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청각장애인의 직업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청각장애인의 직업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Copied!
9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碩士學位論文

청각장애인의 직업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중등교육과정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ocational Education of Hearing Impaired

? on the secondary education-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전자공학교육전공

김 태 은

2001

(2)

청각장애인의 직업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중등교육과정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ocational Education of Hearing Impaired

? on the secondary education-

지도교수 김 도 현

이 논문을 석사학위 청구 논문으로 제출함

2002년 6월 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전자공학교육전공 김 태 은

2001

(3)

김 태 은 의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인준함

2002년 6월 일

심사위원장 사공 석 진 심사위원 김 도 현 심사위원 김 동 명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4)

목 차

국문요약

……… 1

I. 서론

……… 3

1.1. 연구의 의의 ……… 3

1.2. 연구 방법 및 범위 ……… 7

II. 청각장애인의 이해

……… 8

2.1. 청각장애인의 일반적인 이해 ……… 8

2.1.1. 청각장애의 구분 ……… 8

2.1.2. 청각장애의 정의 ……… 9

2.1.3. 청력 손실 정도에 따른 청력상태 ……… 12

2.1.4. 청각장애 판정기준 ……… 13

2.1.5. 청각장애의 원인 ……… 14

2.2. 청각장애인의 특성 ……… 17

2.2.1. 신체적 발달 ……… 17

2.2.2. 지적 ? 언어적 발달 ……… 17

2.2.3. 인성적 발달 ……… 19

2.2.4. 청각장애인의 학업 성취도 ……… 21

2.3. 청각장애와 직업적 특성 ……… 24

2.3.1. 신체조건과 직업적 특성 ……… 24

2.3.2. 의사소통 능력과 직업적 특성 ……… 26

2.3.3. 인성과 직업적 특성 ……… 27

III. 청각장애인의 직업교육 및 직업훈련 현황과 문제점

3.1. 청각장애 특수학교의 직업교육 ……… 31

3.1.1. 전국의 청각장애 특수학교 ……… 32

(5)

3.1.2. 청각장애 특수학교 직업교육 과정 ……… 34

3.1.3. 청각장애 특수학교의 직업교과목 및 취업직종 현황 ……… 39

3.1.4. 청각장애 특수학교의 전공과 운영 ……… 42

3.1.5. 특수학교 고등부 졸업예정자 실태 ……… 44

3.1.6. 청각장애 고등부 졸업생 진로조사 ……… 46

3.2. 직업훈련 기관 및 직종 ……… 47

3.2.1. 직업훈련의 개념과 의의 ……… 47

3.2.2. 청각장애인의 직업훈련 현황 ……… 48

3.3. 청각장애인 취업실태 및 일반현황 ……… 53

3.4. 외국의 직업교육 ……… 56

3.4.1. 일본의 청각장애학교 직업교육 ……… 56

3.4.2. 미국의 청각장애학교 직업교육 ……… 58

3.4.3. 그 외의 나라들 ……… 63

3.5. 문제점 ……… 64

IV. 개선방안

……… 68

4.1. 장애인 등록제도의 개선 ……… 68

4.2. 산업구조변화에 따른 직업교육 직종 개선 및 자격증 취득 ……… 69

4.2.1. 우리 나라 산업구조의 변화 ……… 69

4.2.2. 개선방안 ……… 72

4.3. 청각장애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선 ……… 74

4.4. 산학협동 ……… 75

4.5. 진로지도의 개선 ……… 77

4.6.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활성화 ……… 77

V. 결론

……… 78

참고문헌

……… 80

SUMMARY

……… 83

(6)

표 목 차

<표 2-1> 청력 손실 정도에 따른 청력상태 ……… 12

<표 2-2> 장애 등급 기준 규정 ……… 13

<표 2-3> 청력에 의한 가능직업 일람표 ……… 25

<표 3-1> 전국 농학교의 설립형태 ……… 32

<표 3-2> 전국농학교의 설립연대 ……… 33

<표 3-3> 특수 학교 직업 교과 교육 과정의 변천 ……… 35

<표 3-4> 전문교과의 목표와 내용 ……… 38

<표 3-5> 청각장애 특수학교 직업교육과목과 취업직종 ……… 40

<표 3-6> 전공과 설치학교 및 훈련직종 ……… 43

<표 3-7> 청각장애 직업교육 과정 ……… 45

<표 3-8> 졸업예정자의 취업희망 직종 ……… 45

<표 3-9> 진로와 전공 /직종 내용 ……… 46

<표 3-10> 직업훈련원의 훈련직종 ……… 49

<표 3-11> 일산직업전문학교 수료현황 ……… 50

<표 3-12> 운보원 수료생 현황 ……… 51

<표 3-13> 장애별 수료생 현황 ……… 52

<표 3-14> 장애유형별 추정수 및 출현율 ……… 54

<표 3-15> 취업장애인의 월평균소득 ……… 54

<표 3-16> 장애유형별 취업률 ……… 55

<표 3-17> 1/4 분기 청각장애 취업자 직종 분포현황 ……… 55

<표 3-18> 일본의 직업 교과 과목 ……… 56

(7)

