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9년 대학혁신지원사업 수정사업계획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019년 대학혁신지원사업 수정사업계획서』"

Copied!
1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권역

구분 수도권 유형

구분

Ⅰ유형 (자율협약형)

『2019년 대학혁신지원사업 수정사업계획서』

(Ⅰ유형 : 자율협약형)

2019. 6. 5.

단국대학교

(2)
(3)
(4)
(5)

【대학혁신지원사업 개요】

성과 지표

구분 지표명 단위 기준값

(현재값)

달성목표값 향상률(%)

(2021년 목표값/

기준값)

비고 2019년 2020년 2021년

핵심

지표 ① 재학생 충원율, ② 전임교원 확보율, ③ 교육비 환원율, ④ 총 강좌 수

자율 지표

① 교육혁신지수 100.0 100.5 102.0 103.5 103.5

② 융합연구지수 100.0 110.0 120.0 130.0 130

③ 산학협력 혁신지수 100.0 105.3 111.6 118.0 118

④ HUMART 행정

혁신지수 100.0 101.0 103.0 105.0 105

재정 투자 계획

영역

국고지원금(백만원)

비율(%) 비고 2019년 2020년 2021년

교육 4,086 3,890 3,890 60.5

연구 1,725 1,700 1,700 26.2

산학협력 447 495 495 7.3

기타 277 450 450 6.0

사업관리 및 운영 0 0 0 0

합 계 6,535 6,535 6,535 100

(6)
(7)

1. (세부)프로그램명 : 집단지성 기반의 학습법 및 Peer 평가 도입

선정사유 : 빅데이터와 블록체인을 활용한 능동적 학습체계 구축으로 대학교육의 혁신 선도모델 제시

1.1. 추진배경

추진배경 및 필요성

미래사회 핵심역량으로서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의 중요성 부각

클라우드,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식구성 네트워크의 급격한 변화 인터넷, 가상/증강 현실, 블록체인 등 새로운 플랫폼에서의 교육혁신 요구

[그림 Ⅰ] 교육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학습 환경의 변화

현황 및 목표

MOOC, 플립 러닝 등 온라인 기반 교과목의 지속적 개발 및 운영

Ÿ 신규 플랫폼 기반 탈강의실, 탈중심, 탈개인화 추구 및 집단지성 기반 능동적 학습참여 모형 제시 및 학습과정에 대한 버전별 누적·관리 첨단 기술을 활용한 학생 중심의 능동적·창의적 학습 환경 구축

Ÿ 클라우드 기반 학습 : 학습자 간 실시간 Peer 평가를 통한 평가체계 혁신

Ÿ 블록체인 기반 학습 : 학습성과 인증에 대한 신뢰성, 투명성 확보

1.2. 추진방향 및 내용 3개년 계획

개요 및 추진 일정

[그림 Ⅱ] 「집단지성 기반의 학습법 및 Peer 평가 도입」의 개요 및 추진 일정

【대표적인 혁신 (세부)프로그램 추진계획】

(8)

추진내용 및 방법

Ÿ 집단지성 기반 토의·토론 등 학습활동 편성 및 실시간 동료 평가체계 구축

Ÿ 클라우드를 활용한 학습활동 아카이브 관리 및 블록체인 인증 체계 구축

[그림 Ⅲ] 「집단지성 기반의 학습법 및 Peer 평가」 운영 모델(예시)

2019년 세부계획

집단지성 기반의 학습 지원을 위한 기반 구축

Ÿ 국내외 집단지성 기반의 교육 사례 벤치마킹 및 교수·학습 방법 연구

Ÿ 교내 학습지원시스템 간 통합 추진 및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Ÿ 클라우드를 활용한 학습활동 데이터 축적 및 관리 시스템 구축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을 활용한 스마트 캠퍼스 체계 구축

Ÿ 블록체인 기반 학습성과 인증 체계와 블록체인 증명서, 지역사회 연계 코인 플랫폼의 연동을 위한 HUMART 시스템 구축

Ÿ 블록체인 기반 학습성과 인증 방법 연구 세부 추진 일정

[그림 Ⅳ] 「집단지성 기반의 학습법 및 Peer 평가 도입」 1차년도 추진일정

1.3. 기대효과

다양한 플랫폼에서의 교수학습 및 평가 모델 구축

Virtual Classroom 구현을 통한 글로벌 인재 양성 기반 마련

클라우드 기반 개방적 교수학습 성과 공유 및 블록체인 인증 체계 구축

(9)

사업계획서 목차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 요약> ··· 1

Ⅰ. 대학혁신지원 사업 목표 ··· 1

1. 대학의 비전과 대학혁신지원 사업 목표 ··· 1

2.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과 사업 목표와의 연계성 및 목표 설정 과정의 타당성 ·· 3

. 대학혁신전략 ··· 7

1. 대학의 현황 분석 및 진단 ··· 7

2. 대학의 영역별 혁신전략 ··· 12

2.1. 교육 혁신전략 ··· 12

2.1.1. 프로그램명:캠퍼스별 특성을 고려한 학사구조 개편 ··· 12

2.1.2. 프로그램명:Liberal Education을 통한 교양교육 혁신 ··· 14

2.1.3. 프로그램명:혁신적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학생의 전공선택권 확대 ·· 16

2.1.4. 프로그램명:학생 중심 교육방법 혁신 ··· 19

2.1.5. 프로그램명: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교육지원 및 교육환경 구축 ···· 23

2.1.6. 프로그램명:GEC 신설 및 유학생 학사지도 체계 재구축 ··· 28

2.1.7. 프로그램명:Virtual Campus를 통한 외국인 대상 온라인 강좌 운영 ·· 30

2.2. 연구 혁신전략 ··· 32

2.2.1. 프로그램명:미래융합연구원 중심의 글로벌 융합연구 기반 조성 ··· 32

2.2.2. 프로그램명:대학원 중심 미래혁신 연구중심학과 운영 ··· 33

2.2.3. 프로그램명:학부생 연구트랙제(VIP)를 통한 글로벌 연구인재 양성 ··· 35

2.3. 산학협력 혁신전략 ··· 37

2.3.1. 프로그램명:지속가능형 글로벌 기업가 양성 ··· 37

2.3.2. 프로그램명:개방형 산학협력 혁신 플랫폼 CONNECT+ 구축 ··· 39

2.4. 기타 혁신전략 ··· 41

2.4.1. 프로그램명:데이터 기반 성과관리ㆍ의사결정을 통한 경영 효율화 ·· 41

2.4.2. 프로그램명:스마트 캠퍼스 구축을 통한 행정 효율화 ··· 43

3. 대학 구성원 참여유도 방안 ··· 44

4. 대학의 혁신성장 기대 효과 ··· 46

(10)

. 재정투자 계획 ··· 47

1. 대학 투자 우선순위 제시 ··· 47

2. 대학혁신지원사업 재정투자 계획 ··· 48

2.1. 총 사업비 구성 ··· 50

2.2. 1차년도 사업비 구성 ··· 51

Ⅳ. 성과관리 방안 ··· 57

1. 대학의 비전과 사업목표-대학혁신전략-재정투자계획-성과관리의 일관성 및 연계성 ··· 57

2. 사업성과관리체계 ··· 58

2.1. 추진체계 ··· 58

2.1.1. 사업 추진체계 ··· 58

2.2. 운영체계 ··· 58

2.2.1. 대학혁신지원사업 운영위원회 ··· 58

2.2.2. 자체평가 위원회 ··· 59

2.2.3. 사업추진 지원단 ··· 60

2.3. 관리체계 ··· 61

2.3.1. 평가기준 수립 ··· 61

2.3.2. 제도정비 ··· 61

3. 성과지표 설정 및 달성목표 총괄표 ··· 62

3.1. 자율지표명:교육혁신지수 ··· 62

3.2. 자율지표명:융합연구지수 ··· 63

3.3. 자율지표명:산학협력 혁신지수 ··· 65

3.4. 자율지표명:HUMART 행정 혁신지수 ··· 66

4. 성과확산 및 환류방안 ··· 68

4.1 성과확산 ··· 68

4.2 환류체계 ··· 69

(11)

