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Copied!
8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2 20 0 00 0 05 5 5年 年 年 8 8 8月 月 月

교 교 교육 육 육학 학 학석 석 석사 사 사 학 학 학위 위 위논 논 논문 문 문 ( ( (일 일 일반 반 반사 사 사회 회 회교 교 교육 육 육) ) )

일 일

일반 반 반사 사 사회 회 회과 과 과 교 교 교육 육 육과 과 과정 정 정에 에 에 관 관 관한 한 한 연 연 연구 구 구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조 조선 선 선대 대 대학 학 학교 교 교 교 교 교육 육 육대 대 대학 학 학원 원 원

일 일 일반 반 반사 사 사회 회 회교 교 교육 육 육전 전 전공 공 공

오 오

오 정 정 정 아 아 아

(2)

일 일

일반 반 반사 사 사회 회 회과 과 과 교 교 교육 육 육과 과 과정 정 정에 에 에 관 관 관한 한 한 연 연 연구 구 구

-제7차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ontheCurri cul um ofGeneralSoci alSci ence :Focusedonsoci alstudi esfor7thHi ghSchool

curri cul um

2 2 20 0 00 0 05 5 5年 年 年 8 8 8月 月 月

조 조 조선 선 선대 대 대학 학 학교 교 교 교 교 교육 육 육대 대 대학 학 학원 원 원

일 일 일반 반 반사 사 사회 회 회교 교 교육 육 육전 전 전공 공 공

오 오

오 정 정 정 아 아 아

(3)

일 일

일반 반 반사 사 사회 회 회과 과 과 교 교 교육 육 육과 과 과정 정 정에 에 에 관 관 관한 한 한 연 연 연구 구 구

지 지 지도 도 도교 교 교수 수 수 김 김 김 영 영 영 곤 곤 곤

이 이 논 논 논문 문 문을 을 을 교 교 교육 육 육학 학 학석 석 석사 사 사( ( (일 일 일반 반 반사 사 사회 회 회교 교 교육 육 육) ) )학 학 학위 위 위 청 청 청구 구 구논 논 논문 문 문으 으 으로 로 로 제 제 제출 출 출합 합 합니 니 니다 다 다. . .

2 2

20 0 00 0 05 5 5年 年 年 4 4 4月 月 月

조 조 조선 선 선대 대 대학 학 학교 교 교 교 교 교육 육 육대 대 대학 학 학원 원 원

일 일 일반 반 반사 사 사회 회 회교 교 교육 육 육전 전 전공 공 공

오 오

오 정 정 정 아 아 아

(4)

오 오

오정 정 정아 아 아의 의 의 교 교 교육 육 육학 학 학 석 석 석사 사 사학 학 학위 위 위 논 논 논문 문 문을 을 을 인

인준 준 준합 합 합니 니 니다 다 다. . .

심 심 심사 사 사위 위 위원 원 원장 장 장 조 조 조선 선 선대 대 대학 학 학교 교 교 교 교 교수 수 수 ( ( (인 인 인) ) ) 심

심 심사 사 사위 위 위원 원 원 조 조 조선 선 선대 대 대학 학 학교 교 교 교 교 교수 수 수 ( ( (인 인 인) ) ) 심

심 심사 사 사위 위 위원 원 원 조 조 조선 선 선대 대 대학 학 학교 교 교 교 교 교수 수 수 ( ( (인 인 인) ) )

2 2 20 0 00 0 05 5 5年 年 年 6 6 6月 月 月

조 조 조선 선 선대 대 대학 학 학교 교 교 교 교 교육 육 육대 대 대학 학 학원 원 원

(5)

< 목 차 >

표목차 ···ⅰ 그림목차 ···ⅱ ABSTRACT···ⅲ

Ⅰ.서론 ···1

1.연구의 목적 ···1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Ⅱ.사회과 교육의 이론적 배경 ···5

1.사회과 교육의 목표 ···6

2.사회과 교육의 성격 ···10

3.사회과 교육의 내용 ···12

4.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14

Ⅲ.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과 특징 ···25

1.제7차 교육과정 개정 배경 및 특징 ···25

2.제7차 교육과정의 분석 ···26

3.제7차 교육과정에서 사회과 교육과정의 주요개정 내용 ···28

4.교수학습 방법 ···30

5.사회과 교육과정 지도방법 ···38

6.평가 방법 ···41

Ⅳ.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해 ···45

1.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 취지 ···45

(6)

2.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의미와 이해 ···46

3.수준별 교육과정에 편성․운영 지침 ···47

4.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 ···48

5.사회과 심화․보충형 교육과정의 이해 ···53

Ⅴ.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59

1.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문제점 ···59

2.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효율화를 위한 개선 방안 ···60

3.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현장 정착을 위한 제언 ···61

Ⅵ.결론 ···64

참고문헌 ···67

(7)

< 표 목 차 >

【표 1】 사회과의 목표 요소 ··· 7

【표 2】 사회과 행동 영역별 목표 ··· 8

【표 3】 사회과 교육의 목표 ··· 12

【표 4】 교수 요목기의 사회과 편제 ··· 15

【표 5】 제1차 교육 과정기의 사회과 편제 ··· 15

【표 6】 제2차 교육 과정기의 사회과 편제 ··· 16

【표 7】 제3차 교육 과정기의 사회과 편제 ··· 18

【표 8】 제4차 교육 과정기의 사회과 편제 ··· 19

【표 9】 제5차 교육 과정기의 사회과 편제 ··· 20

【표 10】 제6차 교육 과정기의 사회과 편제 ··· 21

【표 11】 제7차 교육 과정기의 사회과 편제 ··· 24

【표 12】 고등학교 10학년 사회과의 내용체계 ··· 30

【표 13】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에서의 평가방안 -Ⅰ ··· 43

【표 14】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에서의 평가방안 -Ⅱ ··· 44

【표 15】 심화 ․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 ··· 49

(8)

< 그림 목차 >

【그림 1】 분화된 과제로 동일한 목표추구 ··· 50

【그림 2】 분화된 과제로 분화된 목표추구 ··· 50

【그림 3】 공통과제 ․ 분화된 과제로 분화된 목표추구 ··· 51

【그림 4】 학습 능력의 차별화 방안 ··· 52

【그림 5】 학습과제 선정과 해결 과정 ··· 52

【그림 6】 학습자 조직의 구성방안 ··· 53

(9)

ABSTRACT

A StudyontheCurri cul um ofgeneralSoci ety -The7thFocusedforHi ghSchoolCurri cul um

Jeong-ahOh

Advisor:Prof.Young-GonKim.Ph.D.

MajorinGeneralScienceEducation

GraduateSchoolofEducation,ChosunUniversity

Thisstudy looked intothefeasibledirection fortheSeventh Education Program for Sociology and furthermore, it studied the substantial improvementplan thatmay help the futur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SeventhHighSchoolSociologyEducationProgram.

TheSeventh Education Coursetakes'Fostering autonomicand creative Koreans who willlead the globaland information era of21C.'Also,it attachesimportanceto'studentorientedperleveleducationprogram'that pursues the developmentofstudents'healthy humanity,respectdifferent capabilitiesand aptitude,and intendsgrow creativity.Following this,the goalis forthe Korean education to transform into an education thatis pursued in harmony with equality and easiness that is process and activity oriented education program that emphasizes autonomy and spontaneitythatescapescontentorientededucationcoursethusfar.

Therefore,high schools focus on fostering citizenship thatunderstands socialphenomena synthetically,displays criticalthinking and reasonable decision making capability,and actively involves in resolving common

(10)

socialproblems.

Allalong,Sociology classes are criticized as boring cramming and memorization oriented curriculum.Sociology is a curriculum thattakes interest in various social phenomena,and it is important to provide students with a place to see, listen, and experience different social phenomena.

In orderto synthetically recognize society thathas many sides to it and dynamic,thesystematized knowledgein each academicarearequires to be reconstructed more synthetically. Knowledge oriented content integration is a method ofintegration thatpreserves.Conceptoriented method orintegration is a method thatorganizes the wide information thatpeoplefaceineverydaylifewithsocialconceptandsubject.

