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직업 세계의 변화와 평생학습사회의 도래

문서에서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페이지 43-52)

스 모듈의 형태로 조직될 것이다. 교육공학 기술을 활용하는 교수 방법으로 인해 기존의 학사 일정과 교육과정 구조는 효과적인 교육에 부적절한 것이나 장애물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한 코스 내용의 전달은 프 로그램 조직에 많은 탄력성을 제공할 것이다.

일곱째, 기술을 활용하는 학습 제공 구조는 본질적으로 협동적인 형태가 되어야 할 것이다. 보다 복합적인 상호작용적 학습 시스템은 프로그램의 개 발과 공급을 상호협동적인 것으로 바꿀 것이다. 대학 연구에 있어 다수의 기 관이 학제간 또는 다국적 참여로 이루어질 경우 고가의 시설을 공동 활용하 고 연구의 질을 높일 수 있듯이, 상호협동은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제공에 있어서도 필수적인 요소가 될 것이다.

것이라는 예측이다(<표 Ⅱ-9> 참조).

<표 Ⅱ-9>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 직업능력

핵심 직업능력 학교교육 /

일반교육

직업 훈련

고등 교육 기술적 방법론적 학습능력

(technical an d methodological learning skills) 1순위 2순위 2순위 특정 부분 관련 능력(specific subject-related

skills) 6순위 1순위 1순위

심리사회적 기술(psychosocial skills) 2순위 3순위 4순위 외국어 능력(foreign language skills) 3순위 4순위 3순위

매체활용능력(media competence) 4순위 5순위 6순위

다국문화 이해능력(intercultural skills) 5순위 6순위 5순위 기타 능력(other types of skills) 7순위 7순위 7순위 자료 :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Research and Technology. 1998 ; 좌승

희. 21세기 지식경영과 교육개혁 -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대비한 국가발 전 전략과 교육개혁. 새교육공동체위원회 교육개혁토론회. 1999. 5. 11. p .39 에서 재인용.

또한, 최근 노동시장과 관련된 여러 보고서들은 한결같이 앞으로 기술인력 부족 현상과 산업간 직업간의 수급 불일치가 심화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 다. 따라서, 앞으로 정보통신, 생명공학, 디자인 산업 등 첨단 산업의 고급인 력과 이른바 3D 직종으로 여겨지는 직업에는 인력 부족 현상이 심화되어 단 순 기능을 필요로 하는 직업의 경우 외국 인력으로 대체되리라고 예측하고 있다(장창원, 2000).

이와 같은 학력과 산업의 불일치는 분야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이나, 어수 봉(2000)은 ① 정보기술(IT: Information Technology) 분야에서는 고학력 부 족/ 저학력 과잉, ② 기계・금속・화공 분야에서는 고학력 과잉/ 저학력 부 족, ③ 사회 전반적으로는 인문사회인력 과잉/ 기능인력 부족 등을 보일 것으 로 예측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최근 전문대학 입시 경향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IT 산

업과 관련된 학과의 경쟁률은 상승하는 추세이고, 이른바 3D 업종과 관련된 학과의 경쟁률은 감소하는 경향이다. 2001학년도 입시 경향에도 디자인 분야, 서비스 분야, IT 관련 학과는 지원 증가가 뚜렷한 반면에 농업, 건축, 토목, 기계, 금형, 전기 분야는 지원율이 하향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한국전문 대학교육협의회, 2001, 내부자료). 따라서, 전문 기술인을 양성하는 전문대학 은 이러한 노동시장의 동향과 산업 구조의 변화에 보다 주목하여 대학 및 학 과 운영과 개편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한편, 미래 사회는 노동 유동성(labor m obility) 증가와 잦은 직장 이동이 일어날 전망이다. 향후 전형적인 근로자는 평생 3~4개의 직업을 7~8개의 직장에서 수행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노동시장에서 비정형 근로자(임시직) 의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전자상거래의 발달 등으로 대량실업의 문제가 부상 할 것이라는 전망이다(이옥화, 2000).

즉, 급속한 기술 발전은 당연히 기술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전문대학 교육과 정의 탄력적 운영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기하는 문제이며, 이들을 가르치는 교수와 대학 행정의 변화를 요구하는 문제로 연결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점 들을 고려한 다각적이면서도 다양한 대처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전문대학은 성인 직업인을 위한 직업전환 교육기관이나 재교육기 관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대하여야 하며,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그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책무를 가져야 될 것이다(변호걸 외, 2001).

그리고 미래 교육의 유형과 체제에 있어서 앞으로 가장 크게 영향력을 미 치는 요인은 평생교육 개념과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평생교 육 개념은 교육 체제의 구축에, 디지털 기술은 교육 방법이나 유형에 지대한 변화를 초래하게 될 것이고, 이미 이 현상은 진행 중에 있다. 특히, 향후 한국 고등교육의 미래는 위의 두 가지 요인에 의해 크게 좌우될 것으로 전망된다.

먼저, 미래 사회가 평생교육사회로 변모해 가는 것은 이미 오래 전부터 예 측되어온 전망이다. 이미 한국 사회도 평생교육 체제 기반 구축을 위한 법과 제도적 장치들을 마련하여 이를 단계별로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2년 고등교육 진학률이 55.3%에 이르러 고등교육의 보편화 단계(universal higher edu cation)로 접어들게 되었는데, 교육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평생학습사

회로의 진입은 이러한 고등교육의 보편화를 더욱 촉진하게 될 것이다.

미래가 평생교육 사회로 전환되는 까닭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교육 외적으 로는 교류 단위의 지구촌화, 지식정보화, 능력 중심 사회로의 전환, 성인인구 와 고령인구의 증가, 사회 경제적 생활 양식의 변화드의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다. 내적으로는 교육 장소의 다양화, 교육 수요의 증가, 교육 소재의 다양 화,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의 전환 등을 지적할 수 있다(한국교육개발원, 1998 : 14).