사업계획서 표 목차

[표 1-1] 최근 3년 간(2016~2018) 중장기 발전계획 추진 현황 및 향후 과제 ··· 3

[표 1-2] 최근 3년 간(2016~2018) 주요 지표 현황 ··· 5

[표 2-1] 「학사조직 개편에 따른 교육환경 구성」의 1차년도 추진 일정 ··· 13

[표 2-2] 「탄력적 학사 운영을 통한 학업적응 및 진로탐색 지원」의 1차년도 추진 일정 ··· 15

[표 2-3] 「Liberal Education을 위한 중핵/공통교양 교과목 개발」의 1차년도 추진 일정 ·· 16

[표 2-4] 「모듈형 교육과정을 통한 전공 설계의 자율성 및 유연성 확대」의 1차년도 추진 일정 ·· 18

[표 2-5] 「공유 교육과정 도입 및 확대를 통한 복합문제해결능력 함양」의 1차년도 추진 일정 ·· 19

[표 2-6] 「Learning Community 확대 운영」의 1차년도 추진 일정 ··· 20

[표 2-7] 「집단지성 기반의 학습법 및 Peer 평가 도입」의 1차년도 추진 일정 ··· 22

[표 2-8] 「Design Thinking 교육의 확대」 1차년도 추진 일정 ··· 23

[표 2-9] 「인공지능(EduAI) 기반 맞춤형 교육 지원」의 1차년도 추진 일정 ··· 25

[표 2-10] 「학생역량관리시스템 Young熊스토리 고도화」의 1차년도 추진 일정 ··· 26

[표 2-11] 「Active-Learning Classroom(ALC) 구축」의 1차년도 추진 일정 ··· 28

[표 2-12] 「유학생 대상 트랙별 교육제공 및 PD교수제 운영」의 1차년도 추진 일정 ··· 30

[표 2-13] 「온라인 어학 교육 플랫폼 도입 및 활성화」 1차년도 추진 일정 ··· 31

[표 2-14] 「미래융합연구원 설치 및 운영」의 1차년도 추진 일정 ··· 33

[표 2-15] 「캠퍼스별 특성화를 반영한 연구중심학과(RFD) 선정 및 육성」의 1차년도 추진 일정 · 35 [표 2-16] 「학부생 연구트랙제(VIP)를 통한 글로벌 연구인재 양성」 1차년도 추진 일정 ··· 36

[표 2-17] 「학생 창업선도모델(FARM) 활성화」 1차년도 추진 일정 ··· 38

[표 2-18] 「산학협력 혁신 클러스터 구축」 1차년도 추진 일정 ··· 40

[표 2-19]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 1차년도 추진 일정 ··· 42

[표 2-20] 「예산과 연동된 학내 성과관리 체계 확립」 1차년도 추진 일정 ··· 43

[표 2-21] 「HUMART 행정시스템 구축」 1차년도 추진 일정 ··· 44

[표 3-1] 중장기발전계획 추진을 위한 대학 전체 예산 투입계획 ··· 47

[표 3-2] 대학혁신지원사업 재정 투자 우선순위 ··· 48

(12)

사업계획서 그림 목차

[그림 1-1] 우리 대학의 비전과 발전목표 ··· 1

[그림 1-2] 우리 대학의 교육이념과 교시, 교육목표, 인재상 ··· 1

[그림 1-3] 단국학생핵심역량(Dankook Student Key Competency) ··· 2

[그림 1-4]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추진 배경 ··· 2

[그림 1-5] 대학혁신지원사업의 목표 달성 체계 ··· 3

[그림 1-6] 중장기발전계획과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연계성 ··· 4

[그림 1-7] 대학혁신지원사업의 9대 발전전략 도출 과정 ··· 6

[그림 1-8] 대학혁신지원사업 4대 분야, 9대 발전전략, 14대 중점 프로그램 ··· 6

[그림 2-1] 죽전 및 천안캠퍼스 단과대학(학과ㆍ부) 편제 현황(2019.2) ··· 7

[그림 2-2] 우리 대학의 교육 지원 체계 ··· 7

[그림 2-3] 우리 대학 고유의 환류 체계 DICA ··· 8

[그림 2-4] 우리 대학의 교육 현황 및 개선 방향 ··· 8

[그림 2-5] 우리 대학의 연구 현황 및 개선 방향 ··· 9

[그림 2-6]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관련 주요 현황 ··· 9

[그림 2-7] 우리 대학의 산학협력 혁신 전략 도출 과정 ··· 10

[그림 2-8] 대학 혁신을 위한 21개 세부 프로그램 중 8개 우선 프로그램 ··· 11

[그림 2-9] 「학사구조 개편에 따른 교육환경 구성」 개요 및 추진 일정 ··· 12

[그림 2-10] 「학사조직 개편에 따른 교육환경 구성」의 2019년 사업 운영 절차 ···· 13

[그림 2-11] 「탄력적 학사 운영을 통한 학업적응 및 진로탐색 지원」 개요 및 추진 일정 ·· 14

[그림 2-12] 「Liberal Education을 위한 중핵/공통교양 교과목 개발」의 개요 및 추진 일정 · 15 [그림 2-13] Liberal Education을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편안(2023학년도 적용시안) ··· 16

[그림 2-14] 「모듈형 교육과정을 통한 전공설계의 자율성 및 유연성 확대」의 개요 및 추진 일정 ·· 17

[그림 2-15] 「모듈형 교육과정을 통한 전공설계의 자율성 및 유연성 확대」(예시) ·· 17

[그림 2-16] 「공유 교육과정 도입 및 확대를 통한 복합문제해결능력 함양」의 개요 및 추진 일정 · 18 [그림 2-17] 기계ㆍ건축ㆍ토목환경공학과 공유 교육과정(예시) ··· 18

[그림 2-18] 「Learning Community 확대 운영」의 개요 및 추진 일정 ··· 20

[그림 2-19] 「Learning Community 확대 운영」의 추진 방법 ··· 20

[그림 2-20] 「집단지성 기반의 학습법 및 Peer 평가 도입」의 개요 및 추진 일정 ··· 21

[그림 2-21] 「집단지성 기반의 학습법 및 Peer 평가 도입」 개념도 ··· 21

[그림 2-22] 「Design Thinking 교육의 확대」 개요 및 추진 일정 ··· 22

[그림 2-23] 「Design Thinking 교육의 확대」 전략 ··· 23

[그림 2-24] 「인공지능(EduAI) 기반 맞춤형 교육 지원」의 개요 및 추진 일정 ··· 24

(13)

[그림 2-25] 「인공지능(EduAI) 기반 맞춤형 교육 지원」 전략 ··· 24

[그림 2-26] 「학생역량관리시스템 Young熊스토리 고도화」의 개요 및 추진 일정 ·· 25

[그림 2-27] 「학생역량관리시스템 Young熊스토리 고도화」 추진전략 ··· 26

[그림 2-28] 「Active-Learning Classroom(ALC) 구축」의 개요 및 추진 일정 ··· 27

[그림 2-29] 「Active-Learning Classroom(ALC)의 구축」 추진전략 ··· 27

[그림 2-30] 「유학생 대상 트랙별 교육제공 및 PD교수제 운영」의 개요 및 추진 일정 ···· 29

[그림 2-31] GEC(Global Education Center) 신설 및 운영 계획 ··· 29

[그림 2-32] 「온라인 어학 교육 플랫폼 도입 및 활성화」의 개요 및 추진 일정 ···· 30

[그림 2-33] 「온라인 어학 교육 플랫폼 도입 및 활성화」 방안 ··· 31

[그림 2-34] 「미래융합연구원 설치 및 운영을 통한 융합연구 기반 조성」 ··· 32

[그림 2-35] 「미래융합연구원 설치 및 운영」 개요 및 추진 일정 ··· 33

[그림 2-36] 「대학원 중심 미래혁신 연구중심학과 운영」 ··· 34

[그림 2-37] 「캠퍼스별 특성화를 반영한 연구중심학과(RFD) 선정 및 육성」 개요 및 추진 일정 ·· 34

[그림 2-38] 「학부생 연구트랙제(VIP)」 예시 ··· 35

[그림 2-39] 「학부생 연구트랙제(VIP)를 통한 글로벌 연구인재 양성」 개요 및 추진 일정 ·· 36

[그림 2-40] 산학협력 프로그램 성과 연계 및 환류 방안 ··· 37

[그림 2-41] 「학생 창업선도모델(FARM) 활성화」 ··· 37

[그림 2-42] 「학생 창업선도모델(FARM) 주요 프로그램」 ··· 38

[그림 2-43] 「학생 창업선도모델(FARM) 활성화」 개요 및 추진 일정 ··· 38

[그림 2-44] 「산학협력 혁신 클러스터 구축」 ··· 39

[그림 2-45] 「판교 산학협력 거점센터」 ··· 40

[그림 2-46] 「산학협력 혁신 클러스터 구축」 개요 및 추진 일정 ··· 40

[그림 2-47]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 방안 ··· 41

[그림 2-48]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 개요 및 추진 일정 ···· 41