With Korean, Science, and Basic English that do not have clear hierarchy ofstudy contentrequirement,Sociology hascometo form and operatein-depth and supplementary education program perlevel.Thisis to provide different education program to students depending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by organizing basic course,in-depth course,and supplementary coursesothatdepthandwidthoflearning canbediffered dependingonstudent'scapabilityandinterest.However,sideeffectsofby levelclassthatfollowsthesamecharacteristicgroup formation,senseof inferiority and isolation feltby thestudentsin supplementary group,are being pointed outas problems and itis pointed outthatin-depth and supplementary group is unclear.Also,excessive workload on teachers following theteaching materialdevelopmentperleveland reasonableness andfairnessproblem areraiseagainstassessing basiccourseonlydueto school record issue. Therefore, in order to make in-depth and supplementary leveleducation program efficient,teachers'expertise must

(11)

be enhanced,various teaching and studying method thatis suitable for substantialknowledge information must be improved,and reduction of numberofstudentsinaclassmuchbedone.

(12)

<국문 요약>

일 일 일반 반 반사 사 사회 회 회과 과 과 교 교 교육 육 육과 과 과정 정 정에 에 에 관 관 관한 한 한 연 연 연구 구 구

- -

-제 제 제7 7 7차 차 차 고 고 고등 등 등학 학 학교 교 교 사 사 사회 회 회과 과 과 교 교 교육 육 육과 과 과정 정 정을 을 을 중 중 중심 심 심으 으 으로 로 로

일반사회교육학과 오 정 아 지 도 교 수 김 영 곤

본 논문은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방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앞 으로의 교육과정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제7차 고 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연구 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은 ‘21세기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창의 적인 한국인 육성’을 기본방향으로 한다.또 학생의 건전한 인성 발달을 도모 하고 다양한 능력과 적성을 존중하며 창의적인 능력을 기르고자 하는 ‘학습 자 중심의 수준별 교육 과정’을 중시한다.이에 따라 이제까지의 내용 중심의 교육 과정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자율성과 자발성을 강조한 과정․활동 중심 의 교육과정으로 우리나라 교육에 있어서 평등성과 수월성에 조화롭게 추구 되는 교육으로 전환 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등학교 사회과에서는 사회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비판적 사고와 합리적 의사 결정 능력을 발휘하며,사회 공동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 로 참여하는 시민의식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지금까지 사회과 수업은 지루한 주입,암기 위주의 교과라는 비판을 줄곧 받아 오고 있다.사회과는 다양한 사회현상에 관심을 갖는 교과로서 학습자 들이 다양한 사회현상을 직접 보고,듣고,경험할 수 있는 학습의 장을 제공 하는 것이 중요하다.

(13)

다면적이고 역동적인 사회를 종합적으로 인식하기 위해 각 학문 분야의 체 계화된 지식을 보다 종합적으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학문 중심의 내용 통 합 방식은 지리학,역사학,제반 사회과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보존하는 통합 방식이다.개념과 중심의 통합 방법은 인간이 일상저인 삶에서 부딪치는 많 은 정보를 사회과의 개념과 주체로 조직하는 방법이다.

학습 내용 요소간의 위계가 그다지 분명하지 않는 국어,과학,초등 영어와 더불어 사회과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게 되었다.학 생의 능력 또는 흥미에 따라 학습의 깊이와 폭을 달리할 수 있도록 기본과정 과 심화․보충과정으로 편성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교육과정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하지만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은 학 급내 동질 집단 편성에 따른 수준별 수업의 부작용,보충 집단 학생들의 열 등감,소외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보충집단과 심화집단을 나누 는 기준이 모호하다는 지적이 나타나고 있다.또한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 개 발에 따른 교사 부담과중,내신문제로 인해 기본과정만을 평가함에 있어 타 당성과 공정성 문제가 제기되었다.그러므로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의 효율화를 위해 교사의 전문성이 제고 되어야 하고 구체적인 지식 정보화 에 적합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성 및 학급당 학생 수 감축 등이 이 루어 져야한다.

(14)

Ⅰ.서론

1.연구의 목적

사회가 빠른 속도로 변화해 가면서 사람들은 그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을 습득한다.교육은 현재보다 나은 미래를 위한 투자인 셈이다.과거 에 비해 현대는 인터넷의 등장으로 정보,지식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과거의 암기 위주의 교육으로는 더 이상 살아남을 수 없다.그러므로 현대 인들에게 수많은 정보 가운데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선택해 스스로 해석하 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고 또한 교육 방법에 있어서도 과거의 주입식 교 육에서 벗어나 학생 자신이 스스로 생각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 이 필요하다.

교육계도 이러한 필요성을 깨닫고 변화를 시도하고 있고 그 변화가 처음으로 반 영된 것이 제7차 교육과정이다.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을 간단히 요약하면 교수-학 습방법에 있어서 수업의 개별화를 도모하고 학습자가 목표․계획․진행 과정을 분 석․평가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것이라 고 할 수 있다.

제7차 교육과정은 그 구성 방향을 자주적 생활 능력과 민주 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여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민주 국가의 발전과 인류 공영 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 이바지하게 하는 것이다.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 방침으 로 사회적 변화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길러 줄 수 있도록 교육과 정을 구성하고 국민공통 기본 교육과정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체제를 도입하였다.

이러한 체제를 통해 교육 내용의 양과 수준을 적정화하고,심도 있는 학습이 이루 어지도록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하고,학생의 능력,적성,진로를 고려하여 교육 내용과 방법을 다양화하며 교육 과정 편성과 운영에 있어서 현장의 자율성을 확대 하고,교육 과정 평가 체제를 확립하여 교육에 대한 질 관리를 강화하는 것을 들고

(15)

있다.1)

특히 사회과는 우리의 사회,문화적 상황 속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인간관계 및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인간 생활의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기능(문제 해결 및 사고 기능,정보의 활용 및 의사소통,참여 및 공 동생활 능력),가치와 태도를 길러 주는 교과이다.이러한 능력과 태도를 바탕으로 개인적,사회적 자아를 실현하게 하고 책임감 있고 사려 깊은 바람직한 민주 시민 적 자질을 길러주는 것이 궁극적 목적이다.따라서 사회과 교육의 주된 임무는 다 가올 미래 사회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토대로,그 사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는 실 질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의 실행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과 교육이 의도하는 바를 현실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효율적인 실현 을 위해서는 사회과 교육과정이 잘 개발되고 제도화되어야 한다.

교육과정은 구상하는 방법,또는 사회적 요구 등에 의하여 여러 가지 형태가 만 들어질 수 있고,또 시대의 변천에 따라 그것은 달라질 수도 있다.만약,교육과정 이 학교 교육에서 올바르게 적용되지 못한다면 교육이 추구하는 목표를 효율적으 로 실현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사회과 교육과정은 사회사상의 제반 현상 가운데 교육을 목적으로 재구성된 교 육계획이며 수업설계이다.학습자의 경험과 심리적 상태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그 학습 성과까지도 고려하여 계획되어야 하며,교육 실험 내지 교수-학습의 실제 상 황에서 전개되고 실현되도록 항시 재평가되어 수정․보안하는 개선 과정을 거쳐야 만 한다.

그러므로 모든 교육과정이 그러하듯이 급변하는 사회적 현상 및 가치관에 대응 하기 위해서는 사회과 교육과정도 끊임없는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제7차 교육과정이 과거의 사회적․교육적 변화의 요구와 이전의 교육과정의 보 안․수정의 노력으로 이루어진 바와 같이 현재의 제7차 교육과정 또한 더욱 발전 적인 다음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분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그 특징

1)교육부,『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1997-15호 사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1997)

(16)

및 문제점을 도출하며 그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더욱 발전적인 교육과 정의 지표를 설정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이 논문은 현재의 교육과정인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이며,현재의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향 을 제시하여 제7차 교육과정은 물론이고 차기의 교육과정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함이 주된 목적이다.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한 연구하였다.

