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Copied!
3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기본연구 02- 14

D eveloping and Implementing Vocational High School Programs to Enhance Key Competencies N eeded for the Workforce

실업계 고등학교의 직업기초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방안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2)

기본연구 02- 14

D eveloping and Implementing Vocational High School Programs to Enhance Key Competencies N eeded for the Workforce

실업계 고등학교의 직업기초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책임자 : 이종성 연 구 자 : 정향진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3)

머 리 말

기술 경쟁력의 근원은 기본적인 능력 향상을 통한 개인의 직업 능력과 노 동 시장의 유연성에 대비할 수 있는 인력의 양성에서 비롯된다. 우리나라의 산업 인력은 직업교육기관과 직업훈련기관을 통하여 공급되고 국가 자격 제 도에 의하여 그 질이 관리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직무 수행 능력과 기능적인 측면을 강조함으로서 기술의 향상과 발전을 위한 기초적인 능력과 이를 활 용할 수 있는 기술적 탄력성의 부족을 가져왔다. 이러한 기술적 능력에 대한 부족은 개인적으로는 직업 세계 진입 능력과 변화하는 직업 세계에 유동적 으로 대처할 수 없도록 하였으며, 국가적으로는 국가 경쟁력의 약화를 가져 온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우리나라의 직업교육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지식의 습득과 엄청난 기술의 발전에 적응할 수 있는 창의적 능력과 함께 직업 생활에서의 문제를 학습자가 스스로 해결하고 적응해 나갈 수 있는 능 력을 포함하는 직업기초능력의 배양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였다.

특히 직업기초능력은 직무를 수행하는 능력의 기초를 이루기도 하지만 오 늘날과 같이 변화가 심하고 발전이 빠른 직업 세계에서는 직업 생활을 영위 하는 능력의 핵심을 이루기 때문에 직무수행능력 또는 전문기초능력보다 앞 서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 업기초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아울러 일부의 영역에 대해서는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도움을 주신 전문가, 교과서 분석 및 설문에 응답하여 주신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께 감사를 드리며, 이 연구가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의 신장에 커다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2002년 9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원장 강 무 섭

(4)
(5)

【연구 요약】

1. 개요

우리나라의 직업교육은 1990년대까지 직무 수행 능력과 전문 기초 능력의 습득에 중점을 두어 왔으나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에서 는 학교 교육을 통하여 직업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직업기초능력에 관심을 두고 이를 신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부분적으 로는 학교 교육에 이미 도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0년대에 들어서 우리나라에서는 직업기초능력의 개념과 영역에 대한 연구 및 직업 능력 인증제에 관한 연구를 포함하여, 일반 교육 을 통하여 직업기초능력의 성취 목표와 내용을 다루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흐름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 학교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기초능력의 실태와 실업계 고등학교 에서 가르쳐야 할 직업기초능력의 교육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 로 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영역 및 수준의 결정을 위하 여 관련 문헌과 자료를 분석하였고,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직업기초 능력에 관한 교육 실태와 요구 분석을 위해서 교과 담당 교사들의 필 수 전공 교과서 내용 분석과 함께 실업계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들의 의견을 묻는 설문지 조사를 병행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 대로 하여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중에서 대인관계능력과 조직이해능력 에 대해서는 전문가를 위촉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 영역에 관 해서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연구의 방향 설정과 결과의 타 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문가 협의회를 개최하고 실업계 고등학교를 방문하여 의견을 청취하였다.

(6)

2.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영역 및 수준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영역 및 중등교육 단계에서의 수준에 관하여 미국의 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 (SCANS), American Society for Trainin g an d Development (ASTD), Michigan, New York, National Academic of Sciences(NAS), 영국의 Further Education Unit (FEU), Confederation of British In du stry (CBI), N ational Curriculum Council(N CC), Key Skills, 호주의 Karmel 위원 회, Finn 위원회, Mayer 위원회, 뉴질랜드의 고등학교 상급반 교육과 정・평가・자격인증 연구회, 기획 협의회, 교육부에서 설정한 것과 우 리나라의 연구 보고서에서 제시한 것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에 기초 하여 직업기초능력이란 직업 종사자가 대부분의 일을 성공적으로 수 행하는데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 기술, 태도 등 을 총체적으로 말하는 것이며, 그 하위 영역과 수준은 정철영 외 (1998, 2000b)가 제시한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 관리 및 개발능력, 자원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으로서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수준으로 보았다.

3. 각 국의 직업기초능력 개발 전략, 정책 및 교육 방안

미국은 직업 세계에서 성공하는데 필요한 기술이 무엇인가를 밝히기 위해 SCANS를 설립하고, 직업기초능력에 대하여 산업체 경영자, 공공기 관의 관리자, 근로자 등과 논의를 통하여 하위 영역을 설정하고, 학생들 이 학습할 수 있도록 학교를 재조직하고, 일에 기초한 학습을 육성하며, 산업 현장을 학습할 수 있는 조직으로 구성하고, 성취한 직업기초능력을 평가하여 인증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이를 지원하기 위한 대표적인 사항으로는 NSSB(N ational Skill Stan dards Board)를 설치하여 각 직업 협회 등에서 직업기초능력을 체계 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들 수 있다.

(7)

영국은 자격 제도를 통하여 직업교육을 선도해 나간 경우로 특징을 말할 수 있는데, 1980년대에 NCVQ(National Council for Vocational Qu alification)을 설립하여 국가 직업 자격 체제를 정착시키고자 하였 다. 1980년대 후반에 들어서 과학 기술의 발달과 산업 사회의 변화 속도가 빨라지게 되면서 모든 직업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직업기초능 력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자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면서 6가지의 직 업기초능력을 개발하게 되었고, 이것을 근간으로 하여 GNVQs를 설 립하였다.

호주는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직업기술교육이 부실하며, 중등학교 졸업생 중 직업기술교육훈련 프로그램을 택하는 비율이 점차 낮아진 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교육 체제를 개혁하되 산업체가 요구하는 기술 교육훈련의 폭을 넓혀 변화하는 업무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적 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amel 위원회가 소 집되고, 이어 Finn 위원회와 Mayer위원회가 만들어져 직업기초능력을 추출하게 되었다. 호주는 1994년부터 주로 VET를 통하여 직업기초능 력을 시범 운영하고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확산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뉴질랜드는 학교의 교육과정이 실용적이며 사회적인 기술을 습득하 고, 학생들이 학교에서 일의 세계 또는 고등교육기관으로의 전환에 대한 준비로 직업기초능력을 포함하여야 함을 강조하고, 뉴질랜드 기 획 위원회와 교육부 등에서는 직업기초능력의 영역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자격 체계와의 일치 를 검토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6년 신교육체제의 구축을 제안하면서 평생직업교육 의 기반 구축을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그 안에 직업 능력 인증제 의 도입을 제안하고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검토를 하기 시작하였다.