[그림 2-49] 「예산과 연동된 학내 성과관리 체계 확립」 방안 ··· 42

[그림 2-50] 「예산과 연동된 학내 성과관리 체계 확립」 개요 및 추진 일정 ··· 42

[그림 2-51] 「HUMART 행정시스템 구축」 방안 ··· 43

[그림 2-52] 「HUMART 행정시스템 구축」 개요 및 추진 일정 ··· 44

[그림 2-53] 대학 구성원 참여 유도 방안 ··· 44

[그림 2-54] 대학혁신지원사업 프로그램 운영의 기대효과 ··· 46

[그림 3-1] 중장기발전계획과 대학혁신지원사업 재정투자계획의 연계성 ··· 49

[그림 3-2] 「정부재정지원사업 중복성 방지 및 연계성 제고」 ··· 49

[그림 4-1] 대학의 비전과 사업목표-대학혁신전략-재정투자계획-성과관리의 일관성 및 연계성 ·· 57

[그림 4-2] 사업추진 조직체계 ··· 58

[그림 4-3] 성과관리 확산 내용과 범위 ··· 68

[그림 4-4] 대학혁신지원사업 환류체계 ··· 69

(14)
(15)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 요약>

대학혁신지원사업

(16)
(17)

1. 대학의 비전 및 목표

1.1 대학의 건학이념 및 인재상

1.1.1 대학의 건학이념 설립배경

Ÿ 독립운동에 헌신하신 범정 장형 선생과 육영사업에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던 혜당 조희재 여사가 광복 후 분단된 현실 속에서 민족의 동질성을 끝까지 지켜나가도록 교육해야 하겠다는 신념을 가지고 설립

교육이념

홍익인간의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된 우리대학의 교육이념은 구국, 자주, 자립

Ÿ 구국(救國) : 어떠한 경우에도 민족 정통성에 의한 나라를 세우고 지켜가겠 다는 ‘국가관’을 의미

Ÿ 자주(自主) : 어느 누구에게도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주인이 되어야 한다는

‘민족관’을 의미

Ÿ 자립(自立) : 구국과 자주의 정신 위에 스스로 설 수 있는 실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세계관’을 의미

[그림 1] 우리대학의 교육이념

1.1.2 교육목적과 교육목표, 인재상 교육목적과 교육목표

우리대학의 교육목적은 「진리」와 「봉사」

Ÿ 진리 : 교육이념의 정신적 지표로, 참된 이치와 도리를 탐구하는 것

Ÿ 봉사 : 교육이념의 실천적 지표로, 탐구를 통해 얻어낸 진리를 실천하는 것 우리대학의 교육목표는 「민족애를 바탕으로 인류사회에 공헌하는 인재 양성」

Ÿ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실천방안 : 「인간 존중 정신의 함양」, 「창의력 개발과 응용」, 「실용적 능력 배양」

(18)

인재상

우리대학의 인재상은 「D3 인재」

Ÿ 능동적 인재(self-Determination) : 미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인재

Ÿ 혁신적 인재(Discovery) : 국가·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끊임없이 도전하고 창조하는 인재

Ÿ 헌신적 인재(Dedication) : 인류의 보편적 가치와 세계평화를 위하여 봉사하 고 희생하는 인재

[그림 2] 우리대학의 교육이념과 교시, 교육목표, 인재상

1.2 대내·외 여건 및 대학 현황 분석

1.2.1 대내·외 여건 분석

내·외부 여건 및 SWOT분석

[그림 3] 우리대학의 SWOT분석

(19)

4대 핵심추진분야 과제 및 추진단계 분야별 추진목표와 과제

[그림 4] 4대 핵심추진분야의 추진목표와 과제

단계별 추진계획

[그림 5] 중장기발전계획 Dynamic Dankook 2027의 단계별 추진계획

(20)

1.3. 대학의 비전 및 중장기 발전목표

1.3.1. 대학의 비전

「단국대학교 발전계획 Dynamic Dankook 2027」은 ‘도전과 창조의 글로벌 대학’을 비전(vision)으로 설정

Ÿ 개교 80주년이 되는 2027년에 우리대학이 세계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체제와 환경을 갖춤으로써 미래 사회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동시에 창조적인 가치 창출을 선도하고자 하는 실천 의지를 표현

1.3.2 중장기 발전목표

우리대학은 미래 사회를 선도적으로 개척하고 창조적 사고로 인류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단국인 양성을 위하여 ‘글로벌 경쟁력(Global Power), 단국브랜드 가치 창출(Special Pride)’을 발전목표로 설정

[그림 6] 우리대학의 발전목표

1.3.3 발전전략 및 핵심추진분야, 단계별 추진계획

목표 달성을 위한 발전전략으로 「교육혁신을 통한 미래형 글로벌인재 육성」,

「캠퍼스 특성화를 통한 대학경쟁력 강화」, 「공존과 상생을 통한 단국 브랜드 가치 구축」 등 3대 발전전략 수립

중장기발전계획의 핵심추진분야로 교육, 연구, 봉사·협력, 조직·경영을 선정 중장기발전계획의 비전 및 발전목표 달성을 위하여 기반마련기(2018-2021), 역량확립기(2022-2024), 비전구현기(2025-2027)로 시기를 구분, 단계별로 추진

(21)

2. 대학의 중장기 발전전략

2.1. 미래 지향적 교육가치의 창출

2.1.1 교육분야의 특성화 추진목표

「2020 신학사구조개편안」에 따른 캠퍼스별 특성화 완료 및 미래 인재 양성 미래형 창의 및 실용교육 기반 단국교육 브랜드 창출을 위한 교육 콘텐츠 특화 및 혁신적 교육방법 개발, 체계적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회 수요를 반영한 학부·대학원의 융합전공 인재 양성 교육 강화 추진전략

교양교육의 특성화

Ÿ 대학 인재상 및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단국 6대 핵심역량(DKU-DNA) 기반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Ÿ 기초소양 함양 및 국제화를 반영한 교과목 개발·운영 전공교육의 특성화

Ÿ 진로 및 학문 특성을 고려한 전공교육의 이수체계 확립(트랙, 모듈형 교육과정) 및 다전공, 마이크로전공 확대를 통한 사회수요에 부응하는 맞춤형 전공교육 체계 도입

Ÿ 기존 다전공, 부전공 단위보다 작은 마이크로전공 운영을 통하여 융합전공의 기회를 확대하고 학생들의 다양한 전공 이수 수요에 부응

Ÿ EduAI 교육지원시스템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형 교과목 및 비교과 가이드를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 및 진로 설계 능력 함양

Ÿ 지역사회 친화 및 현장실무 능력 배양을 위한 가족(협력)기업을 활용한 기업 친화형 프로그램 확대, 서비스-러닝 프로그램 구축

특화된 콘텐츠의 개발 및 운영

Ÿ 핵심 교육콘텐츠 개발을 통한 교내외 보급 및 확산

Ÿ 우수 강의 및 교육콘텐츠 개발·발굴 및 개방형 플랫폼(MOOC, KOCW 등)을 활용한 명품강의 확산과 이를 통한 우리대학 글로벌 인지도 상승 추구

혁신적 교육 및 진로지도 방법의 개발과 활용

Ÿ 혁신적 교육지원 시스템 마련 및 고효과 교육 프로그램 확대 등 대학교육 질 제고를 위한 추진주체(미래교육혁신원) 설립. 기능과 목적에 따라 교수학습 개발센터, EduAI센터, 교육성과평가센터로 확대 개편