이러한 요인들 가운데, 특히 지식정보화, 능력 중심 사회로의 전환, 성인 및 고령인구의 증가,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의 전환은 평생교육의 필요성을 더욱 촉진하고 있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지식정보화는 새로운 정보와 지 식의 획득 없이 급변하는 사회에서 생존력을 확보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아 울러 지식정보화를 추동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모든 사람들에게 비형식적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거나 교육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다는 측면에 서 평생교육 사회를 구현하는 촉진제 역할을 하고 있다.

능력중심사회로의 전환은 학력이나 학벌 위주의 개인 능력이 인정되고 평 가되는 사회가 아니라 현장 업무능력에서 보여주는 창의력과, 새로운 지식이 나 기술의 활용력에 근거한 능력이 중시되는 사회로 점차 개편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학력보다는 능력을 중시하는 사회로 재편되어 가는 것 이 세계적인 추이이다. 능력을 중시하는 미래 직업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 사회가 필요로 하는 신기술이나 지식을 계속적으로 획득하는 학습이 불가피하게 된다.

낮은 인구 증가로 인해 학령인구는 점차 감소하는 반면, 인구의 고령화는 성인들의 자기 발전과 여가 활용 및 건강 유지에 필요한 교육 요구가 대두되 었고, 이들을 위한 학습 기회와 교육 프로그램 제공이 사회적 책무로 인식되 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성인학습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평생교육에 서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상에서 몇 가지 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평생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 다. 미래의 바람직한 인간상은 최첨단 지식 또는 정보를 활용하고, 자신의 능 력을 최대한 발휘하며, 여유와 유연성을 갖추고 현재생활과 미래를 개척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인간으로 전제할 때, 21세기의 인간은 평생학습 체제 속에 서 양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평생교육의 대두는 고등교육을 중심으 로한 교육 내부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표 Ⅱ-10> 참조).

<표 Ⅱ-10> 고등교육의 두 모형

구분 전통적인 교육 계속교육(평생교육)

이용 가능성

・제한적

・18세 이상

・특정 지역

・전일제/ 정규 4년

・개방적

・모든 연령

・다양한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시간/ 가용시간

활동성

・특수화된 학문과정

・설정되었거나 주어진 목표

・학문에 의한 권위

・지식 전수자로서의 학생

・다양한 요구에 따라 적합한 학습

・논쟁적이거나 변화가능한 목표들

・합의된 권위

・학습과정에서의 능동적인 고객 참여자

의 성격

・상대적으로 동일한 학습요구

・유사한 사회적 배경

・상대적으로 이질적인 학습 요구

・다양한 사회적 배경

평가 ・효과성에 대한 강조가 없음

・배타성을 가진 질

・측정과 모니터링 관점에서 계획 구성된 학습

・수용된 표준과 가치개입적인 면에서의 질 자료 : D.M.Smith, M.R. Saunders, Other Routes : Part-time Higher Education Policy.

Lon don : Open University Press, 1991.

이현청(2000)은 평생교육 체제로의 이행에 따라 대학의 기능에서 교육자원 센터(educational resource center)와 학습센터(learning center)의 역할을 강 조하고, 고객 체제와 자기 주도적 학습의 장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평생교육 사회가 구축되면서 향후 변화될 대학의 특성과 양상을 다음 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① 정형적 대학교육에서 비정형적 대학으로의 변화

② 폐쇄적 체제(closed system)에서 개방 체제(open system)로의 변화

③ 교수(teaching) 중심 체제로부터 학습(learning) 중심 체제로의 변화

④ 정원 중심 사고에서 학생 고객 중심 사고로의 변화

⑤ on-campus의 사고로부터 off-campus와 multi campus로의 사고 변화

⑥ 학벌 중심의 엘리트 고등교육 사회로부터 학력(學力)과 성취 중심의 대 중적 고등교육 사회로의 전환

⑦ University의 개념으로부터 Televersity와 An draversity 그리고 Cybersity의 개념으로의 변화

⑧ 상아탑적 사고로부터 교육산업적 사고로의 전환

⑨ 대학행정 사고로부터 대학경영 사고와 교육서비스 사고로의 변화

⑩ 교육과정(curriculum)의 사고로부터 학습 체제(learning package)로의 변화

⑪ 교육, 연구, 봉사가 통합된 one-stop learning의 활성화

⑫ 정보와 학습이 연계되는 Megaversity의 확산

⑬ service learning과 Transversity의 보편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변호걸 외(2001)는 고등교육 환경의 평생교육 체 제로의 전환에 따라 향후 전문대학에 미칠 영향과 대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 하였다(<표 Ⅱ-11> 참조).

첫째, 전문대학은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평생교육사회에서 중추적인 기 능과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그런 방향에서 교육부나 개별 대학이 적극적으 로 검토・수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전문대학이 향후 평생교육 체제로 개편된다면, 결국 사회나 산업사회 의 요구를 즉각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심을 집중하 여야 하며, 이는 결국 탄력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유연한 교육 운영 체제 구축 이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사회의 요구를 반영하는 탄력적 교육과정 운영은 결국 학습 요구자 들에게 질 높은 지식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교수들의 끊임없는 자기 개 발 과정과 이를 뒷받침하는 행정체제 및 인사관리체제의 혁신을 요구하는 문 제이다. 따라서 평생교육 체제 구축과 운영에 따라, 교수는 물론 대학행정직 원들에게도 능력개발을 병행할 수 있는 과제를 부여하고 개발시켜야 한다.

문서에서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페이지 4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