<표 3-19> 미국장애인의 취업직종 현황 ……… 62

<표 4-1> 부가가치로 본 한국 산업구조의 변화 ……… 69

<표 4-2> 노동집약적 시대의 기능 인력 구분 ……… 70

<표 4-3> 기술집약적 시대의 기능 인력 구분 ……… 71

<표 4-4> 기술 ?기능인력의 변화 추이 ……… 71

(8)

< 국 문 요 약 >

청각장애인의 직업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중등교육과정 중심으로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전자공학교육 전공 김 태 은 지도교수 : 김 도 현

현사회는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직업의 종류가 2만여 종이 넘고 있으며, 생산기 술의 혁신으로 직업의 분포도 과거에 비해 많이 달라지고 있다. 육체노동이 주를 이 루었던 것에 상당한 부분이 정신노동으로 전환되고, 우리 나라 산업구조에서 요구하 는 인력은 단순노동직에서 숙련된 기술인력과 고등교육을 받은 엔지니어로 바뀌었 다. 이처럼 학교 바깥에서 일어나는 직업 시장의 변화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데 비 해, 농학생들을 위한 직업교육 프로그램은 예나 지금이나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조사방법을 통하여 청각장애인들에게 이루어지고 있는 직업 교육과 직업훈련의 실태를 조사하여 현 사회구조, 즉, 산업구조와의 연관성과, 직업 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한 뒤, 그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2002년 개정된 장애인 복지법에 따르면 청각장애를 청력장애와 평형장애로 구분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는 청력장애만을 다루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확한 실태파악을 위한 장애인 등록이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산업구조는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지만 이에 따른 직업교육 직종은 큰 변화

(9)

없이 계속되어 왔다. 사회변화를 분석하고 예측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직업교육 직 종을 개선하고 후기 산업사회의 필수조건인 자격증 취득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전국의 각 학교가 많은 직업교육 과목을 설치 운영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으므로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기본적인 교과를 운영하고 직업훈련원과 기타 기관과 연계하여 심도있는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화하여야 한다.

넷째, 학교와 직업훈련원내의 전문적인 교육의 어려움은 산학협동으로 풀어가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 맞는 직종개발 또한 필요하다.

다섯째, 진로지도를 개선하여 유치원부터 체계적인 진로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청각장애아 부모에 대한 교육에도 좀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여섯째,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을 활성화하여야 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청각장애인의 직업교육의 개선은 어느 한 개인이나 몇몇 단체 또는 기관의 힘으로는 실현이 불가능한 일이므로 국가에서부터 시작하여 실제 일선에 있는 교사 및 전문요원, 기업체와 일반인의 이해와 협조, 그리고 청각 장애인 자신들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

(10)

I . 서 론

1.1. 연구의 의의

장애인들이 직업을 가져야 한다는 것은 사회복지란 이야기를 하지않더라도 그 들이 다른 누구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자립할 수 있어야 한 사람의 사회인으로 기능 을 할 수 있다는 면에서 절실함을 알 수 있다.

자립생활이란 무엇보다도 직업생활을 통한 경제적인 자립이 이루어 져야 한다.

그러나 장애인들은 개인이 지닌 장애 정도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겠지만 일반적 으로 취업선택의 폭이 극히 제한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장애인이 지닌 직업기술이 나 적응능력, 사회적 편견이나 무관심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청각장애인은 그 장애가 외형적으로 뚜렷이 드러나지 않고 타 장애 유형에 비 하여 이동과 신변처리가 자유롭고 작업을 수행하는데 청력손실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제외하면 건청인과 크게 구별될 조건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유형 에 비해 직업선택의 폭이 넓고 취업도 용이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청각장애 인의 장애를 구성하는 변인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여 청력손실의 정도와 유형・ 실 청시기・ 실청원인 등이 청각장애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고, 부모의 양 육태도・ 처음 교육 받은 시기와 학력・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 등도 각각 다른 특징을 형성하는 변인이 되어(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2) 사실상 취업에 상당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직업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요인으로서 김충기(1987)와 이무근(1993)은 지능, 흥미, 적성, 인성, 가치관, 신체적 조건을 지적하고 있다. 이 중에서 청각장애 인의 지능은 언어기술에 의존하는 검사도구의 측정결과는 일반 아동보다 열등하나,

(11)

동작성 검사도구로 측정한 결과는 결코 열등하지 않다(김승국, 1989)고 보고되고 있 다.

비록, 청각장애인의 지적능력이 건청인(일반인)에 비해 열등하지 않다고 하더라 도 직업선택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적성이나 흥미, 인성, 가치관등의 형성에 청력손 실이 미치는 영향은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클 것이다.