Ÿ 인공지능 기반 교육지원시스템 구축, 디자인씽킹, MOOC,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능동학습형 강의실 등 교육방법 도입 및 강의환경 개선

Ÿ 인공지능 기반 교육지원시스템을 활용, 학생의 잠재역량 극대화 및 자아실현을

(22)

추구하는 해빙(海氷)교육모델 구축 목표(2027년)

­EduAI 교육지원시스템을 통한 교과 정보 및 교육과정 설계, 취창업컨설팅 및 진로설계, 교수학습 지원 등을 통한 종합적 학생 케어 시스템 구현

[그림 7] EduAI 교육지원시스템의 구현 예시

­MOOC 기반 학습경험 생태계 구축 및 학습자 지원전략 수립

­ALC(Active Learning Classroom) 구축 및 활용을 통한 자기주도적, 능동적 수업 도입 및 확산

자율형 비교과 교육프로그램 운영

Ÿ 대학 인재상 및 핵심역량을 고려한 자율형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Ÿ 학생역량관리시스템 고도화를 통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및 지속적 환류

2.1.2. 국제화 역량 강화 추진목표

글로벌 스탠더드 교육을 통해 대학의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고 국제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외국인 유학생을 대거 유치하여 국내 학령인구 급감에 대응 우리대학의 교육이념 및 교육성과를 국제적으로 전파하여 국가발전에 기여하고, 우리대학의 글로벌 위상을 제고

추진전략

외국인 교수/학생 확보 및 관리 강화

Ÿ 외국인 교수/학생 선발 확대 : 교육·연구·산학협력 분야에서의 글로벌 경 쟁력 강화를 통하여 우수한 외국인 교수 및 학생 유치

Ÿ 외국인 교수/학생 지원 및 관리시스템 강화 : 기숙사, 장학금, 각종 편의 제공,

(23)

유연한 맞춤형 학사관리 등 공식적 부분과 함께 GTN(Global Talent Network) 의 버디 프로그램 등을 확대 강화하여 유학생활 및 대학생활 적응 지원

Ÿ 유학생활 적응 지원 프로그램 강화 : 국제교육센터의 한국어 교육뿐 아니라 K-pop, 서예, 도예, 태권도 등 한국문화 체험 활동 강화

「DKU 국제화지원센터」 운영

Ÿ DKU 국제화지원센터는 소속 유학생들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만족도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1차 현장형 관리 조직으로서 학사관리도우미, 전공 튜터링, 외국어 튜터링으로 구성

국제 교육 교류 확대

Ÿ 해외 자매대학과의 교육과정공동운영(복수학위, 공동학위, 학·석사연계과정) 확대 시행 : 2016년 현재 해외 5개 기관과의 교육과정 공동운영 중, 2027년 까지 15개 기관으로 확대

Ÿ 다양한 국제 교육교류프로그램의 균형적 운영을 통해 장단기 교류프로그램 의 균형, 인커밍/아웃고잉(Incoming/Outgoing) 교환학생의 참여율 균형, 죽전/

천안캠퍼스 간의 국제화 교류 균형 등 실용적 교육 실천

2.1.3. 미래형 교육지원시스템 구축 추진목표

해빙교육모델을 중심으로 한 학사제도 유연화 및 이를 통한 맞춤형 교육 및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교육 기회 확대

혁신 교육을 지향하는 다양한 교육환경 조성 및 지원체제 구축, 비형식 교육, 직업교육 및 평생교육 등 다양한 형식의 교육 기능 강화

추진전략

학생맞춤형 해빙교육과정의 운영

Ÿ 해빙교육과정 :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반영하여 잠재역량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기반 교육과정, 학습자 데이터 및 사회적 요구 간 연계 및 관리를 통한 자율적 학업 설계 기회 제공

Ÿ 해빙학기제 : 현장실무 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설계를 위한 자율학기제 시행 자유전공학부 및 융합형 교육과정 확대

Ÿ 사회적 요구에 맞춘 융합형 교육과정을 통해 창의성을 제고하고 하이브리드형 교육인 연계전공, 부전공, 복수전공, 석박사통합전공, 온오프라인 강의 등 융합 및 통합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교육과정 및 학사시스템을 확대 운영

Ÿ D-LAC(Dankook-Liberal Arts College : 자유전공학부)와 창의설계전공을 개설 하여 운영

(24)

[그림 8] D-LAC의 구성

혁신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방법과 지원 환경 구축

Ÿ 수업 개선 및 교육혁신을 위한 다양한 교수 지원 프로그램 및 교원 전문성 신장 모형 개발을 통한 교육의 질제고

Ÿ DICA(Design-Implement-Check-Assess)를 통한 지속적 환류 및 개선 추구

[그림 9] 교양교육대학 교육과정의 DICA 환류체계

2.2. 세계 수준의 창의적 지식 공동체 구축

2.2.1. 연구분야의 특성화 추진목표

연구특성화 분야 선정 및 중점 지원을 통한 우리대학의 경쟁력 강화와 브랜드 인지도 상승을 도모하며, 미래를 향한 학문 발전에 기여

추진전략

연구특성화 분야 선정 기준 및 전략 수립

Ÿ 캠퍼스별 특성화와 미래가치 및 사회적 난제에 대한 융복합 연구 분야를 선정하여 특성화

Ÿ 향후 미래 유망 연구분야 선도를 위해 글로벌 연구집단과 교내 교책연구집단 및 기타 연구집단과의 매칭을 통한 글로벌 융합연구 특화

(25)

2.2.2. 연구역량 강화 및 지식재산권 실적제고 추진목표

연구역량 증진을 통한 글로벌 대학 브랜드 향상

Ÿ 전임교원 1인당 SCI(E)급 논문 수를 발전단계별로 상향하여 0.7편 이상 및 교외 연구비 수주액 1.5억 달성 시에 전국대학순위 10위권 안에 진입

산업기술개발에 따른 산학협력 및 친기업 이미지 확대

Ÿ 이공계 교수 1인당 국내특허 및 해외특허 등록 건수를 비롯한 기술이전 수입, 기술이전 건당 수입액, 산학협력 수입 등 산학협력 관련 지표를 단계별로 상 향하도록 하여 지식재산권 확보를 통한 연구관련 재정수입 증대

추진전략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투자 및 지원 확대

Ÿ 중대형 국책연구과제 수주 시 학교차원의 대응자금 지원 및 규모에 관한 명확한 기준 마련

Ÿ 산학협력 실적이 향상되도록 적극 지원하며 연구실적에 따른 인센티브제를 강화하고 대학원생 장학금을 확충하여 연구 기반을 강화

연구역량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및 지원체제 확보

Ÿ 연구중심학과 운영을 통한 교내 학부생 출신 우수 연구인력 확보

Ÿ 학부생 연구 트랙제 및 학석사 통합과정 신설 통한 글로벌 연구인재 양성

Ÿ 신규임용, 승진 및 승급에 관한 교원 업적 기준에서 논문의 질(피인용지수 등)과 국내외 우수 학술지의 중요도 및 기술이전에 관한 업적 인정 비율의 점진적 확대 필요

2.2.3. 연구 조직 및 제도 운영의 효율성 극대화 추진목표

우수 연구집단을 중심으로 연구 기반을 확충하여, 대학 내 연구분위기 활성화 특성화 및 미래 융합 연구분야의 ‘선택과 집중’을 위한 연구 및 연구지원 조직을 통합하여 운영하며, 다양한 연구활성화 제도를 마련하여 연구활동과 연구특성화 관련 학과의 학부-대학원 교육과정의 유연한 운영 장려

추진전략

우수 연구집단 중심의 대학연구시스템 활성화

Ÿ 연구소 전임연구원의 안정적 확보 필요 : 평가를 바탕으로 연구소마다 일정 수준의 전임연구원 정원(T/O)을 책정하여 대학에서 안정적으로 지원

Ÿ 대학의 특성화 발전과 연계하여 대학연구소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연 구과제별 지원에서 탈피하여, 기관 차원의 지원으로 전환하는 적절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