현재까지는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초보적인 수준의 연구를 벗어나지

(8)

못하고 있으며, 단지 정보소양능력과 외국어 능력에 한하여 직업 능 력 인증이 실시되고 있으나 직업기초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적 노력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4.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제7차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의 성격, 편성 및 운영에 대한 내용들을 살펴보고, 제7차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이 직업기초능 력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업계 고등학교 의 교육 방향은 학생에게 직업인으로서 기본적 교양을 함양시키며, 관련 직업 분야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지식과 기술을 습 득하고 태도를 가지게 하여 직업 세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평생 직업교육 체제 내에서 관련 분야로의 진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데 두고 있다. 따라서 실업계 고등학교는 국민 공통 기본 교과 56단위를 포함한 보통 교과를 82단위 이상, 전문 교과를 82단위 이상 이수토록 하고, 특별 활동과 재량 활동을 포함한 총 이수 단위 중 164단위를 제외한 나머지는 시・도 교육청이나 학교가 융통성 있게 운영토록 하 고 있다. 특히 제7차 교육과정이 강조하는 기본 교육과 기초 기술을 강화하는 전문 교육은 직업기초능력의 영역과 일치되는 부분이 많으 므로 교육과정 자체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여야 하며, 학습 활 동에서도 이를 강조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과정을 구체화하고 있는 교과서가 직업기초능력을 얼마나 다루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 는 전공 필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즉 농업계는 농업이해, 농업기초 기술, 농업정보관리를, 공업계는 공업입문, 기초제도, 정보기술기초를, 상업계는 상업경제, 회계원리, 컴퓨터일반을, 수산・해운계는 수산일 반, 해사일반, 수산・해운정보처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대체로 문제해결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자원활용능력 및 정보

(9)

능력은 많이 다루고 있으나 대인관계능력과 조직이해능력은 비교적 적게 다루고 있으며,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및 기술능력은 아주 적 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 실태 및 요구 분석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보는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수 준과 부족한 능력에 대한 교육 방안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417개 학 교에 근무하고 있는 1,251명의 교사에게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하였 으나 739명이 응답하였다. 직업기초능력의 수준을 5점 척도로 하여 1 점은 아주 낮고 5점은 아주 높다라고 하였을 때 학생들이 가지고 있 는 수준은 전 영역에 걸쳐 3.00이하 즉 보통 이하라고 응답하였으며, 가장 낮은 영역부터 보면 수리능력 2.12, 문제해결능력 2.28, 조직이해 능력 2.42, 자원활용능력 2.49, 의사소통능력 2.51, 기술능력 2.74, 정보 능력 2.82, 대인관계능력 2.87,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2.89로 나타났다.

부족한 능력에 대한 교육 방안으로, 수리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은 기 존의 교양 교과를 통하여, 문제해결능력, 자원활용능력, 기술능력, 정 보능력은 기존의 전공 교과를 통하여, 대인관계능력과 조직이해능력 은 교과 외 활동을 통하여,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은 별도의 신설 교 과를 통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은 직업기초능력의 영역에 따라 약간씩 다르지만 대 체로 문제해결법과 토의법이 적합하며, 특히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병행되어 활용되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6. 실업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방안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부

(10)

족하고 전공 필수 교과서에서 적게 다루고 있는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으로써, 기존의 교양 교과와 전공 교과에서 신장시킬 수 있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 즉, 대인관계능력과 조직이해능력을 선정하였다. 프로그 램은 지식이나 이론적인 면보다는 학생들의 실제적인 능력이 배양될 수 있도록 사례와 실습을 중심으로 하되, 그 체제를 하위 요소별로 학습 목표, 학습 내용, 교수-학습 방법, 교사와 학생의 활동, 보조자료 및 준비물, 학습 표준 시간, 학급의 편성과 운영, 평가로 구성하였다.

타 영역의 교육방안으로 수리능력의 신장을 위하여 기존의 수학 교 과 내용과 비교하였으며, 내용의 전개에서 실제의 생활에 관련된 구 체적인 수리적 문제를 다루도록 제안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의 신장을 위하여 기존의 국어 및 영어 교과와 비교하였으며, 내용의 전개에서 보고서 쓰기, 토론하기 등과 같은 구체적인 학습 내용과 활동을 이루 어지도록 제안하였다.

문제해결능력, 자원활용능력, 정보능력 및 기술능력에 관한 학습 내용은 기존의 전공 교과의 내용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그 내용보다도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에 중점을 두도록 하였다. 문제해결능력은 토의 법과 문제해결법을 활용하고, 자원활용능력과 기술능력은 실험실습법 과 문제해결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정보 능력은 농업계 고등학교에서는 농업정보관리 과목을, 공업계 고등학 교에서는 정보기술기초 과목을, 상업계 고등학교와 가사계 고등학교 에서는 컴퓨터 일반 과목을, 수산・해운계 고등학교에서는 수산・해 운 정보처리 과목을 충실하게 학습함으로써 신장시킬 수 있다.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은 별도의 교과를 신설하거나 기존의 고등학 교 일반 선택 과목 중 진로와 직업 과목을 선택하는 방안도 고려될 수 있다.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의 하위 요소와 직업과 진로 과목의 내용을 비교한 결과로 볼 때 거의 일치되고 있으므로 이를 선택하되 전담 교사를 충원하여 실습 위주의 수업이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11)

7. 결론 및 제언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실업 계 고등학교를 포함한 직업교육 관련기관 및 교사들은 더욱 많은 노 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노력을 기관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육 행정 기관

첫째, 교육인적자원부를 비롯한 시・도 교육청은 직업기초능력의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하여 일선 학교장에게 자율성을 부 여한다.

둘째, 직업기초능력의 습득과 신장에 필요한 장비 및 기기 등의 활 용, 예산의 확보, 전문가 지원 등의 노력을 배가한다.

셋째, 직업기초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및 교육 방안의 확대를 위한 제반 지원을 강화한다.

넷째,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개정하고자 할 때에는 직업기 초능력을 신장시키기 목표와 내용에 핵심을 둔다.

2) 교육 연구 기관

첫째, 학습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연구・개발하고 보급하여 교육 행정 기관과 교육 실시 기관의 어려움을 해소시킨다.

둘째, 교육 실시 기관의 교사가 소프트웨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연수를 포함하여 운영에 대한 자문을 실시한다.

셋째, 직업기초능력의 교육에 대한 시행 과정과 결과를 계속적으로 평가하고, 피드백을 주어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3) 교육 실시 기관

첫째, 교육 실시 기관장은 직업기초능력을 습득・신장시키기 위한 교육에 신념과 의지를 가지고 임하며, 교사들을 지원하는데 모든 노 력을 경주한다.

(12)

둘째, 직업기초능력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학 부모와 학생들을 위한 모임을 통하여 이해와 협조를 구한다.

셋째,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과 전문대학 학생들이 습득하고 신장 시켜야 할 직업기초능력의 영역이 유사하고, 그 수준도 수직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 내용과 전문대학의 교육 내용을 연계시키고 상호 협조한다.

