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연수 프로그램 이수 모형(안)

문서에서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페이지 149-152)

직무 능력

영역 연수 프로그램명 하위 구성 내용 비 고

6. 연구 및 자기 개발

6-1. 교육활동 개선을 위한 연구방법

・교육 연구의 범위와 중요성

・현장 개선을 위한 교육 연구 방법

・교육활동 개선을 위한 연구 계획 수립 하기

・경력교원

6-2. 신교수매체의 효과적인 활용

・신교수매체의 종류와 교수매체 선정 관 련 변인

・신교수매체의 특성과 선정

・교수매체 재구성 및 개발

・교수매체의 적용과 효과 평가

・경력교원

6-3. 교재 개발의 이론과 실제

・직업교육 교재의 선정 방법 및 절차

・직업교육 교재의 개발 방법 및 절차

・직업교육 교재 개발의 실제

・경력교원

6-4. 국내외 산업체 현장 연수

・국내외 산업체 현장 연수의 중요성

・산업체 현장 연수 참여 홍보

・초임교원

・경력교원

6-5. 교원의 전문성 향상과 학습조직

・전문대학 교원의 전문성 규명

・교원의 전문성 향상 방법

・교원 학습 조직의 구성과 기능

・학습 조직의 활성화 방안

・경력교원

4. 연수 프로그램 이수 모형 (안) 및 운영 방안

교원생애발달 기본연수과정 자율선택연수과정 주기

강 사 비정규 교원과정

대학원생 (예비교원 양성과정)

A 1-1 교수 설계 이론과 실제 교직형성단계 교육/근무경력1-2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과

실제

(초임교원 : 변인고려 1-5. 수업 평가의 전개 1-4년) B 2-0. 학생 지도의 이론과 실제

3-1. 직업교육과정 개발 및 운 영(Ⅰ)

3-3. 교과 운영 계획과 실제 4-1. 전문대학 교육의 특성과

운영

4-3. 전문대학 교원의 역할과 리더십

4-5. 수업 자원의 효율적 관리 의 이론과 실제 5-1. 산학협동의 이론과 실제 C 6-4. 국내외 산업체 현장 연수

교직성장단계 a 1-3.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 (경력 5-10년) 1-4. 효율적인 실험・실습지도

1-6. 수업 평가의 개선

b 2-1. 효과적인 현장실습 지도의 실제 2-2. 효과적인 전공 동아리 지도

2-3. 효과적인 학사 지도를 위한 정보의 활용 교직성숙단계 자기평가 후 2-4. 효과적인 학생 상담 원리 및 실제

(경력 주기별 선택 이수 2-5. 진로교육과 정보의 활용

11-20년) 2-6. 추수지도의 이론과 실제

c 3-2. 직업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Ⅱ) d 4-2. 효과적인 대학 조직별 운영※

4-4. 특별과정 운영의 이론과 실제

교직원숙단계 4-5. 전문대학의 변화 방향과 보직교원의 리더 십※

(경력 21년 e 5-2. 전문대학 교원의 바람직한 사회 봉사활동

이상) f 6-1. 교육활동 개선을 위한 연구방법

6-2. 신교수매채의 효과적인 활용 6-3. 교재 개발의 이론과 실제 6-4. 국내외 산업체 현장 연수 6-5. 교원의 전문성 향상과 학습 조직

[그림 Ⅴ-2] 전문대학 교원의 연수 이수 모형(안) 주) 참조 : ※는 보직자용

전문대학 교원의 생애 발달 주기를 중심으로 제시한 [그림 Ⅴ-2]의 전문대 학 교원 연수 이수 모형(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직 형성 단계인 초임 교원의 경우 인식 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바 와 같이 교육활동 전반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수행도 인식이 높은 편이었으 며, 사범대학 졸업자나 교직 이수자의 경우 이 영역에 대한 높은 인식이 두 드러졌다. 따라서, 초임교원의 교육활동 능력을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 는 현재 2박 3일로 운영되는 초임교원 연수를 대폭 개선하여 앞서 제시된 기본 연수과정을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이수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인 연수 프로그램으로 계획・운영될 필요가 있다. 특히, 이 기본 연수과정의 이수는 양성과정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한 경우 선행학습을 인정하여 A영역의 과정을 면제하고, 일정 기간 동안의 산업체 근무 경력이 있는 경우 C영역 과정을 부분적으로 면제 이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교직과정이수와 산업체 근 무 경력을 모두 소지한 경우 기본 연수 과정 B영역의 4-1 , 4-3 프로그램의 이수를 제외하고 자율 선택 연수 과정의 이수를 권장할 수 있도록 한다.

교직 성장 단계부터 교직 원숙 단계까지의 경력 교원인 경우 이미 기본 연수과정을 이수한 후 일정 주기별로 자기의 직무수행능력을 진단해보고 미 흡한 영역에 대하여 개설된 연수 과정을 자율적으로 선택 이수할 수 있도록 한다. 수업활동 영역(a)과 연구 및 자기 개발 영역(f)의 경우 학문적 변화 동 향과 우리 나라 전문대학 현황을 고려하여 이들 영역에 대한 지속적인 새로 운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특히, f 영역의 경우 전문대 학 교원들에게 강조되는 교육활동 개선을 위한 연구 능력과 관련되는 주제 들로 a 영역의 연수 프로그램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리고 d 영역 은 소수의 경력 교수에게 한정된 기회이긴 하지만, 보직을 담당할 경우에 합 리적인 조직 운영과 리더십 형성을 위한 태도 함양 프로그램을 고려하였다.

또 현재 전문대학 교원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는 강사들을 위하여 단위 대학 또는 전문대학 교육협의회 주관으로 기본 연수 과정을 축소하여 비정 규 교원 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비정규 교원 과정의 경우 전문대학 교 육의 특성 이해와 교육 방법 및 학생 지도 원리 이해에 초점을 두고 C영역 을 제외하고 A, B 영역을 전체적으로 압축한 단기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특

히 예비 교원 과정으로 볼 수 있는 대학, 대학원 과정에서 교직 과정을 이수 한 경우 강사 선발의 우선 기회를 제공하는 등 인센티브를 강화하여 장단기 적으로 양성 단계 교육과정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제시된 기본 연수과정의 경우 프로그램의 상세한 내용이 보다 표 준화될 필요가 있고, 자율 선택 연수과정의 경우 전공계열별・수준을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제공되어야 한다.

문서에서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페이지 149-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