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 생산 동향과 전망 1. 재배업 생산 동향과 전망

∙ 2019년 경지면적은 전년 대비 0.5% 감소한 158.8만 ha 수준으로 추정된다.

∙ (2020년 전망) 2020년 경지면적은 전년보다 0.6% 줄어든 157.9만 ha로 전망된다.

- 2020년 농가호당 경지면적은 전년보다 0.7% 증가한 1.58ha이고, 농가인구 1인당 경지면적은 1.1% 증가한 70.4a가 될 전망이다.

∙ (중장기 전망) 농촌의 고령화, 농지 전용 수요 증가 등으로 경지면적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4년 154.8만 ha, 2029년 151.6만 ha로 전망된다.

- 농가인구 감소폭이 경지면적 감소폭보다 커 농가인구 1인당 경지면적은 2024년 74.4a, 2029년 79.2a로 연평균 1.3% 확대될 전망이다.

- 경지이용률은 2019년 106.3%에서 2024년에는 105.5%, 2029년에는 103.4%로 연평균 0.3%p 하락할 전망이다.

[ 표 2-1 ] 경지면적과 경지이용률 동향과 전망

구 분 1999 2018 2019 (추정)

전망 연평균 변화율(%)

2020 2024 2029 18/99 19/18 20/19 29/19 경지면적(천 ha) 1,899 1,596 1,588 1,579 1,548 1,516 -0.9 -0.5 -0.6 -0.5 농가호당 경지면적(ha) 1.37 1.56 1.57 1.58 1.61 1.63 0.7 0.5 0.7 0.4 농가인구당 경지면적(a) 45.1 68.9 69.7 70.4 74.4 79.2 2.3 3.0 1.1 1.3 경작가능면적(천 ha) 1,910 1,556 1,549 1,540 1,510 1,479 -1.0 -1.5 -0.5 -0.5

재배면적(천 ha) 2,116 1,660 1,646 1,636 1,594 1,530 -1.3 -0.8 -0.6 -0.7 경지이용률1)(%) 110.8 106.7 106.3 106.2 105.5 103.4 -0.2%p -0.4%p -0.1%p -0.3%p

주 1) 경지이용률은 (재배면적 / 경작가능면적 × 100)으로 산출됨.

자료: 통계청, 「농업면적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2020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_13

2020 2024 2029 18/99 19/18 20/19 29/19 전체 재배면적 2,116 1,660 1,646 1,636 1,594 1,530 -1.3 -0.8 -0.6 -0.7

2.1.2. 축산업 생산 동향과 전망

∙ 2019년 가축 사육 마릿수는 전년 대비 3.1% 증가한 193.7백만 마리로 추정된다.

- (우제류) 소와 돼지 사육 마릿수는 전년 대비 각각 3.9%, 0.4% 증가하여 우제류 사육 마릿수는 15.0백만 마리로 추정된다.

- (가금류) 육계와 오리 사육 마릿수는 전년 대비 각각 5.7%, 3.6% 증가하여 가금류 사육 마릿수는 178.7백만 마리로 추정된다.

∙ (2020년 전망) 가축 사육 마릿수는 전년 대비 1.0% 증가한 195.6백만 마리로 전망된다.

- (우제류) 소 사육 마릿수는 쇠고기 가격 상승으로 전년보다 2.5% 증가하나 젖소 사육 마릿수는 0.3%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돼지 모돈 감소에 따른 사육 마릿수 감소(△0.7%)로 우제류 사육 마릿수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망된다.

- (가금류)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전년 대비 1.5% 감소하나 육계와 오리 사육 마릿수는 각각 1.9%, 11.9% 증가하여 가금류는 1.1% 증가한 약 180.6백만 마리 사육될 것으로 전망된다.