4) 교사

첫째,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개념을 확실하게 이해하고, 이를 신장시 키기 위한 학습 목표와 내용을 설정하고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및 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

둘째, 지도 능력 향상을 위해서 자기 연찬 및 연수에 자발적이며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13)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범위 3

3. 연구 방법 5

4. 용어의 정의 10

Ⅱ.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영역 및 수준 11

1.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11

2.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14

3. 직업기초능력의 수준 45

Ⅲ. 직업기초능력의 개발 전략 및 정책 71

1. 미국 71

2. 영국 84

3. 호주 94

4. 뉴질랜드 105

5. 한국 112

6. 시사점 119

Ⅳ.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125

1. 제7차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분석 125

2. 실업계 고등학교의 전공 교과서 분석 138

Ⅴ.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실업계 고등학교의 195

1.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195

2. 직업기초능력의 영역별 실태 분석 196

3. 직업기초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 요구 조사 222

Ⅵ. 실업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방안 237

1. 프로그램 개발 방향 및 지침 237

2. 대인관계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240

(14)

3. 조직이해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250 4. 직업기초능력 신장을 위한 영역별 교육 방안 257

Ⅶ. 결론 및 제언 267

1. 결론 267

2. 제언 269

참고문헌 273

ABSTRACT 281

부록. 설문지 285

(15)

표 차 례

<표 Ⅰ- 1> 분석 대상 교과서 및 분석자 6

<표 Ⅰ- 2> 설문 조사 내용 8

<표 Ⅰ- 3> 설문 조사지 배부 및 응답 현황 8

<표 Ⅰ- 4> 프로그램 초안 작성자 9

<표 Ⅱ- 1> SCANS가 제시한 8가지의 직업기초능력 15

<표 Ⅱ- 2> ASTD의 직업기초능력 16

<표 Ⅱ- 3> Michigan의 직업기초능력 17

<표 Ⅱ- 4> N ew York의 직업기초능력 19

<표 Ⅱ- 5> NAS의 직업기초능력 21

<표 Ⅱ- 6> FEU의 직업기초능력 분류 24

<표 Ⅱ- 7> CBI의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27

<표 Ⅱ- 8> N CC의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27

<표 Ⅱ- 9> Key skills의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하위 요소 28

<표 Ⅱ-10> Karmel 위원회의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30

<표 Ⅱ-11> Finn 위원회의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31

<표 Ⅱ-12> Mayer 위원회의 직업기초능력 33

<표 Ⅱ-13> 이무근의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37

<표 Ⅱ-14> 정철영의 직업기초능력의 영역과 하위 요소 39

<표 Ⅱ-15> 국내・외 직업기초능력 영역의 종합 43

<표 Ⅱ-16>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설정 44

<표 Ⅱ-17> SCANS 보고서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46

<표 Ⅱ-18> SCANS의 직무 현장 능력의 하위 요소별 요구 수준 46

<표 Ⅱ-19> Key Skills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51

<표 Ⅱ-20> City & Guilds에서 제시한 직업기초능력 영역의 수준 52

<표 Ⅱ-21> Mayer 위윈회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55

<표 Ⅱ-22> Mayer 위원회의 하위 영역별 수준 56

<표 Ⅱ-23> N CES의 영역, 하위 영역 및 세부 영역 60

<표 Ⅱ-24> N CES의 수준에 따른 이수 단위 61

(16)

<표 Ⅱ-25> N CEA의 영역, 하위 영역 및 세부 영역 62

<표 Ⅱ-26> 정철영 외(2000b)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 고등학교 단계 63

<표 Ⅱ-27> 의사소통능력 수준별 내용 66

<표 Ⅱ-28> 대인관계능력 수준별 내용 67

<표 Ⅱ-29> 문제해결능력 수준별 내용 68

<표 Ⅱ-30> 국내・외 직업기초능력 수준의 종합 69

<표 Ⅲ- 1> SCANS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육과정의 통합 79

<표 Ⅲ- 2> 호주의 학교 프로그램에서 VET의 참가 학생 수 101

<표 Ⅲ- 3> VET를 시행하는 학교 수 102

<표 Ⅲ- 4> 교육과정 통합 연구학교의 초점 111

<표 Ⅲ- 5> 제7차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에 반영된 직업기초능력 116

<표 Ⅲ- 6> 정보 소양 인증제의 수준별 내용 118

<표 Ⅳ- 1> 계열별 분석 대상 교과서 139

<표 Ⅳ- 2> 농업이해의 교과 내용 분석 141

<표 Ⅳ- 3> 농업기초기술의 교과 내용 분석 146

<표 Ⅳ- 4> 농업정보관리 교과 내용 분석 151

<표 Ⅳ- 5> 공업입문 교과 내용 분석 155

<표 Ⅳ- 6> 기초제도 교과 내용 분석 163

<표 Ⅳ- 7> 정보기술기초 교과 내용 분석 166

<표 Ⅳ- 8> 상업경제 교과 내용 분석 169

<표 Ⅳ- 9> 회계원리 교과 내용 분석 173

<표 Ⅳ-10> 컴퓨터일반의 교과 내용 분석 178

<표 Ⅳ-11> 수산일반 교과 내용 분석 182

<표 Ⅳ-12> 해사일반 교과 내용 분석 186

<표 Ⅳ-13> 수산・해운정보처리 교과 내용 분석 190

<표 Ⅳ-14> 교과서 분석 내용의 종합 194

<표 Ⅴ- 1> 실업계 고등학교 응답 교사의 계열별 및 성별 분포 195

<표 Ⅴ- 2> 실업계 고등학교 응답 교사의 담당 교과별 분포 196

<표 Ⅴ- 3> 실업계 고등학교 응답 교사의 재직 연한별 분포 196

<표 Ⅴ- 4> 실업계 고등학교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 197

<표 Ⅴ- 5> 계열별 실업계 고등학교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17)

교사의 인식 198

<표 Ⅴ- 6>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직업기초능력 인식: 영역, 하위

요소별 비교 199

<표 Ⅴ- 7> 의사소통능력의 하위 요소별 계열간 차이 202

<표 Ⅴ- 8> 의사소통능력 하위 요소간 담당 교과 교사간의 차이 203

<표 Ⅴ- 9> 수리능력의 하위 요소별 계열간 차이 204

<표 Ⅴ-10> 수리능력 하위 요소간 담당 교과 교사간의 차이 205

<표 Ⅴ-11> 문제해결능력의 하위 요소별 계열간 차이 206

<표 Ⅴ-12> 문제인식능력 하위 요소간 담당 교과 교사간의 차이 207

<표 Ⅴ-13>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의 하위 요소별 계열간 차이 208

<표 Ⅴ-14> 자기관리 및 개발 능력 하위 요소간 담당 교과 교사간의

차이 211

<표 Ⅴ-15> 자원활용능력의 하위 요소별 계열간 차이 213

<표 Ⅴ-16> 자원활용능력 하위 요소간 담당 교과 교사간의 차이 214

<표 Ⅴ-17> 대인관계능력의 하위 요소별 계열간 차이 215

<표 Ⅴ-18> 대인관계능력 하위 요소별 담당 교과 교사간의 차이 216

<표 Ⅴ-19> 정보능력의 하위 영역별 계열간 차이 217

<표 Ⅴ-20> 정보능력 하위 요소별 담당 교과 교사간의 차이 218

<표 Ⅴ-21> 기술능력의 하위 영역별 계열간 차이 219

<표 Ⅴ-22> 기술능력 하위 요소별 담당 교과 교사간의 차이 220

<표 Ⅴ-23> 조직이해능력의 하위 요소별 계열간 차이 221

<표 Ⅴ-24> 조직이해능력 하위 요소간 담당 교과 교사간의 차이 222

<표 Ⅴ-25> 직업기초능력 개발 방법에 대한 교사의 의견 223

<표 Ⅴ-26> 계열별 직업기초능력 개발 경로에 대한 의견 224

<표 Ⅴ-27> 직업기초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반영 방식에 대한 의견 225