특히 건청인들은 직업 및 일상생활과 직결되는 기능문해에 높은 득점을 얻은 반면 청각장애인들은 자신의 이름 쓰기와 시계 보기, 바구니에 담긴 과일 수세기 등 극히 초보적인 문자 및 기초문해에서 득점률이 높았다.

이처럼 지적능력은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문해수준이나 청력 및 의사소통의 결 함은 사회성의 발달에도 영향을 준다. 그래서 취업 후 직업생활적응에 실패하므로, 이・전직이 잦고, 기업주나 인사담당자에게 부정적인 청각장애인상을 심어주는 계기 가 되기도 한다.

실제로 의사소통의 문제는 낮은 학업성취 수준과 대인관계 및 사회적응의 문제 를 야기하기 때문에 청각장애인의 취업분야는 한정되어 있다.

지난 1998년 청각장애 특수학교 고등부를 졸업한 227명 중 취업을 한 134명 의 직종을 보면 제조업과 섬유, 전기? 전자제품 등 단순 노무직에 집중되고 있고(한 국청각장애인복지회, 1998) 1997년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구인 현황에서도 청각 장애인 구직자 1,686명 중 전문직업에 취업 된 인원은 1명(0.1%) 뿐이고, 준전문직 9명(0.5%), 사무직 5명(0.3%), 농림? 어업직 3명(.0.2%), 기능원 361명(21.4%), 기 계조립직 205명(12.2%), 단순노무직에 1,102명(65.4%)이 취업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8). 위의 조사결과를 보면 청각장애인은 건청인에 비 해 전문직이나 기술직에 종사할 기회가 적고 단순노무직 위주의 취업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

현 사회는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직업의 종류가 2만여 종을 넘고 있으며 생산 기술의 혁신으로 인해 육체노동이 주를 이루었던 것에서 상당한 부분이 정신노동으 로 전환되고 있다. 1989년 교육부에서 출판한 ‘장애자를 위한 직업 교육과정 모형 연구’ 논문집 중 ‘청각장애자 직업 교육과정 모형’에서 김병하는 다음과 같이 말하 고 있다.

산업사회에서 정보화 시대로 이행해 가면서,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직업의 분포 도 과거에 비해 퍽 달라지고 있다. 가령 전통적으로 농자들이 종사해 온 목공, 제화, 제복, 인쇄 등과 같은 직종은 모두가 자동화되는 경향에 따라 수공업적인 기능은 사 실상 쓸모없게 되었다. 선진국일수록 비숙련노동직은 최근 급격히 줄어 들면서, 특 수하게 전문적 훈련을 받은 사람을 요하는 직종은 아주 빠른 속도로 증가해가고 있 다. 이처럼 학교 바깥에서 일어나는 직업 시장의 변화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에 비 해, 농학생들을 위한 직업교육 프로그램은 예나 지금이나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

가령 미국의 경우 1963년에서 1968년까지 5년동안 직업의 수는 무려 30% 로 증가 하였으나, 농학생들을 위한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요소들은 종전대로 답습되고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그래서 Veron과 Fishler(1979, pp. 233~239)는 미래의 변 화하는 직업시장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농학생들은 기초적 읽기, 쓰기, 수학적 기 능 등에 더욱 능숙해져야 함과 동시에 농자를 위한 직업 교육과정도 직업시장의 변 화추세에 맞추어 부단히 재구성 되지 않으면 안된다고 주장한다.

요즘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기술의 발달로 장애의 예방과 조기발견 및 치료가 과거에 비해 활발해짐에 따라 청각장애아의 발생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 그리고 과학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보청기의 성능에도 많은 향상이 있었을 뿐 아니라 언어 치료, 청각 장애아 부모들의 의식이 많이 개선되고 있어 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 라도 의사소통 및 사회적응 또한 많이 개선되고 있다고 볼 때, 사회의 발달과 직업

(13)

기술의 발달로 직업이 전문화되고 분업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특수학교와 직업전문학교의 직업교육도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

이러한 직업교육 문제를 보안하기 위해 현재의 직업교육의 실태를 알아 보고 그 문제점을 집어 본 뒤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2. 연구 방법 및 범위

본 논문은 주로 문헌조사방법에 따라 연구하였다. 청각장애인들에게 이루어지는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실태를 조사하여 현 사회구조, 즉, 산업구조와 얼마나 연관 성이 있나를 알아보고 그 개선방안을 유추하고자 한 이번 연구의 방법으로 여러 가 지 면접조사나 설문지 조사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미 조사된 설문조사 내용 이나 면접조사등의 내용들이 지금의 실정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여러 자료들 을 조사해 본 결과 알게 되었기에 굳이 다른 조사방법을 쓰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 발표논문, 여러 기관의 연구보고서, 통계자료 등을 토대로 하였다.

2002년 개정된 장애인복지법에 따르면 청각장애를 청력장애와 평형장애로 구 분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청력장애만을 다루었다.