[ 표 2-3 ] 사육 마릿수 동향과 전망1)

단위: 백만 마릿수, % 구 분 1999 2018 2019

(추정)

전망 연평균 변화율(%)

2020 2024 2029 18/99 19/18 20/19 29/19 총 사육 마릿수 106.7 187.9 193.7 195.6 203.3 211.5 3.0 3.1 1.0 0.9

우제류 10.1 14.8 15.0 15.0 15.4 15.8 2.0 1.1 -0.04 0.5 2.0 3.1 3.2 3.3 3.5 3.7 2.4 3.9 2.5 1.3 젖소 0.53 0.41 0.41 0.41 0.41 0.40 -1.4 -0.03 -0.3 -0.2 돼지 7.6 11.3 11.4 11.3 11.6 11.8 2.1 0.4 -0.7 0.3 가금류 96.7 173.1 178.7 180.6 187.9 195.7 3.1 3.3 1.1 0.9 육계 41.8 93.2 98.5 100.4 105.2 109.0 4.3 5.7 1.9 1.0 오리 4.8 8.8 9.1 10.2 10.1 10.9 3.2 3.6 11.9 1.9 산란계 50.1 71.1 71.1 70.1 72.6 75.8 1.9 0.04 -1.5 0.6

주 1) 가축통계 공표를 위한 조사방식이 변경되어 한육우, 젖소는 2017년 3/4분기부터 이력제 자료로 대체됨.

자료: 통계청, 「가축동향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2020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_15

∙ (중장기 전망) 육류 및 계란 소비 증가로 젖소를 제외한 모든 가축의 사육 마릿수가 증가할 전망이다.

- (우제류) 젖소 사육 마릿수는 연평균 0.2% 감소하는 반면, 소와 돼지는 각각 1.3%, 0.3% 증가하여 2029년 우제류 사육 마릿수는 연평균 0.5% 증가하여 15.8백만 마리에 이를 전망이다.

- (가금류) 육계, 오리,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각각 연평균 1.0%, 1.9%, 0.6% 증가할 전망이며, 2029년 가금류 사육 마릿수는 0.9% 증가한 195.7백만 마리로 전망된다.

2.1.3. 농산물 자급률 동향과 전망

∙ FTA 체결 등으로 농축산물 수입 시장 개방이 확대됨에 따라 농산물 자급률은 하락하고 있다. 2019년 곡물류 자급률은 전년 대비 1.5%p 하락하였고 육류 자급률은 전년 대비 0.2%p 하락하였다. 2019년 전체 자급률은 전년 대비 1.4%p 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 (2020년 전망) 사료용을 제외한 농산물 자급률은 전년 대비 0.2%p 하락한 70.8%로 전망된다.

- (곡물류) 소비량 감소폭이 생산량 감소폭보다 커지면서 사료용을 제외한 2020년 곡물 자급률은 전년 대비 0.2%p 상승한 45.4%로 전망된다.

- (육류) 국제 육류가격 상승에 따른 국내 수입량 감소로 2020년 육류 자급률은 전년 대비 1.9%p 상승한 64.7%로 전망된다.

[ 표 2-4 ] 자급률 동향과 전망1)

구 분 1999 2018 2019 (추정)

전망 연평균 변화율(%p)

2020 2024 2029 18/99 19/18 20/19 29/19 농산물 자급률(%) 84.9 72.3 71.0 70.8 70.1 69.3 -0.7 -1.4 -0.2 -0.2 곡물류 자급률(%) 54.2 46.7 45.2 45.4 43.8 42.6 -0.4 -1.5 0.2 -0.3 육류 자급률(%) 76.7 63.0 62.8 64.7 63.8 62.8 -0.7 -0.2 1.9 0.01

주 1) 자급률은 (국내 생산량 / 소비량 × 100)으로 산출되며, 곡물류와 농산물 자급률은 사료용이 제외됨.

자료: 농림축산식품부(「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각 년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 (중장기 전망) 농산물 시장 개방과 농지면적 감소 영향으로 농산물 자급률은 연평균

자료: 농림축산식품부(「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각 년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