<표 Ⅴ-28> 계열별 직업기초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반영 방식에

대한 의견 226

<표 Ⅴ-29> 실업계 고등학교 수업에서 사용되는 교수-학습 방법 227

<표 Ⅴ-30>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활용하는 보조적 교수-학습 방법의

적용 비율 228

<표 Ⅴ-31> 직업기초능력 개발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의견 229

(18)

<표 Ⅴ-32> 신설 교과의 유형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230

<표 Ⅴ-33> 신설 교과의 유형에 대한 계열별 교사들의 의견 231

<표 Ⅴ-34> 신설 교과의 개설 주기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231

<표 Ⅴ-35> 신설 교과의 개설 주기에 대한 계열별 교사들의 의견 232

<표 Ⅴ-36> 신설 교과의 담당 교사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232

<표 Ⅴ-37> 신설 교과의 담당 교사에 대한 계열별 교사들의 의견 233

<표 Ⅴ-38> 신설 교과의 수업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233

<표 Ⅴ-39> 신설 교과의 수업 방법에 대한 계열별 교사들의 의견 234

<표 Ⅴ-40> 신설 교과의 학급 인원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234

<표 Ⅴ-41> 신설 교과의 학급 인원에 대한 계열별 교사들의 의견 235

<표 Ⅵ- 1> 수리능력과 수학 교과 내용의 비교 258

<표 Ⅵ- 2> 의사소통능력과 국어 및 영어 교과 내용의 비교 259

<표 Ⅵ- 3> 자기관리 및 개발 능력과 직업과 진로 과목의 내용 비교 265

그림차례

[그림 Ⅲ-1] Learnin g A Livin g 체제에서 정보의 흐름도 78 [그림 Ⅲ-2] 학문자격증과 직업자격증과의 관계 94 [그림 Ⅲ-3] 호주 직업기초능력의 변화 과정 97

[그림 Ⅲ-4] VET 계획 수립 과정 104

[그림 Ⅲ-5] 뉴질랜드 교육과정의 틀 110

[그림 Ⅳ-1] 제7차 교육과정의 편제 128

(19)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가. 연구의 필요성

1990년대에 이르러서 직업교육의 방향은 교양교육의 강화와 함께 전문기초 능력의 습득에 중점을 두어 왔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는 폭발적으로 증가하 고 있는 지식의 습득과 엄청난 기술의 발전에 적응할 수 있는 창의적 능력과 함께 직업 생활에서의 문제를 학습자가 스스로 해결하고 적응해 나갈 수 있 는 능력을 포함하는 직업기초능력의 강화와 배양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직업기초능력은 직무를 수행하는 능력의 기초를 이루기도 하지만 오늘날과 같이 변화가 심하고 발전이 빠른 직업 세계에서는 직업 생활을 영 위하는 능력의 핵심을 이루기 때문에 직무수행능력 또는 전문기초능력보다 앞서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외적으로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의 국가에서는 학교 교육을 통하여 직 업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기본적이며 기초적인 직업기초능력을 개발하고 신 장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접근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중에 있으며, 부분적으로는 학교 교육에 이미 도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영국 은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육을 후기 중등 직업교육과정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일반직업자격 (GNVQ : General National Vocational Qualification)과정에 서 시작하였고, 호주의 경우도 직업교육과정에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시작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정부는 평생 직업능력개발체제 구축의 일환으로 평 생학습을 위한 학교단계 직업교육 혁신으로 초・중등단계의 기초 직업교육 혁신을 위하여 모든 학생에 대하여 직업기초능력 교육을 강화하되, 직업과

(20)

일의 세계에 대한 이해, 직업의 존귀성 함양, 적성과 능력의 발견 등을 위한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며, 평생학습에 대한 태도와 습관의 배양,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에 대한 교육의 강화를 들고 있다. 특히 직업교육 측면 에서 직업기초능력 배양은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의 주 기능으로, 전문적인 직무수행능력을 위한 교육은 전문대학의 주 기능으로 인식되는 과정에 있다.

이와 같이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과 영역에 대한 연구 및 직업능력인증제에 관한 연구를 포함하여, 초・중등 교육에서의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직업기초능력의 성취 목표 와 내용을 포함한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는 수행된 바가 있으나 직업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에서의 직업기초능력에 관련된 연구는 부분적으로 다룬 연구(이동임 외, 2000)를 제외하면 별로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다루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실업계 고등학교에서는 이를 활용 하여 직업기초능력의 신장을 위한 교육의 내실화를 기함으로써, 실업계 고등 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을 신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나.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다루어야 할 직업기초능력 신장에 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의 영역과 수준 구명한다.

둘째,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교육의 실 태와 교육적 요구를 분석한다.

셋째,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다루어야 할 직업기초능력 신장 프로그램을 개 발한다.

넷째,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21)

2. 연구 내용 및 범위 가. 연구 내용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영역, 수준 및 개발 전략의 분석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영역, 수준 및 개발 전략에 대하여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이러한 내용들은 미국의 SCANS, ASTD, Michigan, New York, NAS, 영국의 FEU, CBI, N CC, 호주의 Karmel 위원회, Finn 위원회, Mayer 위원회, 뉴질랜드의 고등학교 상급반 교육과정・평가・자격 인증 위원회, 뉴 질랜드 기획 위원회, 뉴질랜드 교육부에서 제시한 것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연구보고서의 분석을 통하여 구명되었다.

특히 직업기초능력의 개발 전략에 대해서는 도입 배경, 개발 정책, 교육 방안 및 지원 방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 제7차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목표는 직업기초능력과 관련하여 볼 때, 건전한 인 성과 창의성을 함양하는 기본・기초 교육을 충실히 하며, 내용적으로는 세계 화・정보화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에 두고 있다. 특히 실업계 고등학교 의 교육과정은 직무 수행 능력의 습득에 앞서 직업기초능력의 습득에 역점 을 두고 있다.

따라서 먼저 제7차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특징과 직업기초능력과의 관련성을 찾아보고,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하여 편찬된 전공 필수 과목의 내용 을 분석하여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하위 요소 및 내용들을 추출하였다. 분석 된 계열별 전공 필수 과목은 다음과 같다.

