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교역조건 동향과 전망 1. 농업구입가격 동향과 전망

3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3.1. 농업교역조건 동향과 전망 1. 농업구입가격 동향과 전망

∙ 2019년 원유가격 하락으로 영농광열비는 하락하였으나. 그 외 농업용품 구입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면서 농업구입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2.6% 상승한 101.7로 추정된다.

- (투입재) 투입재비는 전년 대비 0.6%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 (경상재) 경상재비는 전년 대비 0.6% 상승한 95.2로 추정된다. 원유가격 하락으로 영농광열비가 전년보다 4.3% 하락하였으나 종자비, 농약비, 영농자재비가 각각 4.5%, 1.6%, 1.9% 상승하여 전년 대비 0.6%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 (노임・임차) 노임과 임차료는 전년보다 각각 3.8%, 7.9%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 (사료와 가축구입비) 2019년 사료가격은 2018/19년산 국제 곡물가격 상승으로 전년보다 4.1% 상승하고, 가축구입비는 축산물 산지가격 상승으로 전년보다 1.9%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 (2020년 전망)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영농광열비 상승 등 가축구입비를 제외한 농업용품 가격 상승으로 농업구입가격 지수는 전년 대비 1.2% 상승한 103으로 전망된다.

- (투입재) 종자비, 비료비, 농약비, 영농광열비 등의 상승으로 전년 대비 1.5%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 (노임・임차) 노임과 임차료는 전년보다 각각 2.8, 1.1%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 (사료와 가축구입비) 사료비는 전년보다 1.1% 상승하나 가축구입비는 사육 마릿수 증가로 1.8% 하락할 전망이다.

∙ (중장기 전망) 국제유가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영농광열비가 연평균 3.2% 상승하여 2029년 투입재 가격지수는 116.5로 전망된다. 노임・임차료・가축구입비는 각각

2020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_27

2020 2024 2029 18/99 19/18 20/19 29/19 농업구입가격지수1) 60.7 99.1 101.7 103.0 108.8 118.9 2.6 2.6 1.2 1.6

자료: 통계청, 「농가판매및구입가격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3.1.2. 농가판매가격 동향과 전망

∙ (2020년 전망) 2020년 농가판매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0.8% 상승할 전망이다.

- (곡물) 감자 가격은 상승하나 쌀과 두류 가격 하락 영향이 더 커 0.6%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 (청과) 마늘, 양파 가격 상승 주도로 채소류는 전년 대비 4.5% 상승하고, 감귤 가격의 기저효과로 과실류는 3.2% 상승하여 청과류 농가판매가격지수는 3.9%

상승할 전망이다.

- (축산물)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인한 국제 돼지고기 가격 상승이 국내 돼지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치지만 한육우, 육계, 오리가격 하락으로 축산물 농가판매가격 지수는 전년 대비 2.2% 하락할 전망이다.

∙ (중장기 전망) 중장기적으로 농산물 농가판매가격지수는 연평균 1.3%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곡물류 판매가격지수는 연평균 0.4% 하락하지만, 청과류와 축산물 판매가격지수는 각각 연평균 2.2%, 1.4% 상승할 전망이다.

[ 표 3-2 ] 농가판매가격지수 동향과 전망 (2015=100)

구 분 1999 2018 2019 (추정)

전망 연평균 변화율(%)

2020 2024 2029 18/99 19/18 20/19 29/19 전체 농산물 72.1 108.5 108.2 109.0 114.3 123.4 2.2 -0.3 0.8 1.3

곡물류 97.7 118.2 118.5 117.8 115.2 113.8 1.0 0.2 -0.6 -0.4 청과류 74.1 118.2 112.6 117.0 128.6 140.5 2.5 -4.7 3.9 2.2

채소류 72.7 110.9 100.5 105.0 111.4 121.6 2.2 -9.4 4.5 1.9 과실류 86.3 130.3 131.4 135.6 155.2 169.8 2.2 0.9 3.2 2.6 축산물 54.1 97.1 99.4 97.2 100.9 114.4 3.1 2.4 -2.2 1.4 기타 농산물 56.7 101.9 106.3 110.0 117.0 122.7 3.1 4.4 3.4 1.4

자료: 통계청, 「농가판매및구입가격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3.1.3. 농업교역조건 동향과 전망

∙ 2019년 가계용품을 제외한 농업구입가격지수는 전년대비 2.6% 상승하고, 농가판매 가격지수는 0.3% 하락하여 농업교역조건지수는 2.9% 악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2020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_29

∙ (2020년 전망) 농업판매가격지수는 전년보다 0.8% 상승하나 농가구입가격지수가 1.2% 상승하여 농업교역조건지수는 전년보다 0.5% 악화될 전망이다.

∙ (중장기 전망) 사료를 포함한 투입재 가격 상승으로 농업구입가격지수는 연평균 1.6% 상승하고, 농가판매가격지수는 연평균 1.3% 상승하여 농업교역조건은 연평균 0.2% 수준으로 완만하게 악화될 전망이다.

[ 표 3-3 ] 농업교역조건(패리티지수) 동향과 전망 (2015=100)

구 분 1999 2018 2019 (추정)

전망 연평균 변화율(%)

2020 2024 2029 18/99 19/18 20/19 29/19 농가판매가격지수(A) 72.1 108.5 108.2 109.0 114.3 123.4 2.2 -0.3 0.8 1.3 농업구입가격지수1)(B) 60.7 99.1 101.7 103.0 108.8 118.9 2.6 2.6 1.2 1.6

농업교역조건지수2)

(A/B×100) 118.7 109.4 106.3 105.8 105.0 103.7 -0.4 -2.9 -0.5 -0.2

주 1) 농업구입가격지수는 가계용품을 제외한 농업용품 관련 비용(재료비, 노무비, 경비, 자산구입비)만 고려함.

2) 농업교역조건지수는 농업구입가격지수 대비 농가판매가격지수로 산출되는 농업부문 패리티지수임.

자료: 통계청, 「농가판매및구입가격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3.2. 농업경영비 동향과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