(15)

II. 청각장애인의 이해

2.1. 청각장애인의 일반적인 이해

2.1.1. 청각장애의 구분

귀는 외이(外耳), 중이(中耳), 내이(內耳)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외이는 귀 바퀴와 외이도, 고막으로 이루어지며, 이 귀바퀴와 외이도를 통해 모인 소리는 고막 을 진동시켜 중이에 전달이 되고, 고막을 통해 중이로 전달된 소리는 세 개의 작은 뼈(이소골)를 거쳐 내이의 난원창을 통해 달팽이관(와우)에 존재하는 약 20,000 개 의 세포(유모세포)들을 자극함으로써 소리가 감지되고 분석되어 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된다.

사람은 두 가지 방법으로 소리를 듣게 되는데, 한 가지는 기도청력이라고 하여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방법인 외이, 중이를 통하여 내이로 전달되는 방법이 고, 또 다른 방법은 소리 자체가 머리뼈를 진동하고 이 진동이 이소골이나 내이로 전달되는 골도청력이다.

이런 청력에 관여하는 구조물에 병이 생기게 되면 청력에 장애가 생긴다. 청각 장애는 기본적으로 세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기도청력이 관여되는 부분 중에서 외 이 또는 중이 부분에 장애가 생기는 경우로 전음성 난청이라고 하며, 두 번째는 소 리를 분석하여 뇌로 전달하여 주는 달팽이관 또는 청신경에 장애가 생기는 경우로 감각신경성 난청이라고 하며, 세 번째는 앞의 두 가지가 같이 있는 것으로 혼합성 난청이라고 한다.

(16)

(1) 먼저 전음성 난청은 소리를 증폭시키고 전달하는 부분(외이, 중이)에 장애가 생기는 것이므로 전달이 되지 않은 만큼의 큰소리를 들려주면 잘 들을 수 있 다. 흔한 예로는 귀지가 가득 찬 경우, 중이염으로 중이 내에 물이 차있는 경우들이 있다. 이런 경우들은 이비인후과적인 치료로 해결될 수 있다. 또한 고막에 구멍이 나거나 중이 이소골 들 간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에도 생길 수 있는데 많은 경우에서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2) 감각신경성 난청은 달팽이관(와우)이나 내이에서 뇌로 소리를 전달하는 신경 경로에 장애가 생겨 잘 들을 수 없는 경우로 이 경우는 청력의 회복 가능성 이 떨어지고, 전음성 난청과 달리 크게 말하여도 무슨 말인지 구별을 못하 는 경우가 많다. 심한 두부타박상, 뇌막염, 심한 소음, 약물중독, 내이염 등에 의해 감각신경성 난청이 유발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나이를 먹을수록 내 이의 장애가 초래되는데 이런 노인성 난청도 감각신경성 난청에 해당된다.

(3) 전음성, 감각신경성 두 종류의 난청이 동시에 존재할 때는 혼합성 난청이라 고 한다.

2.1.2. 청각장애의 정의

(1) 일반정의

1

미국 농학교대표자회에서는 청각장애인을 농인과 난청인으로 분류하고 각각을 다 음과 같이 정의 하였다.

- 농인(deaf) : 농인은 보청기를 착용하거나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귀만으로 말을 들어 이해할 수 없을 정도 (일반적으로 70dB ISO 이상)로 청각장애가 있는 사람이다.

1 한국청각장애인복지회편, 청각장애편람, 서울:도서출판 특수교육, 1992, p11-12

(17)

- 난청인(hard -o f-hearing) : 난청인은 보청기를 착용하거나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 서 귀만으로 말을 들어 이해하기가 불가능하지는 않으나 곤란한 정도(일반적으로는 35dB ISO이상)로 청각장애가 있는 사람이다.

(2) 교육적 조치를 위한 정의

- 수준I : 경난청(35~54dB), 이 유목에 속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특수학급이나 특수학교에 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다만 말과 청각의 특수한 보조가 필요하다.

- 수준II : 중난청(55~69dB), 이들은 특수학급이나 특수학교에 배치할 필요가 있으 며 말? 청각 및 언어의 특수한 보조가 필요하다.

- 수준III : 경농(70~80dB), 이들은 특수학급이나 특수학교에 배치되며 수준II와 같은 보조가 필요하다.

- 수준IV : 중농(90dB이상), 수준III과 같은 조치가 필요하다.

(3) 농이된 연령과 관련된 정의

청각장애를 이해하는 데에는 청력 손실정도도 중요시하지만 청력 손실연령도 중 시한다.

- 언어전 농(prelingually deaf, 선천농) : 말을 하고 언어를 이해하는 학습을 하기 이전에 농이 된 사람을 말한다. 즉 태어날 때부터 농이거나 유아기에 청력을 손 실한 사람이다. 농 아동 중 약 95% 가 언어 전 농이다(Commission on the Education of the Deaf, 1988). 언어전 농 아동 10명 중 1명은 농부모(한쪽 또는 양쪽)를 가지고 있다.

