공동활동은 리더그룹에 의해 계획되고 진행되었다. 리더의 생각이나 관심, 의지 가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에도 주요하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 둘째, 실증연구 대상지인 3개 마을의 생태계환경 변화를 살펴본 결과, 대체적으로 협약활동에 참여한 보전필지 인근에 출현 종 수나 개체 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1년 간의 농업환경보전 활동도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을 시사한다.

- 유사활동을 3년째 이어오고 있는 보령 장현마을은 조류, 양서류, 포유류, 식물, 수 서생물 등 모든 분야에서 유의미한 출현 종 수와 개체 수 차이를 보여주었다. 실제 장현마을의 주민들은 수달과 금개구리를 직접 마주하는 경우가 많아졌다며, “옛 날에 있다가 사라졌는데, 요즘 다시 많이 보인다”고 인터뷰에 응하기도 했다.

- 이러한 농업환경보전 활동이 마을 단위에서 3년 이상 계속되면 환경・생태적 변

110_ 농업・농촌의 포용과 혁신을 위한 농정의 핵심 이정표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친환경농업과 내부자료(2019).

[ 표 4-6 ] 2019 지역별 공동활동별 참여자 수 비중(%)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친환경농업과 내부자료(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