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직업기초능력의 개발 전략

문서에서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페이지 89-94)

Wages(1990)』에서도 언급되고 있다.

그 후 부시 행정부는 1988년 『American Education : Making It Work』에 서 『A Nation at Risk(1983)』 이후 교육 개혁 추진 상황을 평가하였는데, 약간의 향상은 있었지만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님을 지적하였다. 이에 따라, 1989년 Education Summit을 개최하여 당면한 교육 문제의 심각성과 그 해 결 방안의 긴급함에 대해 국가적인 교육 목적을 설정하기로 합의하였다. 이 러한 부시 행정부의 노력으로 1990년에 National Goals Panel을 통해 6개의 교육 목표를 제시하게 되었는데, 여기에는 미국 학생들이 핵심적인 교과(영 어, 수학, 과학, 역서, 지리 등)에서 유능하도록 하고, 미국의 모든 성인들이 세계 경제 체제 속에서 경쟁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보유하도록 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노력은 1991년 4월 America 2000: An Education Strategy를 통해 6개의 국가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4개의 전략을 제시함으 로써 구체화되었다(SCANS, 1991: xxi).

- [전략 1] 현재의 학생을 위하여 : 청소년들이 취업과 계속 교육을 준비할 수 있도록 지식과 기술을 통합한 세계적 수준의 표준을 가르치는 학교 교육 체제 확립

- [전략 2] 미래의 학생을 위하여 : 국가 교육 목표에 부합하는 학교를 만 들어감에 있어 지역 사회의 역할 증대

- [전략 3] 현재의 근로자를 위하여 : 직무 관련 기술 표준 확립에 대한 산 업계의 참여

- [전략 4] 학습의 장으로서의 지역 사회를 위하여 : 국가 교육 목표를 각 지역 사회가 채택하도록 노력

America 2000 법안은 의회에서 통과되지 못하고, 이후 1994년 클린턴 행정 부 아래서 지나치게 보수적인 내용을 삭제・조정한 다음 Goals 2000: Educate America Act로 개명되어 의회를 통과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부시 행정부의 노력의 일환으로 1990년 5월 노동부의 산하로 SCANS가 설치되었다1).

SCANS의 주요 임무는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이 무엇인지, 그리 고 청소년들이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를 수행하는 중에 SCANS는 좋은 직업의 지식을 활용할 줄 아는 인적 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미국 청소년 가운데 절반 이상이 좋은 직업에서 요구하는 지식 또는 기본 능력을 지니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20세기 후반에 있어서 취업에 필 요한 능력은 세계 경제의 지구촌화와 직무에 있어서 기술의 폭발적인 증가 로 인해 변화하게 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1991년 6월 A SCANS Rep ort for America 2000의 중간 보고서인『What Work Requires of Schools』를 통해 오늘날 효과적인 직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직업기초능력 (Workplace Know -How)과 그 수준을 제시하게 되었다. 그리고, 1992년 3월 A SCANS Report for America 2000의 최종 보고서인『Learnin g A Livin g:

A Blu eprint for High Performance』를 통해 직업기초능력의 학교 교육과의 연계 측면에서 Learning A Living 체제를 제안하였고,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평가방안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그리고 1993년에는『Teaching the SCANS Competencies』라는 보고서를 통해 직업기초능력을 학교에서 가르칠 수 있

1) SCANS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여러 보고서를 발간하였는데, 이를 시기 순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Identifying and Describing the Skills Required by Work(1990) :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SCANS의 초기 연구에 해당하는 이 보고서에서는 미국에서 성공적인 진로를 위해 필요한 능력을 세 가지로 구분하 여 설명하고 있다.

Identifying Necessary Job Skills(1990) : 기존에 산업심리학자나 경영학 집단에 의해 규정된 다각적인 직업적 요구사항(job requirements)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직업기초능력을 파악하는 기본체제를 마 련하기 위한 연구보고서이다.

What Work Requires of Schools(1991) : 작업장의 요구를 분석하고, 현재의 학생들이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특히 입직 단계에) 갖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여러 집단과의 협의와 논의, 그리고 면접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입직에 요구되는 능력의 종류와 수준, 이를 획득하는 효 과적인 방법 등이 제시되어 있다.

Blueprint f or A ction: Building Community Coalitions : 『What Work Requires of Schools』에 기초한 이 보고서는 학교가 어떠한 방법으로 학생들이 직업능력을 지닐 수 있도록 할 수 있는지, 그리고 고용 주들이 미래에 대응하기 위하여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Learning A Living(1992) : SCANS의 최종 보고서인 이 보고서는 국가적인 수준과 지역적인 수준에 서 여러 집단의 역할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다.

Teaching the SCANS Competencies(1993) : 학교와 작업장에서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SCANS의 직업 기초능력을 실천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6개의 논문이 실려있는 보고서이다.

는 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SCANS 위원회의 활동은 1992년에 종료되었지만, 이들의 연구 결과와 제언 사항들은 직업교육 및 인 력 개발에서 의미 있는 정보로 활용되고 있다.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SCANS의 이러한 노력은 그 후 학교의 목적을 청소 년들이 책임감 있고, 생산적이고, 직무를 다하는 성인으로 만들려는 School-to-Work(Arnold, 1997)로 연결되고 있다. School-to-Work 프로그램의 전형적 인 예로는 농업 교육, 산학 협동 교육, 직업 전문 학급2), 연계 프로그램 등이 있는데, 여러 측면에서 기존의 청소년 도제 교육과 유사하며, 이는 SCANS의 노력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School-to-Work는 이후에 Job Training Partnership Act (1992), The Goals 2000: Educate America Act (1994), School-to-Work Opportunities Act(1994)의 법안들을 통하여 보다 구체화되었다.

