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연수 프로그램(안) 개발

문서에서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페이지 145-149)

램 개발 측면에서는 교수들의 교육 또는 경력 특성에 따라 연수 내용의 난이 도 조절이 가능해야 하며, 현직과 연계하여 실제적으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 는 능력 함양을 위하여 이론과 실습의 비율 조정이 요구되었다. 그리고 운영 방법에 있어서 운영 규모를 20명 단위로 축소 할 것과, 연수 강사에 전문대 학과 산업체 현장의 인사를 적극 참여시켜 현장감 있는 연수 기회를 가질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또, 동일 주제를 연속 강의로 편성할 경우 반드시 휴 식시간을 편성하고, 쾌적한 연수시설에서 합숙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임 을 강조하였다. 연수 이수의 만족도는 무엇보다도 교원들의 자발적 선택 여 부가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였으므로, 자기 진단에 의하여 선택적 연수가 가능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방안 수립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5) 유지・보수 단계

개발한 프로그램은 평가 결과를 분석・반영하여 유지・관리하며, 지속적인 연수 운영을 위해 연수 프로그램의 유지 및 보수에 관한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Ⅰ) 연구와 연계선상에서 개발・제시된 28개 연수 프로그 램에 대하여 시범연수를 실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평가 단계와 유지・보수 단계 과정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단계에 대한 피드백은 이후 연수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 평가・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수 프로그램(안)들의 궁극적인 목적은 전문대학 교원의 수준을 향상 시키고,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며, 개인의 전문적인 성장 발달을 도 모하는 데 있다. 그리고 각 프로그램은 관련 직무 영역, 연수 프로그램명, 프 로그램별 하위 구성 내용, 연수 대상 등을 제시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은 6개 직무능력 영역에 대하여 총 28개 주제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각 영역별로는 수업활동 영역 6개, 학생 지도 영역 6개, 교육 과정 개발 및 운영 영역 3개, 대학 운영 영역 6개, 산학협동 및 사회 봉사 영역 2개, 연구 및 자기 개발 영역 5개 주제이다. 각 영역별 연수 주제는 난이도를 고려하여 교원의 발달 단계를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교육활동과 관 련한 학생 지도 영역의 경우 제시된 6개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초임교원 을 위한 종합적인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표 Ⅴ-1> 전문대학 교원 연수 프로그램(안)

직무 능력

영역 연수 프로그램명 하위 구성 내용 비 고

1. 수업활동

1-1. 전문대학 교육에서의 교수 설계 이론과 실제

・전문대학 교육의 특성

・교수 설계의 중요성

・교수 설계의 절차와 방법

・교수 설계의 실제

・초임교원

1-2.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과 실제

・전문대학 수업의 특성

・교수-학습 방법 관련 변인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

・교수-학습 방법 적용의 실제

・우수 교수-학습 방법 적용 사례

・초임교원

1-3.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

・신교수-학습 방법의 이론

・신교수-학습 방법의 적용의 실제

・신교수-학습 방법 적용 사례

・경력교원

1-4. 효율적인 실험・실습 지도 방법

・전공 특성에 따른 실험・실습 지도 계

・주제별 실험・실습 지도 방법

・실험・실습 지도를 위한 시설・설비의 재구조화

・실험・실습 지도 방법 적용의 실제

・경력교원

(표 계속)

직무 능력

영역 연수 프로그램명 하위 구성 내용 비 고

1-5. 수업 평가의 전개

・전문대학 교육에서의 평가의 의미와 역

・교육과정(프로그램) 평가

・학업 성취도 평가 방법

・평가 결과의 처리

・초임교원

1-6. 수업 평가의 개선

・수업 개선 평가의 의미

・수업 개선을 위한 평가 절차와 방법

・평가 도구 개발과 실제

・평가 결과의 처리

・경력교원

2. 학생지도 2-1. 효과적인 현장실습 지도의 실제

・현장실습의 목적

・현장실습 지도 계획 및 업체 발굴

・현장실습 지도의 절차와 방법

・현장실습 지도 결과 처리

・초임교원 용(2-1~

2-6번 종 합)

・경력교원

2-2. 효과적인 전공 동아리 지도

・전공 동아리 활동의 목표

・학생 선발 및 지도 계획 수립 방법

・전공 동아리 지도의 실제

・단계별 평가 계획 수립 및 처리

・경력교원

2-3. 효과적인 학사 지도를 위한 정보의 활동

・학사 지도의 중요성 및 범위

・학사 일정 및 학생 관련 정보의 수집 방법

・효과적인 정보 활용 방법

・지도 결과의 정리와 활용

・경력교원

2-4. 효과적인 학생 상담 원리 및 실제

・학생 자원 분석 및 활용

・학생 상담 원리와 기법

・학생 상담의 실제

・경력교원

2-5. 진로교육과 정보의 활용

(취업/ 진학지도)