Ⅰ.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그 내용 및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고

Ⅱ.사회과 교육의 이론과 배경에서는 사회과 교육이 어떤 것인가를 이해하고 목 표와 성격을 살펴봄으로써 사회과 교육의 이념 등의 사회과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봄으로써 과거의 사회과 교육과 정은 어떠했는지 알아보고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을 고찰하는데 이해의 토대가 되 도록 한다.

광복 후의 교육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는 제국주의 교육 방식을 청산 하고 민주주의 정신을 기르는 일이었으며 그것을 이념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제5차 사회과 교육과정시기와 교육과정이 중앙집권에서 지방분권의 형식으로 전환 되기 시작했던 제6차 교육과정을 살펴보는 흐름순으로 이루어져 있다.그리고 현재 의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이 제6차 교육과정과는 어떤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배경에서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이 설립되었는지 알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 이다.

Ⅲ.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과 특징에서는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17)

특성을 분석하기 위함이다.교육과정의 기본방향,목표,체제 및 구성 그리고 교수 방법과 평가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통하여,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 징과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알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Ⅳ.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해에서는 사회과에서 적용되고 있는 심화․보충 형 과정의 수준별 교육과정의 개념,도입배경,목적,유형 등을 살펴봄으로써 수준 별 교육과정의 내용을 이해한다.

수준별 교육과정 중 사회과에 적용되고 있는 심화․보충형 교육과정목표,내용, 심화․보충형 과정에 관한 운영방안 등 현재 운영되고 있는 사회과 수준별 교육과 정을 살펴보았다.

Ⅴ.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서는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 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은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이 바람직한 이념을 내포하고 있지 만 현실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이러한 문 제점들은 교육과정을 정착하기 위한 노력과 연구를 통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 써 교육과정을 보완하려고 한다.

Ⅵ.결론에서는 본연구의 취지 및 7차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및 수준별 교육 과정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한다.

이러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토대로 현재의 교과과정을 비교하는 해석학적인 방법을 택하였다.

(18)

Ⅱ.사회과 교육의 이론적 배경

사회과는 사회 현상을 올바르게 인식하고,사회 지식 습득과 필요한 기능을 익히 며,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육성하는 교과로 사회적 사실과 현상에 관한 지식을 발견하고 적용하는 데 필요한 사고력과 판단력의 신장을 강조하고,이를 위하여 학 습자가 다양한 탐구 방법을 활용하여 스스로 탐구해 가는 학습 전략을 지향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여러 가지 교육 여건으로 인해 학생 스스로 중심이 되어 탐구하 는 교육이 되지 못하였다.그러기 때문에 우수한 학생은 배우는 내용에 관해 흥미 를 잃게 되고,부진한 학생은 학습 부진이 누적된 채 학습 활동에 흥미를 잃게 되 었다.

그런데 2000년도부터 실시된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수준별 교육과정은 그 동안의 획일적인 교육에서 탈피하여 교육과정의 개별화와 교육과정의 다양화를 추 구하였다.다시 말해 학생들의 능력 수준에 따라 교육의 내용이나 방법을 달리한다 는 수준별 교육과정은 우수한 학생들에 대하여 그들의 수준에 가장 적합한 교육 내용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그들 수준에서 이룰 수 있는 최고의 학습을 이루게 하 자는 것이다.2)

이에 사회과에서도 수준별로 수업 활동 자료를 제작하고 수준별 수업을 함으로 써 학생들의 학습 능력,적성,관심,흥미에 맞게 다양한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신장되고,나아가 학습자들 간에 존재하는 교육 성취도의 차이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사회과의 목표에 달성할 수 있는 교 육을 이룰 수 있기에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하게 된 것이다.3)

2)소경은,『사회과 수준별 수업자료를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방안』(석사학위논 문,2003)p.24

3)김지나,『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2004)p.10

(19)

1.사회과 교육의 목표

가.총괄목표

4)

사회과 교육의 목표를 ‘사회 현상에 관한 기초적 지식과 능력은 물론,지리,역사 및 제 사회과학의 기본개념과 원리를 발견하고 탐구하는 능력을 익혀,우리 사회의 특징과 세계의 여러 모습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며,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현대 사 회의 문제를 창의적이며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공동생활에 스스로 참여하는 능력을 기른다.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발전은 물론 국가,인류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민주 시민의 자질을 기른다.’5)라고 했다.

사회과 총괄 목표는 사회과의 다양한 목표 요소와 그에 대한 견해들을 종합하고 있으며,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에서 순차적 또는 지속적으로 추구되는 목표 요소와 궁극적인 목표요소로 구성되어 있다.전자의 목표 요소로는 사회 현상에 관한 기초 적 지식과 능력,기본 개념과 원리의 탐구 능력,우리 사회의 특징과 세계의 여러 모습에 대한 이해,다양한 정보의 활용 능력,창의적이고 합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 공동생활에서의 참여 능력이 제시되어 있으며,후자의 목표 요소로는 개인의 발전 및 사회,국가,인류의 발전에 기여하는 민주 시민의 자질이 제시되고 있다.

학년 수준에 따라 지속적으로 강조되어야 할 목표 요소는 일차적으로 사회 현상 에 관한 기초적 지식과 능력,기본개념과 원리에 대한 탐구 능력을 기르고,이를 바탕으로 이차적으로 우리 사회의 특징과 세계의 여러 모습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 고,다음으로 다양한 정보의 활용능력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합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들 목표 요소들 간의 관계를 도표로 나타내면 【표 1】과 같다.

4)교육부,상계서 pp.19-20

5)김형수․김태규.『공통사회-사회과 교육론』(형설출판사)p.175

(20)

사회 인식 및 인식 방법 ↴

일차적 목표요소 이차적 목표 요소 궁극적 목표

【표 1】 사회과의 목표 요소

․기초적 지식과 능력

․기본개념과 원리에 대 한 탐구 능력

․다양한 정보의 활용 능 력

시간․공간․사회 의식

․우리 사회의 특징과 세 계의 여러 모습에 대한 이해․창의적이고 합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

종합적 사회 인식

⇒ ․개인의 발전 및 사회, 국가,인류의 발전에 기 여하는 민주 시민의 자질

인간 형성과 시민적 자질 육성

공동 생활의 참여 능력

사회과 총괄 목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전통적인 방식대로 ‘사회 인식의 형성’목표가 ‘시민적 자질의 육성’목표에 앞서 제시되어,전자가 후자의 수단이 되면서 ‘시민적 자질의 육성’에 중점이 주어 져 있지만,사회 인식 과정과 과학적으로도 보편적인 가치 및 체계성이 손실된 극 단적으로 규범적이고 이념적인 시민적 자질만이 강조되지 않도록 사회 인식의 형 성과 관련된 다양한 목표 요소들이 제시되고 있다.

둘째,사회 인식의 형성을 위하여 기초적 지식과 능력,기본개념과 원리에 대한 탐구 능력,다양한 정보의 활용 능력이 강조되어,지식 및 탐구 방법의 이해가 사 회 인식의 기본 이라는 관점을 유지하고 있다.

이때 사회 현상에 관한 기초적 지식과 능력은 무엇을 가리키는 것일까?지식의 성격은 사회현상 자체 즉 사실을 지칭하는 것이다.사회과에서 가르치는 지식의 구 조는 사실-개념-일반화로 추상화되는 것으로 그 위계 안에서 과학적 이론을 구성 하는 데에 사용되는 사실을 기초적 지식이라고 볼 수 있다.사회과에서는 역사적 사실이나 국토모습,정치와 법 내용 등이 중요한 사회과 학습의 기초가 된다.그러 나 그러한 사실도 학습자가 그 이상 추상화된 지식 형성이나 현실적용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학습 목표 요소로서 교육적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그렇지 않으면 학 교의 공식적 사회과 교육이 사실을 열거하는 상식 차원과 다를 바 없기 때문에 자

(21)

칫하면 사회과 교육이 지식을 전달하는 정보교육 차원에 머무를 가능성이 있다.