한편, 지난 수십 년 동안의 전 세계적인 경제 사정과 근로자를 양성하는 공교육기관의 역할에 대한 관심 증대에 의해 표준을 통한 교육 개혁에 박차 를 가하게 되었다. 표준은 두 가지로 압축되었는데 하나는 유치원에서 고등 학교까지의 학생들을 위한 학문 표준 체계(academic standards)를 확립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개개인으로 하여금 취업에 필요한 기술을 구체화한 산 업 기술 표준 체계(industrial skill standards)를 확립하는 것이다(정철영 외, 1998a).

표준을 통한 교육 개혁과 관련하여 여러 쟁점이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교육 개혁을 위한 연방 정부 차원의 노력이 지방 자치를 위험하게 할 것이 라는 우려와, 산업 기술 표준을 공교육의 교육과정에 연결시킬 경우 학교는 단지 훈련기관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학문 표준 과 산업 표준의 응집된 체계가 타당함에는 동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학문 표준과 산업 기술 표준에 대한 논의는 SCANS의 직업기초 능력, 그리고 School-to-Work와 긴밀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 다. 이것은 최근의 보고서(Commission on the Skills of the American

2) 직업 전문학급(career academy)은 고등학교 내에 설치되는 특별학급으로 동일한 교사가 2~3년 이상 담당하여 직업교육을 중심으로 인문교육도 함께 실시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인문계 고등학교에 설 치되어 있는 직업반과 유사하다.

Workforce, 1990; CCSSO, 1995; SCANS, 1991)에서 언급되고 있는 융통성 있 고, 높은 수준의 성취를 보이는 근로자들에 대한 산업계의 요구가 표준 설정 에 대한 출발점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표준 설정은 Carl D. Perkins Vocational and Applied Technology Education Act (Perkins Ⅱ)가 1990년에 통과됨으로써 진척되었다고 볼 수 있 는데, 이 법안은 보다 완전한 학문 표준과 산업 기술 표준을 개발함으로써 미국이 세계 경제에서 보다 높은 경쟁력을 지닐 수 있게 함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표준 설정과 관련되어 School-to-Work와 관련되었다고 앞에 서 언급한 법안이 관련되어 있으며 이외에 Improving America's Schools Act (1994)도 관련되어 있다. 이 법안은 1965년에 제정된 Elementary an d Secon dary School Act의 내용을 일부 수정함으로써 초・중등학교 운영 방안 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Goals 2000: Educate America Act와 국가기술표준법(National Skill Stan dards Act, 1994)에 근거하여 1994년 국가기술표준위원회(National Skill Stan dards Board, NSSB)가 설립되었는데, 이 위원회는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에 대한 표준 개발에 자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NSSB는 SCANS에서 제시한 직업기초능력을 각 직업 협회에서 체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주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2) 개발 정책

SCANS는 높은 수행 능력을 필요로 하는 조직은 응용하는 지적 기술과 기 초 문해 능력 및 컴퓨터 활용 능력을 갖춘 근로자를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하 여 학교는 재도약을 하고 정부는 직업에 근거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노력 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이러한 조직들을 재조직하고, 평가 체계도 다시 재구조화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SCANS는 학교와 작업장을 연결 시킬 수 있는 직업기초능력을 개발하였다. 이것은 기본 기술과 작업 능력을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았기 때문에 졸업생들이 작업장에 적응하기 어려운 점 을 보완하고자 한 것이다.

한편 NSSB는 사업체, 노동 단체, 교육 기관, 정부, 지역 사회, 시민 운동

단체를 대표하는 사람들로 구성됨으로서, 각계 각층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 는 기구로서의 기능을 담당하였다. 자발적으로 산업 사회에 필요한 기술과 그에 따른 자격증을 국가적 체계에 맞게 개발하고 적용하고자 한 것이다. 더 나아가, 세계 경제에서 효과적으로 경쟁하면서 미국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런 자발적 기술 표준은 교육, 노동, 지역 사회의 관계자와 관련된 전체적인 파트너쉽에 의해 산업체를 중심으로 개발될 수 있도록 하 였다.

특히 1991년에 미국에서는 현장에서 사용하는 기술과 교육을 통해 습득된 지식의 차이를 좁히기 위해 America 2000 전략을 도입하였으며, 직무와 관 련된 표준 기술을 설정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 사업체와 노동 시장에서 요구하는 중요한 기술 영역을 설정하고, 그 영역에 대한 숙련 표준에 도달한 사람들에게 기술 자격증을 제공하였다. 1992년과 1993년에 이 과정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국 노동부와 교육부는 산업체를 대표하는 22개의 조직과 협력하여 기술 자격을 개발하였다. 1996년 6월에 NSSB는 12개의 산 업체와 9개의 연구 단체를 승인하여 전국적인 기술 표준 체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기술 표준 체계의 구성 요소들은 준거 지향 평가, 자격증, 일에 근거한 실행, 고도 수행 조직의 개발과 향상, 그리고 전국 기술 표준의 산업체 수용 을 포함하고 있다 (NSSB, 1998).

이와 같이 미국에서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연구들이 산업 발전을 위해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지를 산업체 중심으로 파악하고, 이를 교육과 연계시킴 으로써 학생들이 그러한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점에서 수행되었 음을 알 수 있다.

문서에서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페이지 8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