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성과지표 설정 및 달성목표 총괄표

지표명 기준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교육혁신지수 100.0 100.5 102.0 103.5

지표설정 근거

지표선정이유

• 교육혁신의 주요 구성 주체(교수 및 학생) 및 요소를 중심으 로 한 범주화 : 교육참여자, 교육환경, 교육과정, 교육방법

• 교육성과(핵심역량)의 단기 효과 측정의 어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투입 및 단기 산출 지표를 활용함

세부 프로그램과의 관련성

• 교육환경 혁신 : ALC, 집단지성 활용 Peer 평가 등 첨단 강의 환경 활용, EduAI 교육지원시스템 활용 및 Young熊 스토리 등 플랫폼 기반 성과 평가 도입

• 교육과정 혁신 : 모듈형 교육과정, 공유 교육과정, 중핵/공 통 교양 도입 등

• 교육방법 혁신 : Learning Community, Design Thinking 등 산출식 • [(교육환경 혁신 + 교육과정 혁신) + (교육혁신 참여 + 핵

심역량 함양 + 국제화 지수)] / 5 × 100

지침 정비

예산편성지침 : 사업계획서 작성 요령, 적용 가능한 계정과목, 산출근거 작성 방법, 사업별 예산편성 방법 및 유의사항 등 준수해야 할 내용 추가

예산운영지침 : 편성된 사업을 집행 시 준수해야 할 내용(사업집행 용도, 목적 외 예산집행 금지 등) 및 집행 후 사업 관리 방안 등 추가

매뉴얼 제작

대학혁신지원사업 관련 사업계획서 작성 원칙, 사업비의 연차별 편성 방법, 집행 시 유의사항, 사업비 정산 방법, 성과지표 관리 방법, 사업비 평가방법, 사업비 이월 기준, 사업별 사후 관리방안 등의 자료집 제작

성과관리체계 시스템 구축에 따른 세부 실행 추진사업별 사업계획서 등록 방법, 데이터 관리 방법, 각종 자료의 시스템 등록, 추진사업의 평가 방법, 사후 관리 방안 등 시스템 운영 전반에 관한 자료집 제작

세부산출내용

지수 기준값

혁신적 교육과정 적용 학과(전공) 수 3개 신설학과 및 통합학과 교육과정 개발 건수 0개

ALC 강의실 수 33개

전공 교과목 개발/개설 건수 619개

교양 교과목 개발/개설 건수 161개

신규 비교과 프로그램 개설 건수 0개

다전공 이수 중인 재학생 수 6,294명

혁신적 교육과정 참여 학생 수 205명

신규 개설 교양 교과목 수강학생 수 0명

신규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학생 수 0명

학습공동체 참여 학생 수 460명

단국핵심역량 평균 3.53/5.00

전공역량 평균 3.62/5.00

학위과정 등록 외국인 학생 비율 3.95%

유학생 중도탈락률 7.29%

•기준값(2018학년도)

•측정방법

(1) 교육환경 혁신 = {[혁신적 교육과정 적용 학과(전공) 수 × 5] + [신설학과 및 통합학과 교육과정 개발 건수 + [ALC 강의실 수( D-Space 등 포함) × 3]} / 18학년도 교육환경 혁신 값

(2) 교육과정 혁신 = {[전공 교과목 개발/개설 건 수] + [교양 교과목 개발/개설 건수] + [신규 비교과 프로그램 개설 건 수]} / 18학년도 교육과정혁신 값

(3) 교육혁신 참여 = {[다전공 이수 중인 재학생 수]+[혁신적 교육과정 참여 학생 수] + [신규 개설 교양 교과목 수강학 생 수] + [신규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학생 수] + [학습공 동체 참여 학생 수]}/(총 재학생 수) / 18학년도 교육혁신 참여 값

(4) 핵심역량 함양 = {[단국핵심역량 평균 × 0.5) + [전공역량 평균 × 0.5)} / 18학년도 핵심역량 함양 값

(5) 국제화 지수 = {(학위과정 등록 외국인 학생 비율) + (1-유 학생 중도탈락율)} / 18학년도 국제화 지수 값

현재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

• 2018년 기준값을 고려 재학생 참여 비율 및 신규 강의 개 설 건수 확대를 위해 기준값 기준 매년 1.5% 향상 목표.