- 농업계 : 농업이해, 농업기초기술, 농업정보관리 - 공업계 : 공업입문, 기초제도, 정보기술기초

(22)

- 상업계 : 상업경제, 회계원리, 컴퓨터일반(가사・실업계와 공통) - 수산・해운계 : 해양일반, 수산일반, 해사일반, 수산・해운정보처리 - 가사・실업계 : 인간발달, 컴퓨터일반

※ 수산・해운계의 해양일반 및 가사・실업계의 인간발달은 2002년 12월 에 개발 완료될 예정이므로 분석대상에서 제외함

3)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신장을 위한 요구조사 및 교육 방안 모색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수준을 조사하고,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의 수준과의 격차 즉 교육요구 를 파악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 방안과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4) 실업계 고등학교의 직업기초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직업기초능력 신장을 위한 요구 조사에 의하여 제시된 결과에 따라 독립 교과로 운영 가능한 대인관계능력과 조직이해능력의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직업기초능력의 영역별 목표, 학습 내용, 교수-학 습 방법 및 활동, 학급의 편성과 운영, 평가 등으로 구성되었다.

5)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직업기초능력 교육 방안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대인관계능력과 조직이해능력을 제외한 타 영역의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교양 교과에서 직업기초능력을 신장시키는 방안, 전공 교과에서 직업기초능력을 신장시키는 방안 및 별도의 교과를 신설하여 직업기초능력을 신장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나. 연구의 범위와 제한

이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다루는 직업기초능력의 영역과 수준은 국민 공통 기본

(23)

교육과정 및 전문대학에서 다루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및 수준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정철영 외(2000b)가 제시한 직업기초능력의 영역과 수준 을 적용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실업계 고등학교의 직업기초능력의 교육 실태를 파악하 기 위한 방법으로 전공 교과의 계열별 필수 과목 교과서만을 분석하였으므 로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다루고 있는 전체의 전공 교과의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신장 프로그램은 실업계 고등학교의 독립된 교과로서 동아리 등의 활동을 통하여 운영 가능한 대인관계능력과 조직이해능력만을 시범적으로 제시한 것이므로 타 영역에 관한 프로그램은 별도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3. 연구 방법

가. 관련 문헌 및 자료 분석

주로 제7차 교육과정 및 실업계 고등학교의 발전 방안, 직업기초능력 신장 을 위한 제반 여건,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개념, 영역, 수준 및 교육과의 관련 성, 직업기초능력의 개발 전략, 직업기초능력의 교육 방안,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및 평가, 직업능력 인증제 등에 관련 된 연구보고서와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나. 실업계 고등학교 전공 교과서의 분석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특히 충실하게 다루지 못하고 있는 직업기초능력의 영역을 보완하기 위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전공 교과서 중 계열별 필수 교 과서에 한하여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24)

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한 방향과 분석의 틀은 연구진이 초안을 작성한 후, 교과서별로 집필위원, 검토위원, 심의위원 중에서 실업계 고등학교에 근무하 는 교사 1명씩을 분석자로 선정하고, 2002년 4월 3일에 워크숍을 개최하여 이를 검토・수정하고 확정하였다(<표 Ⅰ-1 참조>).

교과서 분석은 ① 정해진 양식에 의거하여 작성하되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하위 요소 및 수준은 정철영 외(1998)와 정철영 외(2000b)가 제시한 것을 적 용하였으며, ② 구체적으로는 직업기초능력의 영역이 포함된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 및 주요 내용을 기재하고, ③ 직업기초능력은 학습 내용뿐만 아니라 학습 활동에 의해서도 습득되는 것이므로 관련된 학습 내용과 함께 학습 활 동이 포함되도록 하였다(예를 들면, 대인관계능력에 있어서 협동 능력은 실 제적으로 협동하는 활동을 통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습득될 수 있는 것임).

<표 Ⅰ-1> 분석 대상 교과서 및 분석자

계열 분석 대상 교과서 분 석 자

교과서명 출판사 성명

농업계

농업이해 (주)교학사(1종) 김절용 양평종합고등학교 농업기초기술 (주)교학사(1종) 나미정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농업정보관리 (주)교학사(1종) 백운기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공업계

공업입문 대한교과서(2종) 이병욱 대전공업고등학교 기초제도 대한교과서(1종) 최종순 단국공업고등학교 정보기술기초 대한교과서(1종) 표소학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상업계

상업경제 교학사(2종) 한흥진 안산정보산업고등학교 회계원리 교학사(2종) 박용구 경기상업고등학교 컴퓨터일반 교학사(2종) 이주암 서울공업고등학교 수산・

해운계

수산일반 대한교과서(1종) 김용화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해사일반 대한교과서(1종) 김종석 인천해사고등학교 수산・해운정보처리 대한교과서(1종) 박진홍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 수산・해운계의 해양일반과 가사・실업계의 인간발달의 교과서는 현재 개발중 이며, 가사・실업계의 컴퓨터일반은 상업계의 컴퓨터일반과 공통이므로 분석대 상에서 제외함.

(25)

특히 교과서 분석에 있어서 고려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중 의사소통능력의 하위 요소인 읽기 능력, 쓰 기 능력, 듣기 능력, 말하기 능력은 교양 과목인 국어 등에서 다루고 있으며, 또한 외국어(영어) 읽기 능력은 교양 과목인 영어 등에서 다루고 있으므로 생략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은 비언어적 표현 능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중 수리능력에 관한 내용은 교양 과목인 수학 등에서 다루고 있으므로 직업 생활에 직접 관련된 내용만을 분석하였다.

셋째, 직업기초능력의 영역의 정보능력에 관련된 과목으로는 농업계는 농업 정보관리, 공업계는 정보기술기초, 상업계는 컴퓨터일반, 수산・해운계는 수 산・해운 정보처리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타 과목을 분석하였다.

넷째,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중 기술능력은 전공 교과에서 습득토록 되어 있으므로 분석을 생략하였다.

다. 전문가 협의회

전문가 협의회는 연구방향 설정을 위하여 2002년 2월 4일에 실시되었고, 전문가 및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가 참석한 협의회가 연구 결과의 적용 가능 성 검토를 위하여 2002년 9월 18일 실시되었다.

라. 설문 조사

설문 조사는 실업계 고등학교의 직업기초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 여건 및 실태를 파악하고, 학생들에게 필요한 직업기초능력의 영역별 내용과 수준을 추출하고, 이를 교육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설문 조사 내용은 정철영 외(2001)가 개발한 것을 실업계 고등학교에 맞도 록 수정하여 사용하였다(<표 Ⅰ-2 및 부록 참조>).

설문 조사 방법은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발간한 「2000년 실 업계 고등학교 현황」에 의하되 학교의 수가 적은 농업계 고등학교, 수산・

해운계 고등학교, 가사계 고등학교는 전체 학교를 표집하고, 공업계 고등학

(26)

<표 Ⅰ-2> 설문 조사 내용

내 용 문 항 비 고

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직업기초능력의 영역별 수준 9개영역 5점 척도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직업기초

능력 1개문항 자유 기술

직업기초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영역별 교육방안 9개영역 정규수업, 현장실습 및 가정교육 중 택일 직업기초능력을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방법 9개영역 4지 택일

직업기초능력 개발시 적절한 교수-학습방법 9개영역 직업기초능력 개발을 위한 교과의 신설방안 6개문항

응답자의 일반사항 6개문항

교, 상업계 고등학교, 실업고등학교 및 종합고등학교는 짝수 번호의 학교를 표집하여 총 417개 학교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학교에서 전공 필수 과목을 담당하고 있는 3명의 교사가 응답하도록 총 1,251부를 우편으로 발송하였다

(<표 Ⅰ-3 참조>).