특성화 및 미래 융합 연구분야의 선택과 집중을 위한 연구통합조직 운영

(26)

「단국미래융합연구원」 설립 : 우리대학 미래 융합 연구의 R&D 방향을 수립하고 글로벌 환경변화 및 정부와 산업체의 R&D 투자방향과 정책을 분석하여 미래 연구비전을 제시

Ÿ 단국미래융합연구원의 주요 기능 : 미래융합 연구 분야를 발굴 및 융합연구의 교내 수요 파악, 해당 그룹 지원을 통한 융합연구 네트워크 활성화

Ÿ 기존의 학사 및 연구조직이 담당하기에 한계가 있는 융합 및 신개념 학문영 역의 연구 수행을 제안, 지원하며, 교책 및 부설 연구소 및 연구센터들이 지 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평가하고 적절한 지원을 제안하고, 신규 연구소 설립을 제안

Ÿ 현 ‘산학부총장’을 ‘연구·산학부총장’으로 변경, 단국미래융합연구원을 관할하 도록 하며, 양 캠퍼스에 산재해 있는 연구소(센터)들을 연구클러스터로 관리 연구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

Ÿ 현행 정교수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트랙제 교수평가제도를 승진대상 교 원에게 확대 적용

Ÿ 융복합 공동연구 활성화 및 질적 제고를 위해 연구실적 평가기준 개선

Ÿ 현재 반영되고 있는 피인용지수(IF : Impact Factor) 및 분야별 상위영역의 학술지에 발간된 논문에 대한 가중치를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산학협력 실적의 인정범위를 확대

연구인력의 중앙 관리 시스템 확립

Ÿ 다양한 직급의 유연한 유·무급연구원 제도 도입으로 우수연구인력 유치

Ÿ 글로벌 연구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우수한 해외 연구인력 유치를 위한 정착 및 연구지원 프로그램을 학교 차원에서 통합 운영

연구자 맞춤형 연구시설 및 기자재 활용 효율화 시스템 수립

Ÿ 첨단과학관 신축을 통한 연구기반시설의 확충 및 연구력 향상 기대

Ÿ 부족한 연구공간을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활용하기 위한 공간사용제도 개선

Ÿ 공간사용제도 및 이용 매뉴얼을 구비하여 매뉴얼에 의한 공간 사용 제도화

Ÿ 공동기기센터의 연구지원 기능을 확대하고, 기기 전문가를 확보하여 철저한 보수유지관리 및 적합한 사용을 통해서 고가 장비 및 기기가 효율적이고 장 기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연구력 향상에 기여

2.3. 봉사와 협력의 대학 브랜드 명품화

2.3.1. 지역사회 친화형 명문사학 브랜드 확립 추진목표

우리대학은 민족대학으로서 교육, 연구뿐만 아니라 봉사와 협력에 있어서 국 가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지속가능한 대학(sustainable university)이라는

(27)

명성과 위상 정립

국내 봉사와 협력을 바탕으로 세계에 우리대학의 교육, 연구뿐만 아니라 봉사와 협력의 경험과 노력을 공유하여 국내외에 명문사학으로서의 브랜드 구축 추진전략

봉사와 협력을 위한 인프라 구축

Ÿ 양 캠퍼스와 인접한 용인, 성남, 판교 등 경기지역과 천안 등 충청 지역사회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지역학연구소 역할 및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싱크탱크 역할을 위하여 지역사회 현안에 대한 정책연구 및 제언을 하는 지 역학 전문연구소 운영

Ÿ 봉사와 협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하는 봉 사·협력 온라인 지원 시스템 구축

Ÿ 교과과정에 포함된 사회봉사 과목을 시작으로 자발적이고 헌신적인 다양한 사회봉사활동을 유도함으로써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상인 ‘인성(태도)이 바른 사람’, ‘남과 같이 일하는 법(협력)을 아는 사람’으로 양성

봉사와 협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시행

Ÿ 지역주민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확충하여 청소년·다문화가정 자 녀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평생교육원 운영 프로그램의 지역 별·계열별 특성화 추진, 시대 및 사회 변화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새로운 교육수요 창출

Ÿ 대학 시설, 교육·문화 프로그램 개방 : 박물관·도서관·체육관·음악관·

학생극장·강당 및 강의실·운동장 등 대학 시설을 적절한 사용료 부과와 함께 지역사회에 개방

Ÿ 지역주민을 위한 의료봉사 확대 : 소외계층을 위한 의료봉사, 노년층을 위한 의료봉사, 장애인 치과치료, 건치(健齒)문화 캠페인 전개 및 치과 의료봉사 등을 특화하여 봉사활동과 더불어 우리대학의 의료에 대한 잠재수요를 개발 하고 브랜드 가치 창출

2.3.2. 국제교류와 협력을 통한 글로벌 대학으로서의 위상 강화 추진목표

국제교류 및 협력을 위한 행정 체제와 인프라를 구축하고, 실질적 국제교류와 협력 확대를 통해서 우리대학의 브랜드와 글로벌 평가기관의 평가를 비롯한 국제적 위상 제고

글로벌 문화로 확대되고 있는 K-Culture의 국제교류 및 협력에 있어서 허브역 할을 수행하는 우리나라의 대표 대학으로 도약

(28)

추진전략

국제교류 및 협력을 위한 행정 체제와 인프라 구축

Ÿ 국제교류 및 협력을 담당하는 조직, 즉 국제처(국제교육센터, 글로벌교육 및 서비스팀 등) 등 관련 부서의 글로벌 업무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DKU Globalization System 구축

Ÿ 국제교류 및 협력의 활성화를 위해서 기존의 국제처와 대외협력처를 기반으 로 하되 이외에 산학협력, 연구소 등 다양한 국제화 채널 확보

Ÿ 국제교류 및 협력 활성화를 위한 기금 DKU Globalization Fund 조성

Ÿ 해외 단국거점센터를 확충하여 국제교류와 협력의 네트워크 역량 강화 협력 관계 층위에 따른 국제교류와 협력의 전략적 추진

Ÿ 협력 관계 층위에 따라 중핵 협력대학, 거점 협력대학, 일반 협력대학으로 분류하여 각 계층에 상응하는 국제교류와 협력을 전략적으로 추진

Ÿ 중핵 협력대학은 글로벌 교류 협력의 허브역할을 하는 자매대학으로 적극적 인적·물적 교류와 협력 진행

Ÿ 거점 협력대학은 대륙별 교류 협력의 허브역할을 하는 자매대학으로, 호혜적 인적·물적 교류와 협력 진행

교류와 협력 프로그램 개발 및 특성화

Ÿ 중핵 및 거점 협력대학과의 국제협력을 통한 교육·연구 프로젝트 추진

Ÿ 국제사회에 확산되고 있는 한류를 비롯한 K-Culture의 글로벌화를 선도하는 국내 대표 대학의 위상 확보

Ÿ 해외봉사 등을 통한 인류애의 실천은 우리대학의 설립이념이기도 하지만 CSV (Creating Shared Value)의 실천방안으로서 우리대학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하는 부분을 찾아 시너지 효과 창출

2.3.3. 세계 최고 수준의 산학협력 대학 실현 추진목표

우리대학은 죽전 및 천안캠퍼스의 특성화에 맞추어 IT·BT 분야 산학협력에 있어서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해 스마트하고 유연한 산학협 력 지원 시스템 구축

추진전략

세계 최고 수준의 IT 산학협력 대학

Ÿ 죽전캠퍼스 인근의 판교 K-밸리와 연계한 IT 산학협력 클러스터 구축

Ÿ 성남-판교-죽전-구성-광교를 연결하는 IT 산업 벨트의 산학협력 중심 대학

Ÿ 기업가적 대학(Enterprise University)을 도입하여 기존의 라이선싱(Licensing) 위주의 지원방식에서 스핀오프(Spin-off) 방식의 기업 지원으로 전환

Ÿ 인큐베이션(Incubation) 기능을 가진 자회사를 설립하고, 학교기업을 확대 운

(29)