- 언어후 농(postlingually deaf, 후천농) : 말을 하고 언어를 이해하는 학습을 한 후 에 농이된 사람을 말한다. 언어후 농 중 많은 사람은 말을 사용하고 구두로 의사

(18)

소통을 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Smith & Luckasson, 1995, p.452).

(4) 장애인 복지법의 정의

‘장애인 복지법’(1999년 2월 8일 개정)은 제 2조에서 장애인의 정의를 “주요 외 부신체기능의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와 정신지체, 정신질환에 의한 장애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불편을 겪는 사람으로 대통령령으 로 정하는 장애의 종류 및 기준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대통령령인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1999년 12월 31일 개정)은 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한 청각장애인의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다.

가. 두 귀의 청력 손실이 각 60데시벨(dB) 이상인 사람

나. 한 귀의 청력 손실이 80데시벨(dB) 이상, 다른 귀의 청력 손실이 40데시벨 (dB) 이상인 사람

다.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명료도가 50퍼센트 이하인 사람 라. 평형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19)

2.1.3. 청력 손실 정도에 따른 청력상태

청력검사를 하여 난청의 정도를 표시하기 위하여 데시벨(dB) 단위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정상인 사람의 청력을 0dB라고 하면 25dB까지는 정상 범위에 속하게 된다. 다음의 표는 청각장애를 정도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표 2-1> 청력 손실 정도에 따른 청력상태 청력손실 정도 장애등급 장애정도

25 dB 이하 정상 없음

26-40 dB 경도 난청 가는 귀가 먹어 속삭이는 소리 못 들음

41-55 dB 중등도 난청 가까운 곳에서 대화 가능하나 먼 곳의 말 소리를 못 들음

56-70 dB 중등고도 난 청

가까운 곳에서도 큰소리를 내해야만 들을 수 있 고 군중 속에서나 강의실에서는 청취 곤란

71-90 dB 고도난청 아주 가까이서 매우 큰소리를 내야 듣고 말의 분 별이 곤란하다.

91 dB 이상 심도난청(농) 언어청취가 불가능하다

주 1) 25이하는 아주 미세한 소리, 25~30 속삭이는, 소리30 - 50dB 1-2m 떨어 진 곳에서 일반적으로 말하는 소리, 50~60 큰소리로 대화 하는 정도의 강도, 75~85 교통소음의 강도2

2 박태희, 발달이 늦은 우리 아이도 잘 할 수 있어요-청각장애아편, 형설출판사, 1998

(20)

2.1. 4. 청각장애 판정기준

3

청각장애는 청력장애와 평형장애로 구분하여 판정한다. 여기서는 청력장애만 살 펴보기로 한다.

<표 2-2> 장애 등급 기준 규정

등급 장애정도

1 급 해당무

2 급 -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90 데시벨 이상인 사람 (두 귀가 완 전히 들리지 아니하는 사람)

3 급

-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80 데시벨 이상인 사람 (귀에 입을 대고 큰소리로 말을 하여도 듣지 못하는 사람)

4 급 1 호

4 급 2 호

-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70 데시벨 이상인 사람 (귀에 대고 말을 하여야 들을 수 있는 사람)

-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최량의 명료도가 50 퍼센트 이하 인 사람

5 급 -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60 데시벨 이상인 사람 (40 센티미터 이상 거리에서 발성된 말소리를 듣지 못하는 사람)

6 급 - 한 귀의 청력손실이 80 데시벨 이상, 다른 귀의 청력 손실 이 40 데시벨 이상인 사람

3 보건복지부고시 제2000-2호, 장애등급판정기준

(21)

<판정요령>

(1) 청력검사를 평균 순음청력 수준치(데시벨)에 의하거나 청력장애표에 기술된 대 화상의 어려운 정도로 판정한다.

- 평균 순음청력 수준치는 청력측정기(오디오미터)로 측정하여 데시벨(dB)로 표시하고 장애등급을 판정하되, 주파수별로 500Hz, 1000Hz, 2000Hz, 3000Hz, 4000Hz, 6000Hz에서 각각 청력검사를 실시, 평균치를 산정한다.

(2) 청력의 감소가 의심되지만 의사소통이 되지 아니하여 청력검사를 시행할 수 없 는 경우(만 3세 이하의 소아 포함)에는 청력유발 전위검사를 시행하여 파형이 나타나지 아니하는 경우 3급에 준용할 수 있다.

(3) 이명이 언어의 구분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청력수준치 검사와 최량 어음 명료도 검사를 같이 실시하여 아래와 같이 등급을 가중할 수 있다. 이명은 객관 적인 측정이 어려우나, 2회 이상의 반복검사에서 이명의 음질과 크기가 서로 상 응할 때 가능하다.

(가) 심한 이명이 있으며, 청력장애 정도가 6급인 경우 5급으로 한다.

(나) 심한 이명이 있으며, 양측의 청력손실이 각각 40~60데시벨인 경우 6급으로 판정한다.