・진로교육의 개념과 목적

・진로지도를 위한 심리검사와 정보의 활

・취업 및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유형과 활용

・전문대학 단계 진로교육의 실제

・경력교원

2-6. 추수지도의 이론과 실제

・추수지도의 필요성

・추수지도를 위한 절차와 방법

・추수지도의 실제

・추수지도 결과 활용

・경력교원

(표 계속)

직무 능력

영역 연수 프로그램명 하위 구성 내용 비 고

3.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3-1. 직업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Ⅰ) 기초 과정

-・직업교육과정의 이해

・직업교육과정의 개발 방법 및 절차

・직업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절 차 이해

・학교 직업교육과정 운영 사례

・초임교원

3-2. 직업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Ⅱ) 심화 과정

-・직업교육과정 개발 기본 모형

・직무분석 개발 실제

・다양한 직업교육과정 운영 모형

・혁신적인 교육과정 운영 사례

・경력교원

3-3. 교과 운영 계획과 실제

・교과별 운영계획 방법

・교과별 운영계획의 실제 ・초임교원

4. 대학운영 4-1. 전문대학의 특성과 운영

・전문대학 교육의 목표와 교육 동향

・전문대학 교육의 특성

・전문대학 운영 방법

・전문대학 운영의 실제

・초임교원

4-2. 효율적인 대학 조직별 운영

・전문대학 조직의 특성과 기능

・조직별 운영 내용과 방법

・조직별 운영 계획 수립의 실제

・경력교원

・보직교원

4-3. 전문대학 교원의 역할과 리더십

・전문대학 교원의 역할과 사명

・전문대학 교원의 전문성

・전문대학 교원의 리더십 이론과 실제

・초임교원

4-4. 특별과정 운영의 이론과 실제

・특별과정 운영 동향

・특별과정의 운영 목적 및 유형

・특별과정 개발 및 운영 이론

・특별과정 운영의 실제 및 사례

・경력교원

4-5. 수업 자원의 효율적 관리 이론과 실제

・수업 자원 관리의 중요성

・수업 자원의 종류 및 특성

・수업 자원의 관리 및 재구성 방법

・수업 자원 관리의 실제

・초임교원

4-6. 전문대학의 변화 방향과 보직 교원의 리더십

・전문대학의 변화 방향

・전문대학에서 보직자의 역할과 사명

・보직 교원의 리더십 이론과 실제

・경력교원

・보직교원

5. 산학협동 및 사회 봉사

5-1. 산학협동의 이론과 실제

・산학협동의 중요성

・산학협동 절차와 방법

・산학협동 계획 수립하기

・산학협동 결과 반영하기

・우수 산학협동 사례

・초임교원

5-2. 전문대학 교원의 바람직한 사회 봉사 활동

・전문대학 교원의 봉사적 측면의 역할

・봉사활동의 목적과 범위

・봉사활동의 방법

・우수 봉사활동의 사례

・경력교원

(표 계속)

직무 능력

영역 연수 프로그램명 하위 구성 내용 비 고

6. 연구 및 자기 개발

6-1. 교육활동 개선을 위한 연구방법

・교육 연구의 범위와 중요성

・현장 개선을 위한 교육 연구 방법

・교육활동 개선을 위한 연구 계획 수립 하기

・경력교원

6-2. 신교수매체의 효과적인 활용

・신교수매체의 종류와 교수매체 선정 관 련 변인

・신교수매체의 특성과 선정

・교수매체 재구성 및 개발

・교수매체의 적용과 효과 평가

・경력교원

6-3. 교재 개발의 이론과 실제

・직업교육 교재의 선정 방법 및 절차

・직업교육 교재의 개발 방법 및 절차

・직업교육 교재 개발의 실제

・경력교원

6-4. 국내외 산업체 현장 연수

・국내외 산업체 현장 연수의 중요성

・산업체 현장 연수 참여 홍보

・초임교원

・경력교원

6-5. 교원의 전문성 향상과 학습조직

・전문대학 교원의 전문성 규명

・교원의 전문성 향상 방법

・교원 학습 조직의 구성과 기능

・학습 조직의 활성화 방안

・경력교원

4. 연수 프로그램 이수 모형 (안) 및 운영 방안

문서에서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페이지 145-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