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건강위험요인과 사망의 관련성에 대한 종단연구

문서에서 2014년 연차보고서 국문 (페이지 99-102)

Ⅱ. 연구내용

▣사회경제적 요인과 사망의 차이

- 사회경제적 요인과 사망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교육수준, 소득수준별로 계단형의 사 망률 격차가 확인되었으며, 비정규직이나 의료급여 및 건강보험 미가입상태에 있는 집 단에서 높은 사망위험을 보였음.

건강위험요인과 사망의 관련성에 대한 종단연구

Socioeconomic, Behavioral, Nutritional, and Biological Determinants of Mortality in South Korea:

Analysis of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Linked Data

연구책임자 • 김혜련 공동연구자 • 강영호·여지영

연구보고서 14-22-09-3

100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ANNUAL REPORT

▣건강행태 위험요인과 사망의 관련성

- 건강행태 위험요인으로 흡연, 음주, 신체활동 행태와 사망위험과의 관련성을 파악한 결 과, 흡연은 전체사망과 암사망, 폐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환의 사망 위험을 크게 증가시 키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규칙적 운동, 일상생활 활동수준, 신체활동수준에 따른 사 망 위험의 차이도 커서 높은 운동군에 비하여 활동수준이 낮고, 비운동군에서 사망위험 이 높게 나타남.

▣영양/식이요인 및 비만과 사망의 관련성

- 영양섭취 수준과 사망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영양섭취수준과 식사의 질을 나타내 는 지표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제시됨. 9대 영양소의 식사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인 MAR이 높은 그룹에 비하여 낮은 군에서 사망위험이 증가하였으며, 영 양섭취기준 대비 에너지 섭취수준과 단백질 섭취수준이 적정한 군에 비하여 영양섭취 수준이 낮은 군에서 사망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음.

- 비만지표와 사망위험의 관련성을 보면, 저체중군에 속하는 경우 사망위험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과체중이나 비만그룹에서 오히려 사망위험이 유의하게 낮은 양상을 보임.

▣임상적 위험요인과 사망의 관련성

- 대사증후군에 따른 심혈관계질환 사망위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대사 증후군 구성 요소의 개수에 따른 심혈관계질환 사망위험의 차이도 명료한 직선적 관련 성을 보임.

- 혈압과 혈당 및 당화혈색소에 따른 심혈관계질환 사망위험 차이가 명료하게 제시됨.

▣활동제한과 사망의 관련성

- 60세 이상 연령에서 활동제한 지표(ADL, IADL)에 따른 사망위험의 차이 분석결과 활 동제한 지표가 사망의 매우 중요한 예측지표로 나타남.

- 일상생활수행능력(ADL)에 제한이 많은 노인에서 사망위험이 높았으며, 연령을 보정한 후에는 상대위험도가 다소 감소되었지만 여전히 높은 사망위험이 나타났음

Ⅰ. KIHASA 현황Ⅱ. 2014년 연구사업. 2014년 연구성과Ⅳ. 2014년 연구활동Ⅴ. 2015년 연구사업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101

-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에 제한이 큰 노인에서도 사망위험이 높았으며, 연령 을 보정한 후에는 상대위험도가 다소 감소되었지만 여전히 높은 사망위험이 나타났음

Ⅲ. 정책제언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예방 관리 정책과 사업의 내실화 및 재원투자 확대

- 조기사망 감소와 건강수명 연장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건강위험요인의 적극적인 관리 가 요구됨.

- 건강생활실천이나 질병예방에 대한 국가 전체의 재원배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국민 건강증진기금 등을 활용한 사전예방적 건강투자의 확대가 요구됨.

▣사회경제적 건강 불평등 완화를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함.

- 최근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되는 현실에서 사망률에서의 교육수준, 소득, 고용상태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이 사망의 불평등을 결정짓는 중요한 건강위험요인으로 밝혀져 포괄적 사회정책을 통한 건강불평등 해소의 근원적 접근이 필요함.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건강증진 정책과 사업의 적극적 확대와 지지적 환경의 조성 - 흡연, 음주, 신체활동 등의 건강행태가 사망을 비롯한 주요 질병의 사망과 관련성이 높

은 것으로 밝혀졌고, 특히 흡연과 암사망, 폐암사망과의 높은 관련성을 볼 때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건강증진 정책과 사업의 적극적 확대와 함께 이를 지지하는 건강 환경조성 의 강화가 필요함.

▣학문적, 정책적 활용을 위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추적연구의 지속

- 건강수준과 위험요인 간의 인과적 연구가 부족한 우리나라 현실에서 종단적 연구를 통 해 학문적, 정책적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가 정책준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됨.

102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ANNUAL REPORT

Ⅰ. 연구목적

▣궁국적으로 건강영향평가법제화 도입을 통하여 정책에서 건강을 고려하도록 하는 것을 목 적으로 이 사업은 2008년부터 시행되어왔음.

- 건강은 개인의 생활습관외에도 사회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의 영향에 민감하게 되고 이 에 따른 생활습관도 영향을 받게 됨. 따라서 건강에 대한 영향을 사전에 점검하는 과정 인 건강영향평가 정책의 시행은 매우 중요함.

Ⅱ. 연구내용

▣ 2014년에는 주택환경건강영향평가가이드라인개발, 지방자치단체 건강영향평가 시범사 업, 국제건강영향평가사업 등 크게 세 가지 분야로 추진함.

▣주택정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가이드라인

- 주택은 가족생활의 터전이라는 점에서 가족단위의 건강과 밀접한 관계임. 건강지향적 인 주택정책에 적용할 수 있는 건강영향평가 가이드라인을 개발함.

- 건강영향평가의 단계를 적용하며, 주택만의 체크리스트를 개발함.

• 새 주택의 건강영향평가 체크리스트 :토지이용 및 교통,에너지 및 환경오염,지구온난 화방지, 실내 환경,주택성능분야 ,사회경제적 특성, 지역사회 환경

• 헌 주택의 건강영향평가 체크리스트 : 생활공간의 안전, 취약인구집단 배려, 사회경 제적 특성,지역사회 환경

문서에서 2014년 연차보고서 국문 (페이지 99-102)

Outlin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