2.1.5. 청각장애의 원인

4

청각장애의 원인은 시기별로 출생 전, 출생 시, 출생 후로 구분할 수 있다. 출 생 전 또는 임신 중 청각장애의 원인은 유전성과 임신 8-12주 사이에 모체의 풍진 이나 모체의 알코올 중독, 영양 실조, 매독, 복부의 타박, 정신적 쇼크, 바이러스 감 염 등이 청각자애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유전성은 청각장애 출현율 (出現率) 의 약

4 안영희, ‘선교적 관점에서 장애인 연구-청각장애인을 중심으로’, p.24-26

(22)

10% 정도이다. 결국 청각장애는 유전성 질환보다는 후천적 원인이 많다고 할 수 있 다. 모체의 풍진은 임신 첫 3개월 간 태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출생 시에는 인공적인 유도 분만 과정의 뇌 손상, 10시간 이상 소모된 출산고 통으로 인한 산소 공급 문제 등이 있다.

출생 후의 청각장애 원인은 고열, 홍역, 외막염, 중이염, 경기나 간질, 신생아 황달, 뇌 손상, 외상성 고막 파열, 내이 질환 그리고 약제나 바이르스 감염에 의한 청각 신경 손상 또는 소음 속에서 장기간 근무하였을 때 오는 소음성 난청이 있다.

특히 고열이 수반 되는 질병은 신생아나 유아의 청력을 손상시킬 수 있어 치명적이 다. 중이염은 유아나 아동에게 가장 흔한 질병 중의 하나이다. 아동의 외이도와 내 이도가 어른들과는 달리 직선으로 되어 있기에 물이 귀로 잘 들어가게 된다. 중이염 에 감염되어 있는 동안 음을 인지하는데 여러 문제점이 야기된다.5

청각장애의 원인을 귀의 구조, 즉, 외이(外耳), 중이(中耳), 내이(內耳)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외이의 경우 귓바퀴나 외이도가 청력에 끼치는 영향은 중이와 내이에 비해 훨 씬 적다. 그러나 약물 치료나 수술을 요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아동의 교육에 장애를 초래할 수도 있다. 외이염은 외이도의 피부가 감염된 것이다. ‘드문 일이지만 외이도 가 없거나 미발달된 상태로 태어나는 아이도 있다. 이것을 청각 폐색(閉塞)이라고 하는데 청각 폐색은 소리의 공기전달을 방해한다. 여러 원인에 의한 고막 천공(穿 孔)도 청각장애의 원인이 된다.’6

귀지나 이물들이 외청도를 막았을 때에도 청각장애가 올 수는 있으나 외이는 단순히 음을 전달하는 역할만 하므로 장애가 있어도 아주 경미하여 보통회화를 하 는 데는 큰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단지 문제가 되는 경우는 선천성 기형으로서 이

5 특수 아동의 이해와 지도, P.183-184

6 특수 유아 교육, p.219

(23)

때에는 대부분 중이의 기형까지 있어 심한 경우 사회생활이나 학교교육을 받는데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수가 있다.

중이에서 장애가 나타나는 이유로는 ‘급성 중이염, 삼출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 외상성 고막파열의 경우가 있는데 외상성 고막 파열은 외상으로 인해 고막이 파열 되는 경우로 일상 생활에 큰 지장을 주지는 않는다. 중이에 발생한 문제는 대부분 수술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외이에 비하면 그 영향이 더 심하다.

내이의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은 여러 가지인데 유전성, 선천성, 이 질환 성, 정신 질환성, 약물 중독성, 직업성, 외상성, 노인성 난청 등이 원인이 될 수 있 다.

중추(中樞)의 원인은 뇌 중추의 발육부진이나 손상으로 인해 청각장애가 오는 것으로 특히 청각중추는 상위의 부위로 갈수록 고도의 기능을 가진 다른 작용, 즉 언어, 판단, 기억, 학습 습관 등과 같은 작용을 중추들과 상호의존하고 보완하고 견 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학습지진이나 뇌성마비 또는 정신과 문제 등과 같은 문 제를 동반하는 예가 많다.

(24)

2.2. 청각장애인의 특성

2.2.1. 신체적 발달

청각장애가 신체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운동면에서 내이의 이상으 로 청각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경우 평형감각이 뒤떨어지게 된다.

2.2.2. 지적? 언어적 발달

청각장애아 특히 농으로 분류된 아동의 지적능력에 대한 논쟁은 오랫동안 계속 되어 왔다. 여기에는 전통적으로 두 가지 상반된 관점이 있다. 하나는 사고가 언어 에 의존하므로 청각장애아의 개념화 능력에 결함이 있다는 입장이며(Vygotsky, 1962), 다른 하나는 사고는 언어없이 가능하므로 청각장애아는 단지 언어 관련개념 만 곤란하다고 보는 입장(Furth, 1964, 1971)이다.