영하여 현장중심의 직업교육 실시

Ÿ 단계별 기술이전에 관한 산학협력 모델을 구축하여 교육, 훈련을 위한 산학 협력 모델 및 생산지원 및 기술이전을 위한 산학협력 모델 구축

세계 최고 수준의 BT 산학협력 대학

Ÿ 천안캠퍼스 인근의 오송 생명과학단지, 대덕 연구단지와 연계한 BT 산학협 력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오송-대덕-천안을 연결하는 생명바이오 도시의 메디 바이오(Medibio) 산학협력 중심 대학의 위상 확립

Ÿ 천안캠퍼스의 기반이 되는 의학·치의학·약학·생명자원과학·자연과학·

동물학·식물학 등에 기초하여 BT 산학협력 클러스터를 구축하도록 하고 천 안시 동부 바이오 산업단지 조성 및 활성화를 위한 행정·경영·기술·정보·

디자인·교육·인력 등 지원

Ÿ 교육, 훈련을 위한 산학협력 모델 및 생산지원 및 기술이전을 위한 산학협력 모델을 구축하여 산학일체형교육(ICE : Industry Centered Education) 시스템 확대 및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서 메디바이오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

세계 최고 수준의 산학협력 지원 시스템 구축

Ÿ 죽전 및 천안의 지역 특화형 산학협력 지원체제를 운영하여 K-밸리 재단 등 판교 IT 분야의 활성화를 위한 생태 조성 공익법인에 이사대학으로 참여

Ÿ 산학협력을 촉진하기 위하여 산학협력 원스톱 서비스 지원체제를 구축하고 다양한 경력을 가진 산학협력중점교수를 비롯한 전문인력 확충

2.4. 혁신과 효율의 신개념 조직·경영체제 구현

2.4.1. 학사구조의 유연화 추진목표

학과중심의 학사구조에서 대형 학사단위인 해빙교육모델 기반의 학사구조로 전환하며 이를 통하여 교육편제 및 교원인사의 유연성 확보

교육현장을 강조하여 하위 학사단위로 인사권을 제외한 행·재정적 권한을 대폭 위임

Ÿ 학사단위별 ‘권한과 책임의 등가성’에 기초하여 행정적, 재정적 자율성을 확대 하되 이익책임 단위의 기능을 강화하여 급변하는 대학 환경에 대응

추진전략

해빙교육모델 중심의 학사구조 운영

Ÿ 해빙교육모델은 학문계열 또는 기능중심의 대단위 학사단위로 구성하거나, 국제화 및 특성화 전략에 따른 학사단위로 편성

Ÿ 권한위임을 통해서 학사단위 자율권을 확대하여 해빙교육모델 학사제도 안 에서 다양한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며, 전통적인 교육학사단위 평가에 경제성

(30)

평가를 포함하여 학사단위 평가시스템 확립

Ÿ 트랙형 및 모듈형 교육프로그램 운영 : 코디네이터가 트랙형 및 모듈형 프로 그램 기획 및 운영에 책임을 지며, 수요자 중심의 자율형 전공트랙 확대 교육편제 및 교원인사의 유연성 확보

Ÿ 해빙교육모델 학사구조 안에 다양한 학위과정(융합전공과정, 학부-대학원 통 합과정, 산학과정, 관학과정, 온라인 및 하이브리드형 학위과정)을 설치하여 수요자 중심의 교육 제공

Ÿ 해빙교육모델 안의 교육프로그램 모듈은 경제성 평가를 포함하는 평가기준 을 만들고, 주기적 평가에 의한 개폐 결정

학사단위별 행·재정적 자율성 강화

Ÿ 학사단위 조직이 ‘권한과 책임의 등가성’에 의해 운영되도록 하며, 특히 평 생교육원 및 산학협력단과 연계한 문화강좌, 특수교육원, 인증평가사업 등 우리대학의 재정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 확대

Ÿ 조직 분석을 토대로 이익책임단위에 적합한 경우 권한을 위양하여 수요자의 니즈가 가장 잘 반영될 수 있도록 현장 중심적이며 자율성과 스피드를 확대 한 이익책임단위로서 분권회계제도를 단계별로 시행

2.4.2. 행정시스템 혁신 추진목표

끊임없는 행정혁신 시스템 개선과 구현을 통해서 국내 고객만족 행정의 선도 적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며, 사후서비스 중심의 행정을 사전서비스 중심으로 전환하고, 타 대학에 CS 행정을 전수할 수 있는 벤치마킹 대학이 되도록 함 직군, 직렬, 직종에 부합하는 직무 전문가를 양성하고, 임파워먼트를 통한 책 임행정 시스템을 확립하며, 수요자와 밀접한 현장을 중시하여 수요자 중심의 원스톱 스마트 행정을 구현

추진전략

PDCA를 통한 맞춤형 고객만족 교육프로그램의 고도화

Ÿ 기존의 고객만족 통합진단 체계와 지표인 ‘DK-UCSI’(Dankook-University Customer Satisfaction Index)를 더욱 정교하게 개선

Ÿ 기존의 DK-UCSI에서 밝혀내기 어려운 숨어있는 니즈를 발견하기 위해 Big Data 기법을 개발하여 활용

Ÿ DK-UCSI와 빅데이터 기법을 기반으로 맞춤형 서비스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뿐만 아니라, 서비스 지원 활동을 강화

Ÿ 기존의 캠퍼스 생활의 편리성과 기능성에 초점을 둔 CS 활동을 보안과 안전 및 쾌적성을 갖춘 웰빙 캠퍼스 영역으로까지 확대

직무 전문가에 의한 책임행정 시스템 확립

(31)

Ÿ 직무분석(Job Analysis)을 기반으로 직무명세서(Job Description)를 구체화하여 직무중심으로 행정담당자를 배치하고, 이에 맞추어 평가 및 보상하며, 저비 용·고효율·고품질의 유연한 행정조직이 되도록 능력에 의한 인사행정 실현

Ÿ 직무 관련 타 부서의 업무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업무효율성을 높이고, 행 정조직 및 구성원의 직무 안정성을 제고

수요자 중심의 원스톱 행정서비스 구현

Ÿ 행정실명제, 민원해결 책임제 등 업무와 민원처리에 담당자 실명제를 강화하 여 책임성을 명확히 하고 이를 인사고과에 주요항목으로 반영하며, 특히 서 비스 접점(Service Encounter)에서의 고객응대 역량을 강화하고, 민원 접수자 가 문제 해결 후 통보까지 책임지는 원스톱 서비스 실시

Ÿ 민원업무는 기존의 행정업무시간 이외에도 웹과 모바일 기반의 자동화 정보 시스템 등을 활성화하여 실질적인 24시간 업무 지원 추진

Ÿ 단비 CS경영센터의 성과물을 조직내부에 공유하여 대학 내 고객만족 문화를 형성하도록 하며, 특히 지속적인 고객만족 교육을 실시하고, 성과에 대한 평 가시스템을 통해 CS 경영의 효율성 제고

학내 빅데이터 관리조직 수립

Ÿ 우리대학은 학내 빅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하여 기획실 정보화기획담당 부서 에 통합정보관리담당자(CDO : Chief Data Officer) 직제를 신설하고 학내 모 든 조직,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통합관리 수행

Ÿ 현재 운영중인 경영정보시스템(학내명: 통계정보시스템)을 새롭게 개선하여 학내 경영정보 및 주요 지표를 실시간으로 통합 및 업데이트하여 운영의 효 율성 추구

Ÿ 주요 지표별 데이터 입력 및 관리의 책임분장을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 및 즉시성을 제공하여 학내 주요지표에 대한 정보 활용도 제고

Ÿ 통합된 빅데이터는 학내 학습지원서비스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학생역량관 리시스템 「영웅스토리」와 인공지능 기반의 교육지원시스템 「EduAI」에 활용 유연하고 능률적인 국제수준의 행정 시스템 확립

Ÿ 변화하는 업무에 맞추어 유연하게 대응하는 유연한 조직, 유연한 행정시스템 을 갖추어서 조직의 라이트사이징(Rightsizing) 추진

Ÿ 본·분교 통합에 따라 교차근무하는 교원과 직원이 증가하므로 이들의 근무 능률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죽전, 천안캠퍼스 간 연구실 또는 사무실 기능을 갖춘 공용공간인 스마트 워크스테이션 공간을 설치·운영

