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 총량 동향과 전망 1. 농업생산액 동향과 전망

∙ 2019년 농업생산액은 전년 대비 0.8% 증가한 50조 4,280억 원으로 추정된다.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1.4% 증가한 30조 7,050억 원, 축잠업은 0.3% 감소한 19조 7,230억 원으로 추정된다.

- (재배업) 쌀 생산량의 감소(전년 대비 약 12만 톤) 등으로 쌀 가격이 상승하여 곡물류 생산액은 전년 대비 0.9% 증가한 10조 8,300억 원으로 추정된다. 채소류는 태풍 영향으로 생산량이 급감하여 1.2% 감소한 11조 3,900억 원으로 추정된다.

과실류는 18년산 사과, 배의 작황 부진으로 저장과일이 높은 가격을 유지하였고 19년산 과실의 생육 후기 비대가 원활하여 대과 생산이 많아 전년보다 4.4%

증가한 4조 7,060억 원으로 추정된다.

- (축잠업) 한육우 생산액은 생산량 증가와 고급육 위주의 가격 상승으로 전년 대비 4.9% 증가한 5조 3,410억 원으로 추정된다. 돼지는 도축 마릿수와 재고량 증가로 가격 하락폭이 커 생산액은 3.9% 감소한 6조 8,390억 원으로 추정된다. 육계는 공급과잉으로 가격이 하락(△4.2%)하였으나 생산량이 전년 대비 5.5% 증가하여 생산액은 1.2% 증가한 2조 2,870억 원으로 추정된다. 계란은 산란일자 표시제 시행 영향과 재고 소진을 위한 노계의 도태 증가로 가격이 상승하여 생산액은 5.5% 증가한 1조 3,480억 원으로 추정된다. 우유는 초과원유가격 상승으로

0.5% 증가한 2조 1,430억 원으로 추정된다. 오리는 공급과잉으로 인한 가격 하락 으로 5.6% 감소한 1조 2,530억 원으로 추정된다.

∙ (2020년 전망) 농업생산액은 전년과 비슷한 50조 4,380억 원으로 전망된다.

- (재배업)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0.4% 감소한 30조 5,720억 원으로 전망된다.

곡물류는 쌀 생산량 증가와 감자 가격 상승으로 1.3%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채소류는 가을작형 엽근채소 가격 하락과 양념채소 생산량 감소로 3.7% 감소할 전망이다. 과실류와 특용・약용작물은 각각 2.4%, 2.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축잠업) 축잠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0.7% 증가한 19조 8,660억 원으로 전망 된다. 도매가격 하락(△4.6%)에도 불구하고 생산량 증가폭(5.4%)이 커 한육우 생산액은 0.7% 증가한 5조 3,790억 원으로 전망된다. 돼지는 모돈 감소로 사육 마릿수가 줄고 수입량도 줄어 가격이 1.4% 상승하며 생산액은 소폭(0.2%) 증가한 6조 8,490억 원으로 전망된다. 육계 생산액은 입식마릿수 증가로 가격이 크게 하락(△5.0%)하여 2.1% 감소한 2조 2,380억 원으로 전망된다. 계란 생산액은 종계 감소에 따른 사육 마릿수 감소로 가격이 상승하여 전년 대비 3.8% 증가한 1조 3,990억 원으로 전망된다. 오리는 사육 마릿수 증가로 가격은 4.6% 하락하나 생산량 증가 폭(9.9%)이 커 생산액은 5.3% 증가한 1조 3,190억 원으로 전망된다.

∙ (중장기 전망) 농업생산액은 중장기적으로 연평균 1.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업 생산액은 연평균 0.5% 증가하고, 축잠업 생산액은 연평균 2.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재배업) 곡물류 생산액은 재배면적 감소와 가격 하락 영향으로 연평균 1.2%

감소하나 채소류, 과실류, 특용・약용 작물 등의 생산액은 증가하여 2029년 재배업 생산액은 연평균 0.5% 증가한 32조 4,1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축잠업) 축잠업 생산액은 국내 육류 소비 증가와 가격 상승으로 연평균 2.6%

증가하여 2029년 25조 5,44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_23

2020 2024 2029 18/99 19/18 20/19 29/19 농업 총생산액 31,973 50,051 50,428 50,438 53,751 57,954 2.4 0.8 0.02 1.4