Vygotsky(1962) 는 아동의 초기 말은 내어(inner speech)로서 내재화되고 이 내어는 언어적 사고와 대응되는 것이라고 했다. 이 입장에 따르면 인간의 지적성숙 은 언어 발달과 병행하므로 청각장애아는 인지능력에 장애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반 면에 Furth(1964, 1971) 는 언어 없이 사고가 가능하다고 보고 농아동의 지적발달이 정상아에 비해 지체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는 농아동의 인지능력이 언어 경험에 의존하는 개념을 제외하고는 손상되어 있지 않으며 언어에 의존한 개념은 농아인의 전반적인 인지발달을 지체되게 할 정도로 높지 않다고 아였다. 이러한 인식으로 개 념화의 능력부족은 빈약한 언어능력에 있는 것이 아니라 청각장애아와 주위 사람들 과의 부적절한 의사소통에 있다고 보는 견해가 나오게 되었다.(Liben, 1978)7

7 임재희, ‘청각장애특수학교 직업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 학교 재활과학대학원, 1998 -재인용

(25)

Vernon(1969)8는 난청인과 건청인의 지능은 본질적으로 유사한 분포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질적으로 청능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의 비언어적인 검사에서는 거 의 동등한 지능지수를 나타내지만 청각장애아동의 학업성취도는 건청아동보다 뒤떨 어지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또한 말이란 청능장애아동에게는 제2언어이고, 이러한 2언어로 언어지능검사를 실시하면 불리한 입자에 처할 뿐 아니라 그들의 실력을 충 분히 발휘할 수 없다(Charrow, 1976).

건청인과 선천성난청인의 지능구조와 성질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Bolton, 1978). 대부분의 청능장애아동이 경험하는 언어발달지체는 상징적 사고발달과 언어 적 경험과 학습에 의한 지능발달을 저해한다. 반면에 청능장애 아동은 시지각적 사 고에 의해 사고능력을 조직화하고 추상적 사고를 발달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난청인과 건청인의 지능의 차이는 말할 수 없 지만 다르다고 할 수 있겠다. 9건청인과 다른 청능장애아동의 사고구조와 지능을 고 려할 때 청능장애아동의 “정상적인 발달”을 취해서 건청인과 다른 독특한 교육적 경함이 필요하다.

말과 언어는 청각장애아동의 성장과정 중에서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발달영역 이다. 그런데 그 영향은 ‘청력 손실의 정도, 잔존 청력에 대한 훈련과 사용정도, 장 애 발생 연령, 장애의 원인, 가정의 분위기, 초기에 사용한 의사소통양식, 교육환경 등의 요인에 따라 다르다.’10

언어 습득 시기 이전에 청력손실을 입은 경우는 이후에 입은 손실자보다 더욱 심한 지체를 보이고 언어 습득 이후 청력손실자라 하더라도 손실의 정도가 심하면 습득된 말을 보전하기 위한 특수한 훈련을 해주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습득한 언

8 김진숙, ‘청능장애아동의 청각적 특성’, 2002년 언어 청능장애 겨울연수회

9 김진숙, 상게서

10 특수 유아 교육, p.228

(26)

어마저 변형하거나 퇴화한다. 그리고, 청각장애로 인한 언어발달 지체는 내적 언어 (inner language)의 발달 지체도 초래하게 된다고 지적하였다(Meadow, 1980)11.

대부분의 청각장애 아동들은 언어발달에 몸짓, 웃음, 지시 또는 칭얼거림 등으 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기 시작한다. 이것을 발성전 행동이라 하는데 청각장애 아 동의 발성전 행동은 건청아동과 비슷하게 발전한다.12 하지만 청각장애 아동은 이 러한 행동들이 언어로 발전하지 못하고 더욱 구체적이 된다.

청각장애인은 실청 시기가 빠를수록, 청력 손실의 정도가 심할수록 언어능력은 의사 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을 만큼 낮다. 난청아동 중에는 조기에 언어지도를 시작 하여 청각을 통한 구어의 발달이 가능하게 되면 거의 정상에 가까운 언어발달을 보 이기도 하지만, 청각 수용에 의한 언어 발달이 가능하더라도 특수교육을 받아야 할 정도의 청각장애 아동이면, 보통 3-4년의 언어 발달 지체를 보인다.그러므로 대부 분은 말이 느리게 되고 음성은 그들만의 특징을 나타낸다. ‘청각장애인 대부분이 사 용하는 문장은 짧으며 어휘 수가 부족하고, 구조상의 잘못이 많으며, 접속사나 부사 나 조사를 원만하게 사용하지 못한다.’13

2.2.3. 인성적 발달

14

일반아동에 있어서 사회성과 인성의 발달은 주로 의사소통에 의존한다. 정의에 의하면 사회적 상호작용은 두 사람 이상 사이에 관념의 의사소통이다. 이 때문에 청 각장애아의 인성적 사회적 성격이 일반아동과 다르다고 하였다(Coonneil, 1973, Meadow, 1975, Myklebust, 1964).