단 2019년의 경우, 교육환경 및 교육과정 등 혁신을 위한 개발 및 준비가 중점적이므로 2018년 대비 0.5% 향상 목 표. 2020년 이후 2019년 대비 매년 1.5% 향상 목표

기대성과 •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반 구축 및 투입, 산출, 질적 성과 향상 간의 균형적 반영

지표명 기준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융합연구지수 100.0 110.0 120.0 130.0

지표설정

근거 지표선정이유

• 융합 연구 활성화를 위한 정량 지표인 융합연구지수를 설 정. 융합연구지수는 융합연구의 결과물인 융합연구 논문의 양적 증가는 물론 질적 향상과 융합연구 확장을 위한 운 영 지표가 포함되어야 함

3.2. 자율지표명 : 융합연구지수 [증빙 p.25]

세부 프로그램과의 관련성

• ‘미래융합연구원’ 중심의 융합연구 기반 조성으로 인한 효 과 정량화. 또한 ‘캠퍼스별 특성화를 반영한 연구중심학과 (RFD) 선정 및 육성’과 ‘학부생 연구트랙제(VIP)를 통한 글 로벌 연구인재 양성’에 의해 더불어 발생될 전임교원의 융 합연구 논문 업적 향상을 반영

산출식

• 융합연구지수 = {(융합연구 연구역량 지표 + 융합연구 운영 지표) / 2} × 100

• I. 융합연구 연구역량 지표 = (대학혁신지원사업 비용, 내부 융합연구지원비 (교책중점연구원 및 교내 융합과제) 및 2019년 이후 융합연구비 외부 신규 수주에 의한 전임교원의 융합 연구업적 점수 합계 (SCI/KCI급)) / (2018년도 융합연 구지원 (교책중점연구원 + 융합과제지원비)에 의한 전임교 원의 융합 연구업적 점수 합계 (SCI/KCI급))

• II. 융합연구 운영 지표 = {1+ [융합연구 프로그램 운영 지 수 (0.5 × (융합컨퍼런스 개최횟수/2회)] + [0.5 × (융합연구 지원금 및 신규 융합연구 수주액/3.28억)]} / 2

세부산출내용

지수 기준값

2018년 융합연구지원에 의한 논문점수 3,913.5점

2018년 융합연구지원금 3.28억원

• 기준값 : 1 (2018학년도)

• 융합연구역량지표 측정방법 : 대학혁신지원사업비 연구분 야 투자액 및 2019년 3월 이후 새로 확보된 융합연구비에 의한 전임교수의 융합연구 논문점수의 합 (SCI/KCI급)

• 교내 연구업적 업로드 시스템에 ‘대학혁신지원사업비 지원 + 2019년 3월 이후 융합연구비 외부 수주에 의한 연구 논 문 체크’ 항목 추가 예정 (미래융합연구원, 연구중심학과, VIP 프로그램 및 기타 신규 융합연구비 수주에 참여한 전 임교원의 업적 중)

• 융합연구에 의한 질적 향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구업적 평가기준 수정 (분야별 상위 연구논문에 대한 가중치 부여 기준 상향 조정) 후 반영할 예정

• 융합연구 운영지표 측정방법 : 2019년도 융합연구 개최 예 정 횟수 2회/년 및 2018년도 융합연구 기 지원금 3.28억/년 을 기준으로 삼음

• 2개 단과대학, 3개 학과(전공), 1개 교외(해외) 연구자 이상 이 공동으로 참여하거나 융합학과(전공) 출간 연구논문에 한하여 융합연구 실적으로 인정할 예정