<표 Ⅰ-3> 설문 조사지 배부 및 응답 현황

계열 학교수 표집수 설문지

배부수(A) 응답수(B) 회수율 (B/ A),%

농 업 고 24 24 72 54 75

공 업 고 204 102 306 208 68

상 업 고 240 120 360 197 55

수 해 고 7 7 21 12 57

가 사 고 3 3 9 6 67

실 업 고 67 34 102 51 50

종 합 고 235 127 381 211 55

780 417 1,251 739 59

(27)

마.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할 영역으로는 실업계 고등학교의 전공 필수 교과서 분석 과 설문 조사 결과에 따라 독립된 교과로 운영 가능한 대인관계능력과 조직 이해능력을 확정하고, 이를 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초안 작성자를 영역별로 1명을 선정하였다(<표 Ⅰ-4 참조>).

프로그램 초안 작성자와 연구진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향을 설정하 고, 프로그램에 담아야 할 요소들과 형식 등을 구체화하였다. 프로그램에 담아 야 할 요소들은 학습 목표, 학습 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활동, 학습시간, 학 급 편성 및 운영, 평가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표 Ⅰ-4> 프로그램 초안 작성자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소속기관 성명

대인관계능력 전경련 미디어 아카데미 신승호

조직이해능력 조치원여자고등학교 이기형

바. 현장 면담조사

실업계 고등학교의 직업기초능력 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설문 조사지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농업계 고등학교, 공업계 고등학교, 상업계 고등학 교, 및 종합고등학교를 1개교씩 방문하여 교사들과의 면담을 실시하고 의견을 청취하였다.

또한 개발한 대인관계능력 및 조직이해능력의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과 타 영역의 교육 방안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농업계 고등학교, 공업계 고등 학교, 상업계 고등학교, 종합고등학교를 1개교씩 방문하여 교사들의 의견을 들 었으며, 특히 우송공업대학 및 경북과학대학을 방문하여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 문대학의 연계를 위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28)

4. 용어의 정의 가. 직업기초능력

대부분의 직종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총체이며, 영역 및 하위 요소는 의 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자원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을 말한다.

나. 프로그램

학교에서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지적・정서 적・기능적・신체적 경험의 종합을 뜻하며,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학습 활동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교육과정에 비하여 그 운영상에 융통성이 많으며, 비교적 짧은 시간에 이수할 수 있으며, 학습 활동에 다양 성이 많다고 할 수 있다.

(29)

Ⅱ.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영역 및 수준

1.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일반적으로 직업기초능력이란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직종에 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공통적으로 필요한 능력(정철영 외, 1998:

10)을 의미한다. 인간이 직업 활동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직무를 성공 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직업 능력이 있어야 하는데, 특히 대부분의 직업에서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직업 능력을 직업기초능력이라고 하며, 이와 달리 직종 과 직위에 따라 독특하게 요구하는 전문적인 직업 능력은 일반적으로 직무 수행능력이라고 구분한다. 즉 대체적으로 직업 능력을 직업기초능력과 직무 수행능력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직업기초능력은 기초의 개념만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직업에서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능력 을 말하며, 직무수행능력은 직종마다 독특하게 요구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이무근 외, 1997; 정철영 외, 1998).

이와 같이 직업기초능력의 개념을 논의함에 있어서 많은 문헌에서 이루어 지는 접근법 중의 하나는 직업 능력을 몇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함으로써, 직 업기초능력이 직업 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것임을 강조하는 방법이다. 이러 한 접근법을 적용하는 대부분의 경향은 직업 능력을 기초적인 능력과 전문 적인 능력으로 구분하거나 이러한 양분 체계에 정의적인 직업 능력을 포함 하는 분류 체계를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무근 외(1997: 3)는 직업능력이란 특정 직업에서 또는 대부분 의 직업에서 일정한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하면서, 이는 크게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하였 다. 이 때 직업기초능력이란 대부분의 직종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능력을 뜻하고, 직무수행능력은 특정 직종에서 직무를 수 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또한, Custer와 Claiborne (1992)

(30)

은 직업 능력(critical skill)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통해 직업 능력을 전문 능력 (technical skills), 기초 능력(basic skills), 고용적합 능력(employability skills) 으로 구분하였다. 이 때 전문 능력은 하나의 직무 또는 직업에서 직무를 수 행하는데 필요한 특정 지식과 능력을 뜻하며, 기초 능력은 기초 학문 능력을 뜻하는데 이에는 전통적인 인문 교육에서 강조해 왔던 읽기, 쓰기, 셈하기 외에 비판적인 그리고 창조적인 사고력, 의사 결정 능력, 문제 해결 능력, 평 생 학습 능력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고용적합 능력은 인격적 자질을 나타내 는 것으로 직업 윤리 및 사회적 기술과 관련되어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집 단에서의 근무 능력, 문화적 배경이 다른 다양한 사람들과의 관계 능력, 품 질 중시 능력, 자기 관리 능력, 원만한 성격 등이 포함된다. 이무근 외(1993:

197-204)도 직업훈련연구소(1990)의 보고서를 토대로 직무 수행에 필요한 능 력을 기초 능력, 전공 분야에 대한 기술과 기능 능력, 직업 윤리 능력으로 구분하였다. 이 때 기초 능력이란 직업 세계에서 생존하는데 필요한 근본적 이고 필수적인 그리고 학습되어진 능력과 다른 능력에 기초가 되는 능력들 의 총체로서 인지적, 정의적, 심체 조작적 능력 등을 포함하는 것이고, 전공 분야에 대한 기술과 기능 능력은 직무 수행 과정에 필요로 하는 능력으로 직업교육훈련 체제에서의 주된 학습 내용이라고 볼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학습 내용은 실기 위주로 습득되어지고 있다고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직업 윤리 능력은 일에 대한 습관, 가치관, 태도를 지칭하는 능력으로서 직장 생 활을 유지하거나 인간 관계 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그러나, 직업기초능력의 분명한 개념에 대한 논의는 분분한 편이다. 우선 은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직종에서 직무를 수행하는데 공통적 으로 필요한 능력을 가장 잘 표현하는 용어가 무엇인가에 관한 점이다. 직업 기초능력을 의미하는 용어로 key competencies, core competencies, core skills, common skills, basic skills, generic skills, w orkplace know-how, w orkplace basics, transferable skills, transfer skills 등의 다양한 용어가 사용 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들 용어의 개념적인 차이에 있어서는 깊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정철영 외, 1998: 20). 우리나라에서도 직업기초능 력, 기초직업능력, 공통직업능력 등의 용어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31)

또한, 직업 능력을 의미하는 competence에 대해서도 그 의미에 다양한 해 석을 부여하는 경향이 있는데, 예를 들어 Hyland (1994: 20-22)는 직업 능력을 의미하는 용어로는 competency보다 competence가 적절하다고 하면서, competence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competence는 본질적으로 일자리에서의 수행과 관련된 것으로, 특정한 직업 영 역에서 노동자에게 요구되는 수행 능력이며, 하나의 직업 안에서 여러 활동을 수행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또한, competence는 무엇을 알고 있는가보다 무엇을 할 수 있는가와 관련된 것으로, 삶에서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충분한 기술, 지식, 적절한 태도 그리고 경험의 소유와 개발을 포함하며, 일련의 특정 과업 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전반적인 직무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방법으로 과 업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기계 고장이나 응급 상황 등에 대처할 수 있는 능 력, 그리고 특정한 작업 환경에 의해 부과되는 자연적인 강제에 작업 수행을 적응시 킬 수 있는 능력 등과 같이 네 가지의 상호 연관된 요소로 정의될 수 있다(정철영 외, 1998에서 재인용한 것임).