셋째,종래에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오던 ‘국민적․민족적 자각과 신념의 육성’이 배제되고 제6차 교육 과정에서부터 부각된 ‘시민적 자질’이 계속하여 강조되고 있 으며,그러면서도 개인과 사회가 균형적으로 고려되도록 개인의 발전과 같은 인간 형성과 시민적 자질 및 사회의 발전을 동시에 강조하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나.행동 영역별 목표

6)

행동 영역별 목표는 6개항으로 구성되어 있다.‘가’항은 역사,지리,제 사회과학 의 상호 관련 하에 통합적 관점을 강조한 목표이며,‘나’이하의 항목들은 학년이 올 라갈수록 교과의 특성상 분명하게 드러나는 행동 영역별 목표들이 제시되어 있다.

즉,영역별 목표는 1개항의 교과 특성과 관련된 목표와 5개항의 행동 영역별 목표 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표 2】와 같다.

목표항목 영역 핵심 요소

가 통합 사회의 여러 현상과 특성의 통합적,체계적 이해 나 지식(지리)

-인간과 공간

인간과 자연과의 상호 작요의 이해

삶의 터전에 따른 인간 생활의 다양성 이해 지역의 지리적 특성 이해

다 지식(역사) -인간과 시간

우리나라의 역사적 전통과 문화의 특수성 파악 우리 문화와 민족사의 발전상의 이해

인류 생활의 발달 과정과 각 시대의 문화적 특색 파악 라 지식(일반사회)

-인간과 사회

사회생활에 관한 기본적 지식 이해

정치․경제․사회․문화 현상의 기본적 원리의 이해 현대 사회의 성격과 사회 문제들의 파악

마 기능학습과정 지식과 정보의 획득․조직․활용 능력

탐구 능력,의사 결정 능력,사회 참여 능력,합리적 문 제 해결 능력

바 정의적 학습과 정-가치․태도

민주적 생활 태도

당면한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

민족 문화 및 민주 국가의 발전에 이바지하려는 태도

【표 2】 사회과 행동 영역별 목표

6)교육부,상게서 pp.20-22

(22)

‘가’항은 사회과의 통합적 성격을 강조한 것으로 학습 내용인 사회의 여러 현상 과 특성을 그 사회의 ‘지리적 환경,역사적 발전,정치․사회적 제도 등과 관련하 여’가르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나’항은 ‘인간과 공간’영역과 관련되는 것으로 일차적으로 ‘인간과 자연 간의 상 호 작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장소와 삶의 터전 내지 생활 무대가 달라진 데 따른 ‘인간 생활의 다양성’을 파악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또 ‘여러 지역의 자연 환경적,인문 환경적인 지리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 는 것이 중요시 되며,고장,지역,국토에서 나아가 세계에 이르기까지 지역의 규모 에 따른 학습의 계열화를 요구하고 있다.

‘다’항은 ‘인간과 시간’영역과 관련되는 것으로 국사 영역과 세계사 영역으로 구 분하여 이해할 수 있다.역사적으로 구분되는 ‘각 시대의 특색’을 중점적으로 이해 하고,그것을 중심으로 우리 민족의 ‘역사적 전통과 문화의 특수성’을 파악할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시대의 흐름에 따른 전통과 문화의 특수성 파악은 ‘우리 문화와 민족의 발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어서 핵심이 된다고 보고 있다.이와 같은 생활사 및 국사 지식을 바탕으로 ‘인류 생활의 발달 과정과 각 시대의 문화적 특색’을 파악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라’항은 ‘인간과 사회’영역과 관련되는 목표로서 제 사회과학과 관련되는 ‘정 치․경제․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기본 원리를 종합적으로 이해’시키는 것을 중시 하고 있다.정보화,개방화,다원화가 심화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개인적․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대 사회의 성격 및 여러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마’항은 기능 영역의 목표로서,지식 영역의 전 목표와 깊은 관련을 맺고 길러 져야 할 기능 또는 능력에 대한 것이다.‘사회 현상과 문제를 파악’함에 있어 현상 과 문제란 역사,지리,제사회 과학과 관련되는 문제들이며,어느 지식 영역의 학습 에서든 ‘지식과 정보를 획득,조직,활용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사회과에서 ‘탐구 능력’,‘의사 결정 능력’,‘사회 참여 능력’들도 모든 지식 영역의 학습 과정에서 지식의 이해와 함께 추구되는 것이며,그렇게 될 때 비로소

(23)

‘사회생활에서 나타나는 여러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의사 결 정 능력이 길러진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바’항은 가치 태도와 관련된 목표로서 사회과 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의 교육이 가능함을 강조하고 있다.‘사회 문제들에 관심을 가지는 태도’와 ‘민주 국가 발전에 이바지 하려는 태도’는 역사,지리 및 제 사회과학의 모든 지식 영역과 관련시킬 것을 요구하고 있다.

2.사회과 교육의 성격

7)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은 3학년에서 10학년까지 함께 제시되어 있으며,‘사회과 의 성격’에서 사회과의 개념 및 최종 목표,학습 내용의 요소,내용의 선정 및 조 직,교수․학습의 전략 및 강조점,학교급별 특성과 주안점 등을 밝히고 있다.

먼저 기르고자 하는 시민의 바람직한 인성 내용인 민주시민의 자질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명시되고 있다.즉 인권 존중,관용과 타협의 정신,사회정의의 실현, 공동체 의식,참여와 책임 의식이 언급되고 또한 한국인으로서의 민족적 정체성과 세계 시민으로서의 가치,태도까지 언급되고 있다.

그리고 사회과의 성격에서는 사회과의 정의를 사회 현상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사회지식 습득과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능을 익히며 민주 사회 구성원에게 요청되 는 가치와 태도를 지님으로써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육성하는 교과라고 정의하 고 있다.또한 학습자 중심의 수준별 교육과정을 추구하고 있다.이는 학습자의 사 회인식 과정을 실제적으로 고려하는 방법 차원에서의 성격 규정으로 학습자의 자 기 주도적인 사회인식 과정 및 방법이 중시되는 방법중심 사회과라는 특징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사회과의 성격에 대해서 특별히 하나의 관점을 취하기보다는 종합적인 관 점을 견지하고 있는데,다시 말해 사회과 교육과정의 성격에는 공동체 의식,관용

7)교육부,『사회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1997) 박종희 외 8,『고등학교 사회』(서울 :천재교육,2001)p.12

(24)

과 타협정신,참여와 책임의식 등의 민주적 가치와 태도를 함양하고,사회과학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현상을 종합적으로 탐구하며,사회적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민주시민의 자질을 육성하는 교과라고 규정하는데 이렇게 서로 다른 세 관점이 종합적으로 공존하고 있는 것이다.

사회과 교육은 다양한 사회상황 속에서 이루어지는 인간관계를 보다 바람직하게 형성하게 하고 인간 존엄을 바탕에 두고 개인과 사회의 제 문제를 합리적으로 결 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사회과학의 통합적 구성으로 이루어진 사회과 교육은 학습을 통해 인간 사회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고 나아가 제반 사회 현상에 대한 올 바른 인식을 통해서 사회와 인간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 작용에 대해서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이다.즉 사회 구성원으로써 다른 구성원들과 주어진 역할의 수행을 원만하고 조화롭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제7차 사회과 과정에는 초등학교, 중학교,고등학교간의 연계성과 학교 급별 강조점이 제시되어 있다.먼저 초등학교 에서는 주위의 현상에 대한 관심,의문을 가지면서 기초적인 개념을 이해함으로써 일상생활 경험과 적응을 강조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사회과 교육 교과 지도서에 나타나 있는 사회과의 성격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사회과 교육은 우리 국가의 발전과 국민 생활의 번영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공헌할 수 있는 바람직한 한국인을 기르는 일과 직결된다.교과의 특성상 국적 있 는 한국인상의 확립을 강조한다.

둘째,사회적인 사실,현상을 학습의 대상으로 하여,사회과학 분야의 연구결과를 교육에 활용한다.즉 정보화시대의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발생하는 사회문제에 대 한 대처능력을 기르는 교과이다.