현재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

• 2018학년도 우리 대학의 융합연구지수를 기준값으로 하여 목표치 설정

• 융합연구 역량지표 : 2018년에 발생된 (2018.03~2019.02) 융합연구 지원에 의한 SCI/KCI급 논문 점수 총합 반영 (현재 3,913.5점임)

• 융합연구 운영지표 : 2019학년도에 예정된 융합컨퍼런스 개최 횟수 2회 및 융합연구지원금 3.28억(현 교책중점연구 지원비 + 융합과제 지원비 합)을 기준값으로 잡음

• 최근 3년간 전임교원당 국제논문 편수 증가 비율의 평균값 을(연 10%) 고려하여 융합연구지수 연간 10% 향상 목표

기대성과

• 연구논문의 양적 증가만이 아니라 질적 향상 기대(단기)

• 교외 연구비 확보 능력 및 전체 대학의 연구력 (전임교원1 인당 연구논문 수 등) 향상에 기여(장기)

3.3. 자율지표명 : 산학협력 혁신지수 [증빙 p.26]

지표명 기준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산학협력 혁신지수 100.0 105.3 111.6 118.0

지표설정 근거

지표선정이유

• 예산 투입이 발생하는 프로그램 중심으로 지표 구성

• 산학협력 혁신은 연구 수주, 기술사업화, 협력 네트워크 및 인프라 수준에 의해 관리될 수 있음

• 산학협력 혁신 프로그램으로 제시한 2개 세부프로그램과 관 련성이 높고 객관적 집계 및 관리가 가능한 지표 중심으로 설정

• 공시자료 중심으로 지표를 선정하여 객관적 관리가 가능하 도록 설정

세부 프로그램과의 관련성

• 연구비 수주 금액 : 산학협력 성과 전반을 대표

• 기술이전 수입료 : 산학협력 혁신 클러스터 구축

• 기술자회사 수 : 산학협력 혁신 클러스터 구축

• 가족기업 수 : 산학협력 혁신 클러스터구축

•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 : 산학협력 혁신 클러스터구축

• 학생 창업자 수 : 학생 창업선도모델(FARM) 활성화

산출식

• {(0.1 × 연구비 수주 금액 / 2018학년도 연구비 수주 금액) + (0.1 × 기술이전 수입료 / 2018학년도 기술이전 수입료) + (0.2 × 기술자회사 수 / 2018학년도 기술자회사 수) + (0.2 × 가족기업 수 / 2018학년도 가족기업 수) + (0.2 ×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 / 2018학년도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 + (0.2 × 학생 창업자 수 / 2018학년도 학생 창업자 수)} × 100

세부산출내용

• 기준값(2018학년도)

지수 기준값 2019 2020 2021

연구비 수주 금액(년) 492억 495억 498억 501억 기술이전 수입료(년) 9.93억 10억 11억 12억

기술자회사 수 9개 10개 11개 12개

가족기업 수 2,306개 2,400개 2,500개 2,600개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 59명 60명 61명 62명 학생 창업자 수(년) 11개 12개 13개 14개

* 기술자회사 수, 가족기업 수,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는 누적

• 측정방법

- 대학알리미 공시자료 기준 및 외부 공개 자료 활용 - 연구비 수주 금액 = 공시자료 기준 연구비 수주액 - 기술이전 수입료 = 기술이전 수입 + 기술이전 사업비 - 기술자회사 수 = 기술지주회사 자회사 수

- 가족기업 수 = 등록 가족기업 수

- 산학협력 전문인력 수 = 산학협력 교원 수 + 산학협력 정 규직((혁신지원사업 신규인력) 무기계약직 포함) 직원 수 - 학생 창업자 수 = 사업화 실적 보유 학생 수

현재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

• 산학협력 혁신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설명하면서도 대학혁신 지원사업 세부 프로그램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구성