2.4.3. 재정시스템 혁신 추진목표

모든 낭비(Waste)를 제거하고 저비용·고효율·고품질의 학사 및 행정 조직을

(32)

운영하며, 창의적 방법을 고안하여 재정수입의 새로운 원천을 발굴하고, 재정 수입의 다원화를 통해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재정 확보방안 구축

재정 운영 및 집행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화하는 평가제도 확립 추진전략

낭비제거 및 저비용·고효율·고품질의 학사 및 행정 조직 운영

Ÿ 기업의 원가절감 기법을 벤치마킹하여 대학운영의 낭비요소를 중점 관리하 고, 원가절감(Cost Reduction)을 통한 재정의 효율성 추구

Ÿ 한정된 재원의 투자효과 극대화를 위하여 모든 사업에 있어서 경제성 분석을 실시, 사업의 우선순위 결정 및 매칭펀드 등 교내자금 투입에 반영

Ÿ 기획·예산의 연계체제 강화로 목표 대비 성과 관리를 지속적으로 수행 재원 확보의 새로운 원천 개발과 다원화를 통한 재정 확보

Ÿ 이익책임단위를 만들어서 재정 확충사업을 활성화하여 예산 지출의 권한과 책임을 갖고 스스로 자생력을 키우도록 하며 대학재정에 기여하도록 함

Ÿ 수입 창출 사업 활성화: 박물관 및 도서관 활용 사업, 교육 및 컨설팅 사업, 시설임대, 기술개발 및 기술이전 등 재정수입에 도움이 되는 사업 장려

Ÿ 학사단위 운영의 경제성 제고 : 사업계획 및 성과 심사를 통한 예산 배정

Ÿ 학사단위별 재정안정화 프로그램 운영 허용 투명한 재정 운영과 집행 실효성 평가제도의 확립

Ÿ 재정의 투명성 및 집행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든 사업의 실행에 앞서 서 비용·편익분석 등의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며 비용 지출의 실효성에 대 한 평가 시스템을 활용하여 계속사업 지원, 신규사업 추진의 타당성 등 검증

Ÿ 낭비제거를 통한 원가절감 및 친환경 캠퍼스 구축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고 안하여 활용하며, 조직의 라이트사이징을 구현하고, 대학의 비핵심분야에 대 한 아웃소싱을 확대하여 비용 절감과 재정 건전성 확보

2.4.4. 인공지능기반 스마트 캠퍼스 구축 추진목표

국내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기반 스마트 캠퍼스를 구축하여 대학 비전과 발전 목표를 구현하는 주요 추진체 역할 수행 및 국내 대학의 정보화 선도

우리대학 발전계획의 4대 핵심추진분야에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시스템을 점차 확대 적용하여 비전구현기까지 스마트 캠퍼스 실현(교육 분야로부터 연 구와 봉사·협력 분야로 확대)

추진전략

차세대 무선통신망 구축

스마트 디바이스 중심 정보화 구현

자동화·지능화된 학사 서비스 및 스마트 그리드 구현

(33)

3. 종합 재정 투자 계획 3.1. 대학 재정환경

학령 인구감소 등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의 재정수입은 증가시키기 어려운 반면 교육환경개선을 위한 필수적인 지출과 물가상승에 따른 경상비 등의 재정지출은 증가 추세

입학자원 감소, 입학금 폐지, 최저임금 및 물가상승 등은 재정운영부담의 주요 요인이며, 2017년 대비 2021년에는 159억원의 추가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

[표 1]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른 교비회계 재정환경 (단위 : 백만원)

수지 구분 ’17 ’18 ’19 ’20 ’21

수입 입학정원 감축(학부수업료) 172,985 170,960 169,340 168,692 168,692 입학금 폐지(학부입학금) 5,449 4,655 3,861 3,067 2,273 178,434 175,615 173,201 171,759 170,965 지출 최저임금 상승(대상자 인건비) 12,340 13,430 15,066 16,947 16,947 공공요금 등 물가상승(운영비) 30,140 31,073 32,005 32,965 33,954 42,480 44,503 47,071 49,912 50,901 전년대비 부담 증가액 4,842 4,982 4,283 1,783 누적 증가액 4,842 9,824 14,107 15,890

3.2. 중장기발전계획 재정 투자 현황 및 계획

2018년은 중장기발전계획 「Dynamic Dankook 2027」의 첫 해로써, 4대 핵심 추진 분야 및 13대 추진 목표를 중심으로 실현가능성, 시의성, 미래지향성, 지속가능성, 파급효과 등을 고려하여 투자 우선순위를 두고 재정 투입

중장기발전계획의 1단계인 기반마련기(’18~’21회계)에 투입예정 예산은 6,635억원 (교육분야 5,017억원, 연구분야 650억원, 산학협력분야 572억원, 기타 조직⋅

경영분야 396억원)으로 필수 불가결한 운영비 등을 제외한 교비회계 지출 예산 및 산학협력단 수주액을 집중 투자

특히 4차산업혁명시대 도래에 따라 과학기술뿐만 아니라 인문·사회 분야의 융복합 학문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기술변화에 따른 산업계의 인재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학부 중심의 교육분야, 대학원 중심의 연구·산학협력분야로 구분하여 투자하고, 학사구조의 유연화 및 행·재정시스템의 혁신을 위하여 조직경영분야에 투자

분야별 과제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재정확보 계획은 다음과 같음

Ÿ 안정적인 자체재원 확보

Ÿ 기존 재정지원사업의 성과를 극대화하여 사업종료 시까지 지속 추진

Ÿ 신규 재정지원사업 적극 추진 및 수주

(34)

[표 2] 중장기발전계획에 따른 재정투자 현황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분야 ’18 ’19 ’20 ’21 예산 투입 현황 및 계획

자체 교육부 정부 지자체 합계

교육

교육분야의 특성화 56,286 56,930 57,158 57,458 206,542 9,946 10,430 914 227,832 국제화 역량 강화 2,643 2,968 3,619 3,704 10,279 2,655 0 0 12,934 미래형 교육 지원 시스템 구축 64,520 65,565 65,440 65,440 253,739 6,385 805 36 260,965 소계 123,449 125,463 126,217 126,602 470,560 18,986 11,235 950 501,731

연구

연구 수월성 확보 및 국제 경쟁력 강화 6,659 7,319 7,059 6,859 13,569 5,096 6,891 2,340 27,896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의 구축 7,729 8,239 8,229 8,229 10,460 15,342 6,624 0 32,426 독립,자율,체계적 연구 활동을 위한 시스템 393 1,187 1,510 1,610 3,560 1,140 0 0 4,700 소계 14,781 16,745 16,798 16,698 27,589 21,578 13,515 2,340 65,022

산학 협력

지역사회 친화형 명문 사학 1,820 1,820 1,829 1,820 7,289 0 0 0 7,289 인류사회에 공헌하는 글로벌 대학 1,469 1,469 1,469 1,469 5,876 0 0 0 5,876 세계 최고 수준의 산학협력 대학 10,491 11,153 11,241 11,100 17,162 16,193 10,630 0 43,985 소계 13,780 14,442 14,539 14,389 30,327 16,193 10,630 0 57,150

조직 경영

학사구조 유연화 1,000 1,000 1,092 1,092 4,184 0 0 0 4,184 행정시스템 혁신 1,341 1,797 1,859 1,990 6,536 451 0 0 6,987 재정시스템 혁신 4,088 4,103 4,133 4,118 15,716 726 0 0 16,442 AI기반 스마트 캠퍼스, 웰빙-그린 캠퍼스 2,881 3,038 3,181 2,930 12,030 0 0 0 12,030 소계 9,310 9,938 10,265 10,130 38,466 1,177 0 0 39,643 합계 161,320 166,588 167,819 167,819 566,942 57,934 35,380 3,290 663,546

3.3. 중장기발전계획 추진을 위한 자체재원 확보 방안

우리 대학은 중장기발전계획 「Dynamic Dankook 2027」의 완성을 위한 장기적·

안정적인 재정확보 및 창의적 방안들을 제시하고, 수입의 다원화와 재정집행의 투명성 및 실효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자체 재정확보전략 추진