셋째,사회과학 지식을 연구하고 필요한 사회과학적인 사고 능력을 배양시켜 합 리적 해결방안을 찾도록 도와주는 교과이다.

넷째,사회 현상에 대한 분석 능력과 지식체계를 배우는 것과 함께 가치와 태도 의 학습도 요구된다.이러한 내용을 보면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회과 교 육의 최종 목표가 가장 상위에 존재하고 각 분야의 학문들로부터 추축된 개념과

(25)

원리들이 가장 하위에서 최종 목표를 향해 가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총괄목표 개인․국가․사회․인류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 육성

⇧ ⇧ ⇧

영역별행동 목표

지식․이해

⇦ 지식․이해

⇦ 기능 가치

(통합) 인간과 태도

공간 인간과

시간 인간과 사회

․사회 현 상과 특성 을 지리, 역사, 사회 과학의 통 합적 관점 으로 이해

․인간과 자 연과의 상호 작용 이해

․삶의 터 전에 따른 인간생활의 다양성 이 해

․ 지 역 의 지리적 특 성 이해

․우리나라 의 역사적 전통과 문 화의 특수 성 파악

․우리 문 화와 민족 사의 발전 상 이해

․인류 생 활의 발달 과정과 각 시대의 문 화적 특색 파악

․사회 생 활에 관한 기본 지식 이해

․정치․경 제․사회․

문화 현상 의 기본 원 리 이해

․현대 사 회의 성격 과 사회 문 제 파악

․지식과정보의 획 득 ․ 조 직․활용능력 함 양

․ 탐 구 능력, 의 사 결정능력, 사 회 참여능력, 합 리적 문제 해결 능력 배양

․민주적생활 태 도

․당면한사회 문 제에 대한 관심 제고

․ 민 족 문화 및민주 국 가 발전에 이바 지 하 는 태도 습득

【표 3】사회과 교육의 목표

3.사회과 교육의 내용

미국 사회과 교육협회헌장에 나와 있는 사회과 교육의 내용에 대한 정의는 ‘역 사,경제학,사회학,공민(일반사회)의 목적과 내용이 사회적으로 수정된 모든 교과’

라고 규정하고 있다.즉 사회과 교육의 기본적 내용이 사회과학,정치학,경제학, 사회학,문화인류학,역사,지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이러한 사회과학 중심의 사

(26)

회과 교육의 내용은 첫째,사회과학 각 영역의 주요 개념과 원리,둘째,현대 사회 의 연구에 필요한 방법적 지식,셋째,사회과학 각 분야에 대한 가치적인 요소들로 구성된다.사회과의 특성상 방대한 분야의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내용을 학습자에게 의도한대로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겠는가?하는 문제제기로부터 학 문의 구조를 중심으로 하여 중점 내용을 추출하여 가르쳐야 한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따라서 사회과 교육의 내용을 이루는 각 분야에 대한 기초 기념을 체계화시 켜야 한다.8)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개정의 방향과 교육 목표를 실천하기 위하여 내용 을 선정하는데 다음과 같은 면을 고려하였다.

먼저,학생의 측면에서

① 학습의 개별화,학습자간의 상호작용,학습자의 능동적 지식 형성과정을 고려 하는 내용을 선정한다.

② 지식과 생활 경험의 통합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경험,생활과의 관 련성이 높은 사실과 문제 및 주제를 내용으로 선정한다.

③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탐구 지향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최소 필수 내용을 정 선한다.

다음으로 사회․국가적 측면에서

① 인간을 존중하고 현대 사회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자아 실현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한다.

② 개인과 사회의 문제,쟁점,과제를 심미적,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것과 관련되 는 내용을 선정한다.

③ 시민적 자질 함양을 위한 사회과 가치 교육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가치문제를 함축한 쟁점과 의사 결정 문제를 내용으로 선정한다.

④ 사회과 학습의 유용성,적합성,적용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지식과 사고기능, 학습기능,사회적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내용을 선정한다.

⑤ 사회의 변화와 미래의 준비를 위하여 정보화와 개방화,세계화와 지방화 시대

8)민병화,『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적 고찰』 (석사학위논문,2003)p.6

(27)

에 대응하고,민족 통일을 대비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관점과 요구를 반영한 다.

그리고 학문․철학적 측면에서

① 널리 합의된 역사,지리,사회과학의 기본개념과 원리를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사회 현상,사회 문제 및 쟁점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사고력을 신장하는 데 도움을 주는 내용을 선정한다.

② 사회 현상의 다면적 ․다차원적 고찰을 위해 통합적 관점이 드러나는 내용을 선정한다.

4.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9)

초․중학교와 달리 고등학교의 사회과는 그 성격상 과목 분리형으로 되어 있어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 과정의 변천 특징을 살펴보려면 지리 영역,역사 영역,일반 사회 영역의 과목에 대한 변천을 살펴봄으로써 파악될 수 있겠지만,우선 전체적으 로 사회과가 어떤 구조로 변천되어 왔는가를 알 필요가 있다.따라서,여기서는 교 육 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과 교과목의 편제 및 시간 배당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사 회과 교육 과정 전체의 변천을 살펴보기로 한다.

가.교수 요목기(1946~1954):사회과의 성립

교수 요목기는 미군정하에서 교수요목(敎授要目)을 제정,실시하였던 시기이다.

광복 후의 교육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는 제국주의 교육 방식을 청산하 고 민주주의 정신을 기르는 일이었으며 그것을 이념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를 위한 선도적인 교과로서 사회과라는 새로운 형태의 교과로 출현되었다.교수 요목기의 사회과는 중학교와 마찬가지로 분과형의 사회과로서 공민,지리,역사로

9)교육부,상게서 pp.4-11

(교육부에서 제작 배포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서에서 발췌한 내용으로 정형화 되어 있 는 교육과정의 변천사를 요약 정리하였음.)

(28)

나누어 교수되었으며,고등학교 사회과의 영역과 편제표는 【표 4】와 같다.

구 분

학년 공 민 주당

시간 지 리 주당

시간 역 사 주당

시간 1

2 3

정치편(개론) 경제편(개론) 윤리 철학(개론)

2 2 2

지리 통론 인문 지리 경제 지리

2 2 2

인류 문화사 우리 문화사 인생과 문학

2 2 2

【표 4】 교수 요목기의 사회과 편제

나.제1차 교육 과정기(1954~1963):초기 사회과 시대,교과중심 교 육과정

이 시기는 우리나라 교육의 과도기로서,6.25전쟁 이후의 사상적 혼란,재정 파 탄,물질주의적 사고의 팽배 등 국가적 난국을 타개할 필요성에 따라 당시의 가장 중요한 교육적 과제는 반공 사상의 고취와 기술 교육 등이었다.특히 도덕 교육에 대한 사회,국가적 요청에 따라 도덕과가 사회과에서 분리되어 설치된 것이 특징이 다.

제 1차 교육 과정의 고등학교 사회과 편제는 【표 5】와 같다.

과 목 필수․선택 시 간 배 당

1학년 2학년 3학년

일 반 사 회 필 수 105(3) 105(3) 35(1)

도 덕 필 수 35(1) 35(1) 35(1)

국 사 필 수 140(4) 105(3)

세 계 사 선 택 105(3)

지 리 선 택 105(3)

【표 5】 제 1차 교육 과정기의 사회과 편제

* ( )안은 주당 시간 수

사회과 안에는 일반 사회,도덕,국사,세계사,지리의 5과목이 있었고,그 중 세 계사,지리는 선택 과목이었다.이 편제에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읽을 수 있다.

(29)

첫째,우리나라의 교육 과정상에 ‘일반 사회’라는 과목이 최초로 등장했다는 사실 이다.