재배업 24,035 30,270 30,705 30,572 31,530 32,410 1.2 1.4 -0.4 0.5 곡물류 11,196 10,731 10,830 10,974 10,297 9,588 -0.2 0.9 1.3 -1.2 채소류 6,818 11,529 11,390 10,968 11,807 12,704 2.8 -1.2 -3.7 1.1 과실류 2,979 4,508 4,706 4,821 5,460 5,960 2.2 4.4 2.4 2.4 특용・약용 532 1,445 1,611 1,652 1,797 1,991 5.4 11.5 2.5 2.1 축잠업 7,938 19,782 19,723 19,866 22,221 25,544 4.9 -0.3 0.7 2.6 한육우 1,778 5,092 5,341 5,379 6,268 7,688 5.7 4.9 0.7 3.7

자료: 농림축산식품부(「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각 년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 표 2-9 ] 농업생산액(명목) 상위 10개 품목 변화

단위: 억 원, %

순위 2018 2019(추정) 2020(전망) 2029(전망)

품목 생산액 비중 품목 생산액 비중 품목 생산액 비중 품목 생산액 비중

자료: 농림축산식품부(「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각 년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 (상위 품목 변화 전망) 2018년과 비교하여 상위 5개 품목의 순위 변화는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2018년 9위였던 고추는 2019년과 2020년에는 배추, 사과보다 순위가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적으로 육류 수요 증가로 2026년부터는 돈육 생산액이 1위로 올라설 것으로 전망된다.

2.4.2. 농업 부가가치 동향과 전망

∙ 2019년 농업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0.4% 감소한 28조 7,260억 원으로 추정된다.

- (재배업) 재배업 생산액은 증가하고, 투입재비는 하락하여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1.0% 증가한 22조 9,550억 원으로 추정된다.

- (축산업) 사료비와 가축구입비 상승으로 축산업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5.5%

감소한 5조 7,710억 원으로 추정된다.

∙ (2020년 전망) 농업생산액은 소폭 증가하나 중간재비가 더 큰 폭으로 증가하여 농업부문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0.3% 감소한 28조 6,430억 원으로 전망된다.

- (재배업)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영농광열비 등이 전년보다 증가하여 생산액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재배업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0.2% 감소한 22조 9,110억 원으로 전망된다.

- (축산업) 가축구입비는 1.8% 하락하지만 투입재와 사료비 상승으로 축산업 부가 가치는 전년 대비 0.7% 감소한 5조 7,320억 원으로 전망된다.

∙ (중장기 전망) 농업부문 부가가치는 중장기적으로 증가하여 2029년 31조 2,360억 원으로 전망된다.

- (재배업) 중간재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재배업 생산액이 증가하여 부가가치는 연평균 0.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축산업) 가축과 사료를 포함한 중간재비는 증가하나, 축산업 생산액이 연평균 2.6% 증가하여 축산업 부가가치는 연평균 2.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20년 농업부문 부가가치율은 56.8%로 추정되며, 중장기적으로 감소하여 2029년에는 53.9% 수준으로 전망된다.

- 재배업과 축산업 부가가치율은 연평균 0.1%p 감소하여 2029년 각각 74.2%, 28.2%로 전망된다.

2020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_25

[ 표 2-10 ] 농업 부가가치1) 동향과 전망

단위: 십억 원, % 구 분 1999 2018 2019

(추정)

전망 연평균 변화율(%)

2020 2024 2029 18/99 19/18 20/19 29/19 농업 21,079 28,833 28,726 28,643 29,930 31,236 1.7 -0.4 -0.3 0.8

(65.9)2) (57.6) (57.0) (56.8) (55.7) (53.9) -0.4%p -0.6%p -0.2%p -0.3%p 재배업 18,387 22,727 22,955 22,911 23,584 24,032 1.1 1.0 -0.2 0.5

(76.5) (75.1) (74.8) (74.9) (74.8) (74.2) -0.1%p -0.3%p 0.2%p -0.1%p 축산업 2,692 6,106 5,771 5,732 6,346 7,204 4.4 -5.5 -0.7 2.2

(33.9) (30.9) (29.3) (28.9) (28.6) (28.2) -0.2%p -1.6%p -0.4%p -0.1%p

주 1) 부가가치는 명목 기준이며, 부대서비스는 제외됨.

2) ( )는 부가가치율을 의미함.

자료: 한국은행,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