Ÿ 낭비제거 및 저비용·고효율·고품질의 학사 및 행정조직 운영

Ÿ 새로운 재원확보 원천개발과 다원화를 통한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재정확보

Ÿ 투명한 재정운영과 집행 실효성 평가제도의 확립

[표 3] 중장기발전계획 추진을 위한 자체재원 확보 방안 (단위 : 백만원, %)

회계 구분 19 20 21 합계 비율(%)

등록금 등록금 수입(일부) 116,269 116,890 115,690 348,849 81.9 비등록금 교내시설물 대여·사용료 3,700 3,700 3,700 11,100 2.6 특별회계 운영수입 3,100 3,100 3,100 9,300 2.2 예금이자수입 1,000 1,000 1,000 3,000 0.7 부속병원 및 산학협력단 전입금 8,260 8,560 9,760 26,580 6.3 법인전입금(운영비-법정부담금제외) 1,050 1,050 1,050 3,150 0.7 대학발전기금 6,000 6,000 6,000 18,000 4.2 교육환경개선 적립기금 2,000 2,000 2,000 6,000 1.4 141,379 142,300 142,300 425,979 100.0

(35)

3.4. 중장기발전계획 추진을 위한 재정 투자 계획

[표 4] 재정 투자 계획(안) (단위 : 억원)

구분 지원처 분야 및 재원

교육 연구 산학협력 기타

학부

교비 자체재원

(’19~’21년 2,826.7억)

자체재원 (’19~’21년 46.4억)

자체재원 (’19~’21년 57.8억)

교육부

LINC+

(’19~’21년 6.1억)

K-MOOC (’19~’21년 3.4억)

4차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19~’21년 7.8억)

LINC+

(’19~’21년 107.3억) 4차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19~’21년 19.8억) 4차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19~’21년 2.5억) 특수외국어 전문교육기관

(’19~’21년 11.5억) 대학혁신지원 (’19~’21년 118.6억)

대학혁신지원 (’19~’21년 14.4억)

정부

과기정통부 (SW중심대학) (’19~’21년 34억)

(창업선도대학)중기부 (’19~’21년 0.6억)

과기정통부 (SW중심대학) (’19~’21년 19억)

과기정통부 (SW중심대학) (’19~’21년 6.7억) 산업통상부

(공학교육혁신센터) (’19~’21년 2.4억)

산업통상부 (지역특화청년 무역 전문가 양성) (’19~’21년 3.6억)

산업통상부 (첨단 신소재 기반 3D프린팅

전문인력 양성사업) (’19~’21년 8.7억)

(창업선도대학)중기부 (’19~’21년 58억) 산업통상부

(바이오 GMP 기술인력 양성)

(’19년 2.3억)

정부신규사업

(’20~’21년 8.4억) 정부신규사업

(’20~’21년 2.4억) 정부신규사업

(’20~’21년 0.9억)

지자체

교양교육지원 (’19~’21년 0.8억)

SW중심대학

(’19~’21년 6억) 경기도지역협력 지원(GRRC) (’19~’21년 17.6억) 공학교육혁신센터

(’19~’21년 0.3억)

대학원

교비 자체재원

(’19~’21년 707억)

자체재원 (’19~’21년 160억)

자체재원 (’19~’21년 170.3억)

교육부

BK21플러스 (’19~’21년 56.2억)

HK+

(’19~’21년 42.9억) LINC+

(’19~’21년 0.9억) 대학중점연구소 지원

(’19~’21년 16.5억) 대학혁신지원 (’19~’21년 51.3억)

정부

산업통상부 (산업보안특성화학과) (’19~’21년 1.8억)

과기정통부 (정보보호석사과정) (’19~’21년 2.6억)

과기정통부 (대학ICT연구

센터지원) (’19~’21년 24억)

과기정통부 (해외우수연구

기관유치) (’19~’21년 18.5억)

산업통상부 (창의산업융합

특성화) (’19~’21년 15억) 중기부

(계약학과 운영) (’19~’21년 20.8억)

정부신규사업 (’20~’21년 6억)

농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 연구센터지원) (’19~’21년 24.4억)

국토교통부 (도시건축 연구사업) (’19~’21년 6.8억) 지자체

거버넌스

교비 자체재원

(’19~’21년 291.6억)

교육부 대학혁신지원

(’19 ~’21년 11.8억)

(36)

3.5. 연차별 종합 재정투자계획

중장기발전계획 「Dynamic Dankook 2027」의 분야별 추진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재정투자계획을 체계적으로 설정

개혁기(’18~’21회계) 투입예정인 총 예산 6,635억원 중 ’19~’21회계에 투입 예정인 예산은 5,022억원으로, 교육분야에 3,783억원(75.4%), 연구분야에 502억원(10%), 산학협력분야에 434억원(8.7%), 기타 조직⋅경영분야 및 사업관리운영분야에 303억원(6.0%)를 투입

재원별 예산투입 계획은 자체예산이 4,260억원(84.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하고 있으며, 정부 및 지자체 재정지원사업 예산은 762억원(15.2%)이며, 이 중 대학혁신지원사업 예산은 196억원으로 전체예산의 3.9%를 차지

[표 5] 중장기발전을 위한 연차별 예산 투입계획(안) (단위 : 백만원, %)

구분 교육 연구 산학협력 기타 사업관리

및 운영

비율 (%)

’19년

대학혁신지원 4,086 1,725 447 277 0 3.9

LINC+ 204 0 3,607 0 0 2.3

BK21 Plus 0 1,874 0 0 0 1.1

기타사업 1,156 2,239 82 0 0 2.1

타부처 2,653 3,379 2,658 0 0 5.2

지자체 237 585 0 0 0 0.5

자체재원 117,127 6,943 7,648 8,353 1,308 84.9

’19년 소계 125,463 16,745 14,442 8,630 1,308 100.0

’20년

대학혁신지원 3,890 1,700 495 450 0 3.9

LINC+ 204 0 3,607 0 0 2.3

BK21 Plus 0 1,874 0 0 0 1.1

기타사업 1,156 2,239 82 0 0 2.1

타부처 2,800 3,500 2,700 0 0 5.4

지자체 237 585 0 0 0 0.5

자체재원 117,930 6,900 7,655 8,415 1,400 84.7

’20년 소계 126,217 16,798 14,539 8,865 1,400 100.0

’21년

대학혁신지원 3,890 1,700 495 450 0 3.9

LINC+ 204 0 3,607 0 0 2.3

BK21 Plus 0 1,874 0 0 0 1.1

기타사업 1,156 2,239 82 0 0 2.1

타부처 2,800 3,500 2,700 0 0 5.4

지자체 237 585 0 0 0 0.5

자체재원 118,315 6,800 7,505 8,280 1,400 84.7

’21년 소계 126,602 16,698 14,389 8,730 1,400 100.0

’19 ~ ’21년 합계 378,282 50,241 43,370 26,225 4,108

(37)

Ⅰ. 대학혁신지원 사업 목표

대학혁신지원사업

참조

관련 문서

○ 도매유통 효율화를 위한 제도개선과 도매시장 시설현대화 지속적 추진 - 정가·수의매매, 선취거래 등 다양한 거래방법 도입을 위한 기반조성, 정책자금 지원 확대

따라서 인도네시아 정부는 식량의 자급자족이 최우선 과제이며 빈곤 농민을 위한 식량작물 가격보장 및 생산지원 사업 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농업 생산성

― 미래형 융합교육을 위한 학교에 대한 영역별·단계별 선도 모델을 체계화함... 선도모델

STEAM 융합 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학생 팀 구성 및 홍보 : 개발될 STEAM 융합인재 양성 프로그램 의 효과 검증 및 실제 학생들의 STEAM 융합 능력 배양을 위한 학생 팀 구성

- 국내유일의 국토정보 및 지적측량 전문기관으로서 위상에 적합한 다양한 국토정보 관련 교육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앞으로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STEAM 교육 지원을 위한 방과후학교

국내·외 STEAM 교육 사례 및 자료 분석을 통한 교육 연구 토대 마련 개정2009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주제 제시 및 적용..

◦ 교원의 교육 및 연구활동을 위해 행·재정적 지원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원의 교육 및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