문교부령 제 46호(1955.8.1.공포)에 따르면,“고등학교 ‘일반 사회’는 고등학교 사회과가 담당하는 영역 중 지리적 면,역사적 면,도덕적 면을 제외한 정치,경제, 사회,문화의 면을 주로 담당하게 된다.그러므로 고등학교 ‘일반 사회’는 중학교 사회생활과 공민 영역의 연장이라고도 하겠다.”라고 되어 있다.이후 사회과를 일 반 사회(공민),역사,지리로 3분하여 말하게 되었다.둘째,교과의 명칭은 초,중학 교와는 달리 ‘사회생활’이 아닌 ‘사회’로 하고 있으며,교과목으로는 공민이라는 과 목이 없어진 대신에 ‘일반 사회’와 ‘도덕’과목이 신설되었다.셋째,시간 배당이 지 리,역사,공민 영역의 3등분이 아니고,공민 영역(여기서는 일반 사회와 도덕 과 목)의 비중이 매우 높고 지리 영역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다.제 2차 교육 과정기(1963~1974):사회과의 정착기,경험중심 교육 과정

이 시기는 우리나라 교육 과정의 개편기로서 종전의 ‘시간 배당 기준표’와 ‘교과 과정’을 묶어서 ‘교육 과정’으로 하였다.4.19혁명과 5.16군사 정변 이후의 제 3 공화국에서는 혁신적인 정책적 전환을 하여 민족 주체성의 확립,근대화,반공 통 일 등이 주요 과제로 등장하였다.제 2차 교육 과정의 사회과 편제는 【표 6】과 같다.

과 목 과정별 필수․선택 단 위 수

일 반 사 회 국 민 윤 리

국 사

세 계 사 지 리 Ⅰ 정 치․경 제 지 리 Ⅱ

공통 (필수)

〃 인문 (선택) 자연 (선택)

4 4 6 6 6 4 6

【표 6】 제 2차 교육 과정기의 사회과 편제

(30)

따라서,제 2차 교육 과정의 사회과 편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역사,지리,그리고 일반 사회의 세 영역으로의 구분이 보다 확연해지고,이 세 영역 간의 단위수 상의 균형을 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그 결과,역사 영역 이 축소되고,상대적으로 지리 영역이 확대되었다.이는 미국 사회과적 색채가 흐 려지고,일본 식민지 시대의 3분법적 ‘전통’으로의 회귀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도덕이 국민 윤리로 바뀌면서 여전히 일반 사회 영역의 한 지분을 차지하 고 있음을 볼 수 있다.이 또한 일본적 ‘전통’을 지키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셋째,일반 사회 영역의 해체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정치․경제’가 별도의 과목으로 탄생됨으로써 이제 ‘일반 사회’는 하나의 영역을 의미하는 개념이 아니라 하나의 과목명으로 변질되고 만 것이다.

넷째,사회과가 ‘작은 교과’로 전락되기 시작했음을 발견할 수 있다.보통 주요 교 과라고 말하는 국어(42단위),외국어(48단위),수학(46단위),과학(52단위),사회(36 단위)의 5교과 중 사회과의 총 단위 수가 가장 적게 책정되어 있는 사실만으로도 그 사정을 충분히 엿볼 수 있다.

라.제 3차 교육 과정기(1974~1981):사회과의 토착화기,학문중심 교 육과정

이 시기는 우리나라 교육 과정의 발전기로서,국제 사회가 종전의 이념적 양극 대립에서 실리 추구의 다극 관계로 전환됨에 따라 한반도에 공산 침략의 위험이 고조되었고,국내적으로도 급격한 경제 성장에 따른 각종 사회 문제가 나타나 국민 정신 교육과 국력의 집결이 나타나게 되었다.따라서,제 3차 교육 과정은 방향면 에서는 국적 있는 교육의 강화,교육의 방법적 원리면에서는 학문중심 접근 방식을 배경으로 하여 개정된 것으로서,국민 교육 헌장의 이념을 기본으로 하여 국민적 자질의 함양,인간 교육의 강화,지식과 기술 교육의 쇄신을 기본 방침으로 하였다.

제 3차 교육 과정의 사회과 편제는 【표 7】과 같다.

(31)

따라서,제 3차 교육 과정의 사회과 편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사실상 사회과의 해체가 일어났다.민족의식을 고양하기 위해 국사 교육을 강화했고,그를 위해 국사를 별도의 독립 교과로 만들었다.또,반공 의식,국가 의 식의 고양을 위해 국민 윤리를 수위(首位)교과로 독립시켰다.

교 과 목 필수․선택 단위

사 회

정치․경제 사회․문화 세 계 사 국토 지리 인문 지리

필 수 4~6

4~6 4~6 4~6 4~6 1과목 선택,공통 인문계는 공통에서

제외된 3과목 선택

국 민 윤 리 필 수 6

국 사 필 수 6

【표 7】 제 3차 교육 과정기의 사회과 편제

둘째,국사 교육과 세계사 교육의 관련성 문제이다.국사 교육의 강화 하나만을 볼 수밖에 없는 입장에서 개발된 교육 과정의 균형의 문제이다.즉,국사만을 독립 시켰기 때문에 국사와 연계되어 있는 세계사는 사회과 안에 위치하게 되었다.즉, 국사와 세계사가 각각 다른 교과가 되었다는 것이다.

셋째,과목의 선택 개념이 도입되었다.인문,자연,직업 과정의 구분이 명확해졌 고,이에 따라 과정별로 과목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물론,학습자 나 교사의 자유스러운 선택이 가능해진 것은 아니지만,과목을 선택적으로 학습할 수도 있다는 점이 확인된 셈이다.

넷째,‘일반 사회’가 없어졌다.제 2차 교육 과정에서 해체되기 시작한 ‘일반 사회’

가 완전히 자취를 감추고 ‘정치․경제’와 ‘사회․문화’로 분리된 것이다.처음부터 개념상의 혼란을 빚었던 ‘일반 사회’라는 개념이 역사,지리 영역과 마찬가지로 ‘정 치․경제’,‘사회․문화’와 같이 과목명을 확실히 하게 된 것이다.

(32)

마.제 4차 교육 과정기(1981~1988):사회과의 성숙기,경험․학문․

인간 중심 교육과정

제 4차 교육 과정은 앞으로 다가올 미래 사회(민주 사회,고도 산업 사회,건전한 사회,문화 사회,통일 조국)에 기대되는 인간상(건강한 사람,심미적인 사람,능력 있는 사람,도덕적인 사람,자주적인 사람)과 제 5공화국의 출범에 따른 교육 개혁 조치를 고려하여 개정된 것이다.이에 따른 개정의 기본 방향은 국민 정신 교육의 체계화,전인 교육의 충실,과학 기술 교육의 강화에 두고 건전한 심신의 육성,지 력과 기술의 배양,도덕적인 인격의 형성,민족 공동체 의식의 고양을 강조하고 있 다.제 4차 교육 과정의 사회과 편제는 【표 8】과 같다.

교과목 필수․선택 및 단위

공통 필수 인문 사회 과정 자연 과정

사 회

사 회 Ⅰ 사 회 Ⅱ 지 리 Ⅰ 지 리 Ⅱ 세 계 사

4~6(2~6)

4

4 2 4~6(2~6)

⌉∣

⌋ 택 1 2(2)

국 민 윤 리 6

국 사 6(4)

【표 8】 제 4차 교육 과정기의 사회과 편제

※ ( )안은 실업계 및 기타계 고등학교의 기준 단위 수임.

제 4차 교육 과정의 사회과 편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사회 Ⅰ,Ⅱ라는 새로운 과목이 등장하였다.그 내용은 ‘정치․경제’,‘사 회․문화’를 통합,조정하여 구성했다고 진술하고 있다.제 3차 교육 과정에서는 분 과의 입장이었는데,다시 통합을 강조하게 되었다.

둘째,작은 범위이기는 하지만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사회 Ⅰ,Ⅱ,지리 Ⅰ,Ⅱ 중 Ⅰ은 필수,Ⅱ는 선택이라는 방법을 취하면서 선택의 기회를 넓히려는 노력을

(33)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셋째,‘세계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이수 시간이 4~6단위에서 2단위 로 줄어들었고 인문계 고등학교 자연 과정이나 상업 및 기타 계열 학생들은 실질 적으로 세계사를 거의 이수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생겨나게 되었다.