이처럼 Hyland (1994: 23-24)는 초기에는 실제 산업 현장에서 측정 가능하 고 관찰 가능한 직무 수행, 즉 무엇을 알고 있는가보다는 무엇을 할 수 있는 가로 직업 능력의 개념을 설명하였지만, 최근에 들어서는 보다 넓은 개념으 로 변화하여 직업 능력을 평가함에 있어 지식, 이해, 상황의 역할을 강조하 고 있으며 이는 한 개인이 기대되는 직무 수행을 하기 위해서는 이와 직접 적으로 관련된 지식과 이해가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직업기초능력 또는 직업 능력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에 대해서도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어, Velde(1999)는 직업 능력 을 네 가지의 관점인 행동주의적인 관점, 기초적인 속성으로 보는 관점, 전 체적인 것으로 보는 관점, 그리고 해석적・관계적인 관점으로 구분하여 설명 하고 있다. 비록 Velde는 해석적・관계적인 관점을 일종의 대안적인 것으로 설명하면서, 이러한 관점이 직업교육에 주는 의미도 제시하고 있지만, 직업 능력의 속성에 대한 분명한 언급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우리의 경우도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

(32)

다. 즉, 직업기초능력의 분명한 개념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속성은 어떠한 것인지 등에 대한 논의가 충분하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현 단계에서 직업기초능력의 개념을 규정하는 것이 무리일 수는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직업기초능력의 개념을 대부분의 직종에서 직무를 성 공적으로 수행하는데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 기술, 태 도 등의 총체로 규정하기로 한다.

2.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직업기초능력을 위와 같이 정의하였을 때, 이러한 능력에는 무엇이 포함되 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많은 연구보고서에서 나 름대로 직업기초능력의 영역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선행 연구들은 공통적인 견해를 제시한 부분도 있지만, 시대적・사회적・경제적・문화적인 상황에 따라 다소 상이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는 부분이 많다.

여기에서는 최근 직업기초능력에 대하여 활발하게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에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이루어 져 왔으며, 직업기초능력의 영역을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나 라의 경우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 미국

1) SCAN S

미국의 직업기초능력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은 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 g Necessary Skills(SCANS)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SCANS에서 직업기초능력의 영역을 설정함에 있어서 중점을 둔 것은 실제의 산업 현장에서 높은 수준의 직무 수행을 보이는 근로자가 어떠한 특 징을 보이는가 하는 점이었다. 이를 위해 제조업(manufacturing), 보건서비스 업(health services), 소매업(retail trade), 음식・숙박업(accommodations and food services), 그리고 공공서비스업(office services)의 다섯 분야에서 높은

(33)

수행을 보이는 근로자의 직무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한 뒤, 이를 기초로 하 여 산업체 경영인, 공공기관의 관리자, 노동조합, 다양한 분야와 직위의 종사 자들과 논의와 면담을 통해 Workplace Know-How 라는 직업기초능력을 <

표Ⅱ-1>과 같이 제시하였다(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 1991:vii). SCANS는 Workplace Know -How 가 학교 교육과 산업체간 의 의견 차이를 조정해 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이들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학습이 학교의 여러 실질적인 정황 아래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산업체 에 취업한 뒤에 현장 경험과 훈련 등을 통하여 재정립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표 Ⅱ-1> SCANS가 제시한 8가지의 직업기초능력 기본 능력(three-part foundations) 기초능력

(basic skills) 읽기 능력, 쓰기 능력, 수리 능력, 듣기 능력, 말하기 능력 사고력

(thinking skills)

창의력, 의사 결정력, 문제 해결 능력, 심미적 사물 관찰 능 력, 학습 능력, 합리적 사고력

개인적 자질

(personal qualities) 책임감, 자존감, 사회성, 자기 관리 능력, 성실/ 정직 직무 현장 능력(five competencies)

자원활용능력 (resources)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 자원 등의 자원을 확인・조 직・계획・할당할 수 있는 능력

대인관계능력 (interpersonal)

① 팀원으로 참가하고, ② 다른 사람에게 새로운 기술을 가 르치며, ③ 고객의 기대를 만족시키고, ④ 지도력을 발휘하며,

⑤ 상호 합의를 이끌어내고, ⑥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과 같이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정보처리능력 (inform ation)

① 정보를 습득・평가하고, ② 자료를 조직・유지하며, ③ 정 보를 해석・교환하고, ④ 컴퓨터를 이용해 처리할 수 있는 능력

시스템능력 (systems)

사회적・조직적・기술적 체제를 이해, 관리, 개선할 수 있는 능력

기술활용능력 (technology)

관련 기술 지식을 선택하고, 이를 직무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34)

2) ASTD

American Society for Trainin g an d Development (ASTD)와 미국 노동부가 공동으로 실시한 이 연구는 1986년에 시작되어 30개월 동안 실시되었는데, 고용주들을 대상으로 급속한 기술 변화, 경영 참여, 적기(適期) 생산, 그리고 이외의 산업 현장의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근로자에게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지를 묻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조사 연구에 기초하여 1988년 Workplace Basics: The Essential Skills Employers Want라는 보고서 는 <표 Ⅱ-2>와 같은 7개 분야 16개 항목의 직업기초능력을 제시하였다 (Carnevale, Gainer, & Meltzer, 1990). 또한 이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능력을 근로자가 지닐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훈련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 가에 대해서 학습 결과를 직접적으로 직무 수행에 연결시키는 접근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표 Ⅱ-2> ASTD의 직업기초능력

직업 기초 능력 하위 영역

기초능력

(foundation skill) 학습능력(learning to learn)

기본능력(competence) 읽기(reading), 쓰기(writing), 셈하기(computation) 의사소통능력

(communication skills) 말하기(oral communication), 듣기(listening)

적응력(adaptability) 창의적 사고(creative thinking), 문제해결(problem solving)

개인관리능력 (personal management)

자존감(self-esteem),

동기부여 및 목표설정(motivation/ goal setting),

피고용능력 및 진로개발(employability/ career development) 집단능률

(group effectiveness)

대인관계능력(interpersonal skills), 협상(negotiation), 팀웍(teamwork)

영향력(influence) 조직 유효성(organizational effectiveness), 리더십(leadership)

(35)

3) Michigan

1987년 Michigan주에서는 상업계, 교육계 및 노동계의 대표들로 이루어진 Employability Skills Task Force를 통하여 <표 Ⅱ-3>과 같이 학문적 능력, 개 인 관리 능력 및 팀웍 능력으로 나누고 이에 대한 26개 능력을 직업기초능 력(employability skills)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직업기초능력에 대하여 고용 주들을 대상으로 그 중요도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 결과 모든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개인 관리 능력과 팀웍 능력이 학문 적 능력보다 더 중요하다는 평가를 받았다(O Neil et al., 1992: 8-9).