• 최근 3년간의 기준값 변화를 참고하여 달성 가능하면서도 도전적인 목표치 설정

기대성과

• 산학협력 전반에 대한 균형 잡힌 성과 관리가 가능할 것으 로 예상

• 기술사업화 관련 지표들을 중심으로 지수를 설정함으로써 4 차산업혁명시대 흐름에 맞춘 새로운 재정수입 향상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지표명 기준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HUMART 행정 혁신지수 100.0 101.0 103.0 105.0

지표설정 근거

지표선정이유

• 우리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을 기반으로 대학혁신전략의 안정적 추진을 위해서는 하드웨어적 기반이 되는 행정시스 템 혁신이 필요

• 4차산업혁명시대의 도래와 함께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어 의사결정시스템 지원을 위한 데이터 분석 기반 구축은 대학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필수

• 현실성 있는 정책결정과 집행 후 환류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예산과 연동된 성과관리 방안이 연계 적용되어야 함

세부 프로그램과의 관련성

•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데이터 분석시스템 구축, 예산이 연 동된 성과관리 시스템, HUMART 행정시스템 구축은 모두 교내 구성원의 만족도가 기준이 되어 정책추진 및 개선방 안이 도출 가능함

산출식

• {[(업무분석 및 재정립 효과 만족도 / 18학년도 업무분석 및 재정립 효과 만족도 × 100)] + [(HUMART 행정시스템 사용 자만족도 / 18학년도 HUMART 행정시스템 사용자만족도 × 100)] + [(HUMART 행정시스템 1년 사용자수 / 재적생) / 18 학년도 (HUMART 행정시스템 1년 사용자수 / 재적생) × 100]} / 3

세부산출내용

• 기준값(2018학년도)

지수 기준값

업무분석 및 재정립 효과 만족도 66.5점

HUMART 행정시스템 사용자 만족도 조사 56.7점 HUMART 행정시스템 당해연도 사용자 수 / 재적생 9.65%

• 측정방법

- 업무분석 및 재정립 효과 만족도 : CS경영센터의 행정서비 스만족도 조사 (데이터정보환경 만족도 + 행정서비스개선 만족도)

⋆데이터정보환경 만족도 평균 : 직원 간 업무협조 + 행정정보 접근 용이성 + 행정담당자 접근 용이성

⋆행정서비스개선 만족도 평균 : 행정서비스 만족도 + 개선노력 + 충분한 지식과 전문성

(※ 2017학년도 기준값 적용)

- HUMART 행정시스템 사용자 만족도 : 인공지능기반 행정 시스템 사용자 만족도 + 블록체인 기반 증명서 발급 시스 템 사용자 만족도 + 학내 마일리지 시스템 사용자 만족도 (5지선다 설문 중,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라고 답한 학생의 비율을 산정)

- HUMART 행정시스템 1년 사용자수 : (인공지능기반 행정 시스템 사용자 수 + 블록체인 기반 증명서 발급 시스템 사용자 수 + 학내 마일리지 시스템 사용자 수) / 재적생

인공지능기반 행정시스템은 2018년 5월 서비스 시작, 학내 마일리지 시스템, 블록체인 기반 증명서발급 시스템은 구축 예정

3.4. 자율지표명 : HUMART 행정 혁신지수 [증빙 pp.27~28]

현재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

• 2018년 인공지능기반 행정시스템에 대한 구성원의 만족도 조사와 사용자 통계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이후 매년 실시 할 예정임

기대성과

• 합리적인 의사결정시스템으로 사업 및 정책 추진의 실효성 을 높임

• 예산과 연동된 성과관리 시스템의 환류과정을 통해 개선된 정책 및 사업 추진의 현실성이 높아짐

• 행정시스템의 만족도가 높아지면서 행정 처리에 대한 역량 을 교육이나 기타 중요업무에 전이하여 효율성을 높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