바.제 5차 교육 과정기(1988~1992):사회과의 성숙기,통합과 지역화 의 강조,중심관점의 통합

제 5차 교육 과정은 ① 교육 철학,학문 내용,교육 방법의 변화,② 경제적 발전 과 사회의 변화,③ 현행 교육 과정 공포 이후 7년 경과,④ 국제 경쟁력의 강화 필요,⑤ 교육의 질적 고도화에 따라 개정되었다.제 4차 교육 과정에서 개선이 필 요한 부분만 개정한다는 기본 원칙 하에서 주체성,창조성,도덕성을 지닌 인간을 기른다는 기본 방향 하에 개정되었다.제 5차 교육 과정의 사회과 편제는 제 4차의 수준별 구분에서 영역별 구분으로 【표 9】와 같이 조정되었다.

교 과 목 필수․선택 및 단위

공통 필수 인문 사회 과정 자연 과정

사 회

정 치․경 제 한 국 지 리 세 계 사 사 회․문 화 세 계 지 리

6(4) 4(4)

4 4 4

4

국 민 윤 리 6(6)

국 사 6(4)

【표 9】 제 5차 교육 과정기의 사회과 편제

※ ()안은 실업계 및 기타계 고등학교의 기준 단위 수임.

즉,제 5차 교육 과정의 사회과 편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과목 명칭이 제 3차 교육 과정기와 같이 다시 ‘정치․경제’,‘사회․문화’,

‘한국 지리’,‘세계 지리’로 환원되었다는 사실이다.

(34)

둘째,이수 단위가 조정되어 ‘정치․경제’의 이수 단위가 4~6단위에서 6단위로

‘세계사’가 2단위에서 4단위로 상향 조정되었으나 나머지 과목들은 모두 2단위로 고정되었다.

사.제 6차 교육 과정기(1992~1997):사회과의 본질 구현기,쉽고 재 미있는 교과 지향

제 6차 교육 과정 개정은 민주화,정보 사회화,고도 산업화,국제화,통일 대비 등 급격한 시대적,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고 교육 현실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초․중 등학교의 기초,보통교육의 질적 향상을 이룩한다는 목표 아래 미래 사회에 필요한 도덕성의 함양과 창의성의 개발에 역점을 두고 개정되었다.제 6차 교육 과정의 사 회과 편제에서는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많은 변화를 보여 주고 있다.

교과목 및 단위 필 수․선 택

사 회

공 통 사 회 (8) (일반 사회,한국 지리)

국 사 (6)

정 치 (4)

경 제 (4)

사 회 ․ 문 화 (4)

세 계 사 (6)

세 계 지 리 (6)

공통 필수(필수)

과정별 필수(선택)

윤 리 (6) 공통 필수 (필수)

【표 10】 제 6차 교육 과정의 사회과 편제

제 6차 교육 과정의 사회과 편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공통 사회’라는 새로운 과목이 등장하고 있다.‘공통 사회’를 새로이 개발하 게 된 배경은,사회과의 전 영역을 포괄하는 기초적인 내용을 다루는 하나의 과목 을 공통 필수로 하고,나머지는 모두 선택으로 한다는 데 있었다.다만,개발 과정 에서 역사,지리 및 일반 사회의 전 영역의 기초적인 내용을 추출하고 재구성한다

(35)

는 일이 대단히 어려운 작업이었고,역사,지리,일반 사회 영역의 균형 있는 과목 배열을 바라는 여론 때문에 당초의 계획은 상당히 수정될 수밖에 없었다.결국,공 통 사회는 사회,일반 사회 영역과 지리(한국 지리)영역으로 양분하여 구성하게 되었다.이로써 역사(국사),지리(한국 지리),일반 사회가 공통 필수에 함께 들어갈 수 있게 된 셈이다.

둘째,국사가 사회과 안에 복귀하게 되었다.국사가 사회과 안에 복귀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볼 때 교과가 줄어 교육 과정의 감량화가 이루어졌고,시민 교육의 차 원에서 본다면 시간적,공간적 구조 속에서의 사회 인식에 토대한 시민적 자질 육 성 교육이 가능해졌다고 하겠다.또 역사 교육의 차원에서 보더라도 한국사와 세계 사를 하나의 틀 속에서 학습할 수 있게 되어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정치․경제’가 ‘정치’와 ‘경제’로 분리되었다.‘공통 사회’이외의 과목은 모 두 선택으로 한다는 방침이었기 때문에,‘정치․경제’를 하나의 과목으로 묶어 둘 필요가 없었고,이는 선택 과목의 확대 방침과 경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그간 의 여론을 반영한 조치였다.

넷째,선택의 폭이 실질적으로 확대되었다.학습자의 입장에서,혹은 각 학교나 지역 사회의 실정에 따라 교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넓혀 줌으로써 교육 과 정의 개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고,또 그와 같은 방향으로의 노력도 있어 왔다.제 6차 교육 과정에서는 공통 사회(사회 영역,지리 영역),국사 이외의 모든 과목은 각 시․도별 혹은 학교 차원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실질적 인 선택 폭의 확대를 기약할 수 있게 되었다.

아.제 7차 교육 과정기(1997~ )

제 7차 교육 과정은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사회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 인 한국인 육성”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여,학생의 건전한 인성 발달을 도모하고 다양한 능력과 적성을 존중하며 창의적인 능력을 기르고자 하는 학생 중심의 교육 과정이다.‘학습자 중심의 수준별 교육 과정’을 표방한 제 7차 교육 과정의 사회과 편제에서는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의 신설과 함께 많은 변화를 보여 주고 있다.

(36)

즉,고등학교는 국민 공통 교육 기간의 10학년과 선택 교육 기간에서의 11~12학 년으로 나눌 수 있다.먼저,고등학교 1학년인 10학년에서는 9학년까지의 학습 내 용을 종합,정리하고 보다 심화된 수준의 지식과 기능,그리고 이들을 보다 높은 수준의 현실 문제에의 적용을 시도하였다.또,11~12학년의 선택 교육 기간에는 사회과 관련 1개 과목의 일반 선택 과목과 9개 과목의 심화 선택 과목으로 구성 되어 있다.제 7차 교육 과정에서의 고등학교 사회과 편제를 알아보면 【표 11】과 같다.

제 7차 교육 과정의 사회과 편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제 6차 고등학교 사회과에서의 ‘공통 사회’과목이 없어지고 10학년 ‘사회’

로 대체되었다.현행 제 6차 고등학교 사회과에서의 ‘공통 사회’과목은 고등학교 사회과의 각 과목의 목표를 안내하고 통합적인 사회 인식과 의사 결정 능력의 신 장 등을 위한 공통필수과목으로 되어 있다.그러나 영역은 크게 일반 사회 영역과 지리 영역으로 나누어 교과서도 별도로 개발하고 단위수도 별도로 배당,이수하도 록 하고 있다.그러나 제 7차 교육 과정에서는 10학년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 에 입각하여 제 6차 교육 과정 상의 ‘공통 사회’과목이 고등학교 10학년 ‘사회’로 대체되고,공통 사회 과목의 교과서가 일반 사회와 한국 지리의 별책으로 편찬되어 있던 것을 1책으로 편찬하도록 하였다.그리고 10학년 사회의 내용 구성은 지리 영역과 일반 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각 영역에서 세계사 관련 내용을 통합하도록 구성하였다.

둘째,제 7차 교육 과정의 편제상에서 선택 과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일반선택 과목이며,다른 하나는 심화 선택 과목이다.일반 선택 과목이 갖 는 편제상에서의 성격은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의 학습을 정리하면서 심화 선택 과 목의 학습을 위한 준비 교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즉 일반 선택 과목은 국민 공통 기본 교과와 심화 선택 과목을 연결하는 과목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국민 공통 기본 교과별로 하나씩의 과목을 개설하여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사회과의 경우에는 ‘인간 사회와 환경’과목이 이 같은 성격을 갖는 과목으로 개 발되었다.심화 선택 과목은 국민 공통 기본 교과에 대한 학습과 일반 선택 과목에

(37)

교 과 목 및 단 위 필수․선택

사 회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

사회

(10:국사 4단위 포함) 공통 필수(필수)

선택 중심 교육 과정

인간 사회와 환경 (4) 한 국 지 리 (8) 세 계 지 리 (8) 경 제 지 리 (6) 한 국 근 ․현대사 (8) 세 계 사 (8) 법 과 사 회 (6)

정 치 (8)

경 제 (8)

사 회 ․ 문 화 (8)

일반 선택 과목(선택)

심화 선택 과목(선택)

【표 11】 제 7차 교육 과정기의 사회과 편제

대한 학습을 기초로 각 교과 영역별로 2~4과목씩의 심화 선택 과목을 두고 있다.