<표 Ⅱ-3> Michigan의 직업기초능력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관련 능력

학문적 능력 (academic skills)

- 직무 관련 구어체 언어를 이해하고 말할 수 있는 능력 - 서면 자료를 읽을 수 있는 능력(그래프, 차트, 디스플레이 포함) - 직무 관련 언어로 기술할 수 있는 능력

- 기초적인 산수와 관련된 문제를 이해하여 해결하고, 그 결과를 이용 할 수 있는 능력

- 직무를 완성하는데 필요한 도구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능

- 직무를 완성하는데 필요할 경우 전문적인 지식을 이용할 수 있는 능력

- 과학적인 방법의 단계를 사용하여 논리적으로 생각하고 행동 하는 능력(문제 확인→정보 수집→견해 형성→결론 도출)

개인관리능력 (personal m anagement

skills)

- 직무 관련 구어체 언어를 이해하고 말할 수 있는 능력 - 서면 자료를 읽을 수 있는 능력(그래프, 차트, 디스플레이 포함) - 직무 관련 언어로 기술할 수 있는 능력

- 기초적인 산수와 관련된 문제를 이해하여 해결하고, 그 결과를 이용 할 수 있는 능력

- 직무를 완성하는 데 필요한 도구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 직무를 완성하는데 필요할 경우 전문적인 지식을 이용할 수 있는 능력

- 과학적인 방법의 단계를 사용하여 논리적으로 생각하고 행동 하는 능력(문제 확인→정보 수집→견해 형성→결론 도출)

<표 계속>

(36)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관련 능력

팀웍능력 (teamw ork skills)

- 집단의 목표, 규범, 가치, 관례, 그리고 문화와 일체감을 가 질 수 있는 능력

- 집단 구성원 모두와 의사 소통하는 능력

- 한 집단 안에서 다른 사람의 생각과 의견에 감수성을 나타 낼 수 있는 능력

- 직무를 완성하는데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책을 고안하기 위 해 팀 접근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 집단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의견 교환(give and take)"을 행할 수 있는 능력

- 작업 환경과 집단을 변화시키는데 직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 직무 완성에 무엇이 필요한가에 따라 선도자나 추종자가 되 어야 할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능력

- 여성과 소수 민족의 요구에 감수성을 나타낼 수 있는 능력 - 집단에 충성을 다하는 능력

4) N ew York

New York주의 교육부는 1990년에 교사, 학자 및 상업계 인사들로 구성된 위원회를 설치하여 <표 Ⅱ-4>와 같은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에 대 한 틀을 개발하였다. New York주의 직업기초능력은 언어 능력과 수학 능력 으로 구성된 기초 능력과 그 이외에 8가지의 확장된 기초 능력으로 구성되 었다.

이 틀이 개발된 이후에 대학 학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어떠한 능력이 요구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가 갖는 특징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 현장에서 직업기초능력 을 어떠한 수준으로 요구하고 있는지를 나름대로 설정한 유일한 연구라는데 있다. 연구 결과는 Michigan의 경우와 유사하였으며, 팀의 일원으로 일하는 능력과 개인적인 작업 기술과 행동이 전통적으로 학교에서 가르쳐지고 있는 능력보다 가치 있는 것으로 평가를 받았다(O'Neil et al., 1992: 8-11).

(37)

<표 Ⅱ-4> N ew York의 직업기초능력

기초 능력(basic skills)

언어 능력 (langu-

age arts)

듣기와 말하기 (listening

and speaking)

개인적 반응을 위하여

구두 발표를 즐기고, 올바르게 인식하며, 자신을 표현하고, 즐겁게 하기 위해 구두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사회적 상호 작용을 위하여

매일 매일의 대인관계 상황에서 구두 언어 를 통해 의사 소통할 수 있는 능력

정보와 이해를 위하여

구두 언어를 통하여 정보를 획득, 해석, 적 용, 전도할 수 있는 능력

비판적 분석과 평가를 위하여

개인적인 그리고/ 또는 객관적인 준거에 따 라 정보와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생성할 수 있는 능력

읽기 (reading)

미적 그리고 개인적 반응을

위하여

텍스트를 즐기고 올바르게 인식하며, 텍스 트를 자신과 관련짓고, 텍스트에 대해 다양 한 사회적, 역사적, 그리고 문화적 차원에 서 신중하게 반응하는 능력

정보의 획득, 해석, 적용을

위하여

자료, 사실, 또는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관계, 개념, 또는 귀납적 결과를 발견하며, 텍스트 로부터 생성된 지식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비판적인

분석과 평가를 위하여

서면으로 된 텍스트의 아이디어와 정보에 대하여 의견을 형성하거나 판단을 내리기 위해 개인적 그리고/ 또는 객관적인 준거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쓰기 (writing)

개인적 표현을 위하여

개인적 감정, 태도, 그리고 아이디어를 조 사하고 표현하기 위해 모든 형태의 쓰기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하여

매일 매일의 개인적 상황에서 의사 소통을 위해 모든 형태의 쓰기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정보와 이해를 위하여

쓰기에 있어서 정보를 해석, 적용, 그리고 전도할 수 있는 능력

비판적 분석과 평가를 위하여

쟁점, 아이디어, 그리고 경험에 관한 쓰기 에 있어 의견을 나타내고 판단하기 위해 개인적인 또는 객관적인 준거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표 계속>

참조

관련 문서

이는 대 부분의 연구에서 삼중수소에 의한 내부 피폭의 선량 데이터가 불충분하여 삼중수소의 위험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광범위한 역학

실업계 고교 활성화를 통한 고교단계 직업교육을 활성 화하기 위해서 정부는 실업계 고교에 대한 과감한 투자 를 통해 학생들이 매력을 갖고 진학할 수

마그네트 고등학교의 개념과 설립 배경 마그네트 고등학교의 유형과 교육 특징 직업 마그네트 고등학교의 운영 사례. 결론

본 연구는 선행연구인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 그램 개발 (Ⅰ) 연구와 연계하여 전문대학 교원이 수행하여야 하는 직무를 규명하고 현장

그러므로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 와 시 도교육청은 관심을 가지고 실업계 고등학교를 통하여 배출되는 인력의

본 연구에서는 현재 중․일반계 고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는 목적으로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정보․컴퓨터 교사들이 생각하는

우선적으로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전체 산업의 발전과 인력 수급의 큰 틀에 관한 계획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고 이러한 계획에 따라서 전문대학과 , 실업계

시장정보를 이해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능력이 있어야 함 외국어 능력, 판단력, 국제 정세에 민감할 수 있는 능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