지리 영역의 경우에는 심화 선택 과목으로 ‘한국 지리’,‘세계 지리’,‘경제 지리’과 목이 개발되었으며,역사 영역의 경우에는 ‘한국 근․현대사’,‘세계사’과목이,그리 고 일반 사회 영역에서는 ‘법과 사회’,‘정치’,‘경제’,‘사회․문화’가 심화 선택 과목 으로 개발되었다.

셋째,학습자들의 수준을 고려한 심화 선택 과목의 개설은 학생들의 흥미 및 장 래 진로를 반영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가 있다.동일한 교실 속에서 함께 학습에 임하는 학생들 사이에서도 지적이고,정서적인 측면에서의 차이는 다 양할 것으로 생각된다.따라서,다양한 심화 선택 과목의 개설은 학습자들의 지적 이고,정서적인 측면에서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교육 과정의 개 발을 시도하였다는 것이다.

(38)

Ⅲ.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과 특징

제7차 교육과정은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고,건전한 인성과 창의성을 함양하는 기초, 기본 교육의 충실,세계화,정보화에 적응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능력의 신장,학 생의 능력,적성․진로에 적합한 학습자 중심 교육의 실현,지역 및 학교 교육 과 정 편성,운영의 자율성 확대에 중점을 두었다.

1.제7차 교육과정 개정 배경 및 특징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의 역할 분담이다.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의 과목 또는 단위 지정건을 대폭 축소하고 학교의 자율성을 크게 확대시켰다.지역 교육청의 역할을 신설하여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실 천 중심의 장학 자료’를 작성하여 학교에 제시하도록 하였다.즉,‘주어지는 교육과 정’으로부터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으로 관점이 변화됨에 따라 학교 교육과정 운영 에 있어 자율성이 더욱 강조된 것이다.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 일련의 결정 과정이 필요한데 학교장,교사,학생,학부모 등 의사 결정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모 든 사람에게 학교 교육과정위원회의 구성,운영을 통해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고 민 주적 의사 결정에 의해 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하도록 하였다.10)

둘째,학생 중심 교육과정이다.제7차 교육과정의 핵심은 교육 공급자인 학교,교 원 및 교육 행정 기관의 편의 중심의 획일적인 교육 체제에서 탈피하여 교육 수요 자 중심 즉,학생의 능력,흥미,적성,진로를 고려한 학생 중심의 교육 체제로 전 환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제7차 교육과정이 학생 중심 교육과정을 표방한 것은 그 어느 때보다 학생에 초

10)박제윤,『제7차 교육과정의 이해』 (서울 :교육인적자원부,2001)pp.2-3

(39)

점을 두어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자는 의지의 표현이다.학생 중심 교육과정은 학생의 학습권에 있어서의 자유와 평등이 조화된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을 통해 학습권의 자유를 보장한다는 것은 학생 자신의 잠재 능력을 최대한 계발할 수 있는 영역을 보장하는 것을 의미하며,교 수․학습에 있어서의 평등권의 실현은 교육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는 학생에게 그 불리한 것을 극복할 수 있는 형평의 장치를 마련하여 일정 수준까지는 모든 학 생이 도달되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는 것이다.11)

2.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분석

‘학습 중심의 수준별 교육 과정’을 표방한 제7차 교육과정의 사회과 편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제6차 고등학교 사회과에서의 ‘공통사회’과목이 없어지고 10학년 ‘사회’로 대체되었다.제7차 교육 과정에서는 10학년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은 지리영역과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각 영역에서 세계사 관련 내용을 통합하도록 구성하였 다.12)

둘째,제7차 교육과정의 편제상에서는 선택교과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일반선택 과목이며,다른 하나는 심화 선택과목이다.일반 선택 과목이 갖 는 편제상에서의 성격은 국민공통 기본 교과의 학습을 정리하면서 심화 선택 과목 의 학습을 위한 준비 교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즉 일반 선택과목은 국민공 통 기본 교과와 심화 선택 과목을 연결하는 교과목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각 교과별로 하나씩의 과목을 개설하여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사회 영역에서는 ‘법과사회’,‘정치’,‘경제’,‘사회․문화’가 심화 선택 과목으 로 개발되었다.13)

셋째,학습자들의 수준을 고려한 심화 선택 과목의 개설은 학생들이 흥미 및 장

11)교육인적자원부,『초․중등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1997)p.14 12)최병모 외,『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서울 :대한교과서,2002)p.11 13)차경수,『현대의 사회와 교육』 (서울 :학문사)p.74

(40)

래 진로를 반영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가 있다.동일한 교실 속에서 함께 학습에 임하는 학생들 사이에서도 지적이고,정서적인 측면에서의 차이는 다 양할 것으로 생각된다.따라서 다양한 심화 선택 과목의 개설은 학습자들의 지적, 정서적인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을 시도하였다는 것 이다.14)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이 ‘학습자 중심의 수준별 교육과정’을 추구한다는 측면에 서 사회과 교육의 성격은 학습자 중심의 사회 인식 과정을 실제적으로 고려하는

‘방법’차원에서의 성격 규정이기도 하다.여기 ‘학습자 중심’이라 함은 학습자의 능 력과 흥미를 존중하는 학습과 학습자 스스로 학습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학 습을 강조하는 것이다.그리하여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인 사회 인식 과정 및 방법이 중시되는 방법 중심 사회과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겠 다.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에서 기초적 개념 이해와 적응에,중학교에서 과학적 절차에 의한 지식의 발견과 적용 및 문제 해결 능력에,고등학교에서 종합 적 이해와 비판적 사고 및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에 초점을 둠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사회 공동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의식을 기르고 자주성과 주체성 을 가진 인간을 형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목표는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에서 순차 적,또는 지속적으로 추구되는 목표 요소와 궁극적인 목표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의 목표 요소로는 사회 현상에 관한 기초적 지식과 능력,기본개념과 원리의 탐구 능력,우리 사회의 특징과 세계의 여러 모습에 대한 이해,다양한 정보의 활 용 능력,창의적이고 합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공동 생활에서의 참여 능력이 제시 되어 있으며,후자의 목표 요소로는 개인의 발전 및 사회,국가 인류의 발전에 기 여하는 민주 시민의 자질이 제시되고 있다.15)

14)최병모 외,상게서 p.13

15)조상제 외,『사회과 교육과정 해설』 (서울 :교육부,1998)p.3

참조

관련 문서

– 많은 통계량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하여 모수를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가 하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경 찰의 중립화와 민주화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합의제 형태인 시ㆍ도 경찰위원회제도를 채택하는 것이

평균/표준편차), 교내수상,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등 학생부에 기록된 모든 내용을 토대로 학생의 교육여건과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신고전파 투자모형 ■ 조세부과가 자본재를 구입(투자)할 때 자본재의 기회비용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살펴보는 모형..

피아제(Piaget)는 어린이의 흥미와 발달의 과정에 따른 정도를 기반으로 연령대에 맞는 어린이가 자유로운 탐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 아래에 어린이

First, the subjects who had music education for which the seventh curriculum was applied answered that they want to have access to diverse genres of

 어떤 개념에 대하여 약핚 정도를 측정하는 문항에서 보다 강핚 정도를 측정하는 문항 숚으로 척도를 배열하고 강핚 정도를 측정하는 문항에 긍정적인 응답자는 당연히

심폐기능은 폐를 중심으로 하는 호흡계와 심장을 중심으로 하는 순환계의 기능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 심박수는 맥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