11 구본권 외, 1991: p.110-111에서 재인용

12 특수 아동의 이해와 지도, p.188

13 김화태, ‘청각장애자를 위한 부산 경남 교외의 교육과 복지 현황’,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 교 대학원 기독교 교육학과, 1989, p.10-11

14 임재희, 전게문, p.7

(27)

청각장애인은 출생 후 3세까지는 정상아동과 동일한 인성적 특성을 나타내나 3-4세 경이 되어 다른 아동과의 사회생활활동을 시작하면서 인성적 문제가 제기된 다.

Cull과 Hurdy(1974) 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청각장애에 대한 자신의 태도, 청각 장애에 대한 타인의 관심 등이 인성적 적응과 정서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 데 청력의 손실 정도보다 시기가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선천적으로 혹은 출생 후 언어 형성기 이전의 청각장애를 수반한 청각장애인에 비해 언어습득 이후에 청각장애인이 된 중도 청각장애인은 커뮤니게이션 능력면에 있어서 현저한 이점을 가지게 되므로 동시에 인성적 적응면에 있어서 훨씬 적은 문제를 가진다(김 학영, 1995).

청각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은 체험영역의 한계성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감정이입 이 늦고 융통성이 결여되어 성격의 경직성을 유발하게 되고 자기중심적이고 고집과 아집이 강하게 나타난다. 또한 환경에 대하여 과잉 활동적인 반응과 성급하고 충동 적인 성격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Meadow, 1980; O’Brien, 1987).

이러한 성격은 청각장애 자체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청각장애로 인한 농아동과 그를 둘러싸고 있는 부모, 형제, 교우들간의 인간관계의 문제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 다고 볼 수 있다. 즉 청각장애로 인해 그를 둘러싼 정상인들과 바른 인간관계가 이 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이규식, 석동일, 1984). 대부분의 청각장애인들은 자신의 욕구와 의사를 분명하게 전달하기 어렵고 주위 사람들과의 의사소통도 원활하지 못 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가 적어지고 그로 인해 심한 불안과 좌절을 경험하게 된다.

반면에 대부분의 청각장애 학생들은 정상 학생들에 비해 더 적극적으로 자기를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이들이 비록 언어적으로 결함을 가지고 있지만 상

(28)

대적으로 자아상이 높고 문화적인 제약을 덜 받기 때문에 나타나는 심리적 특징으 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듣지 못하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으므로 인한 고독과 정숙은 청각장애인에게 요구불만과 심리적 불안을 수반하게 한다. 심리적 불 안이 생긴 원인은 다른 면도 있다. 장애아를 가진 부모는 처음 대개 예외 없이 심리 적 불안이 생기게 된다. 그런 상태에서 자녀들에게 접촉하게 됨으로써 자녀들도 심 리적으로 불안을 느끼게 된다.

난청아동의 인격적 특징은 농아동과 차이가 있는데 난청아의 세계의 반은 정상 아동의 세계에, 반은 농아의 세계에 있어 주변인적인 성격 특성을 가진다. 의사소통 은 잘 되지만 농아보다 우월하다는 이질화의 원리가 작용하기 쉬워 감정이 불안정 해지고 고독해지며 때로는 공격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대인관계에서도 동시에 다수 인들과 의사소통하기 힘들고 집단토의가 어려우며 대인관계의 대상도 한 사람에게 한정되는 수가 많다15.

농학생과 일반학생의 사회 및 정서적 적응을 비교한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Farrugia, Austin, 1980; Meadow, 1972; Meadow, 1984) 청각장애 자체가 정신건 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청각장애인 중에 정신적인 건강을 유지, 발전 시키지 못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의사소통이 잘 안되거나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환경(가정, 학교, 사회)에서 살고 있거나 다른 장애를 중복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이 라고 해야 할 것이다.

2.2.4. 청각장애인의 학업성취도

대부분의 교육 시스템은 학습의 매개 수단으로 구어와 문어를 사용한다. 그 결 과로 청각장애인은 학습 과정에 명백한 장애를 가진다. 청각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15 김중대, 장애자복지론, p.54

(29)

에 관한 연구들을 보면 그들의 성취수준은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읽기와 듣기 능력은 언어 기능에 가장 많이 의존하고 학업 성취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서 청각장애의 영향을 극히 많이 받는다. 그리고 청각장애인은 일반인 보다 짧고, 구체적인 어휘를 가진다. 또 문법적 구조가 혼란되고 복수, 시제, 관사, 조사 등을 생략하거나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청각장애인의 말하기는 불명료하 고 타이밍과 리듬이 빈약하다. 즉 음절을 연장하거나 필요이상으로 쉼을 삽입하거나 음의 고조가 이상하거나 내용이 불충분한 말을 하는 경향이다. 그 외에도 비성을 사 용한다든지 음을 대치하는 경향도 있다(이규식, 1993, p.136).

청각장애학생의 교과학력에 관한 임동규(1991) 의 연구에서 국어, 사회, 산수, 자연 등 4개 과목에서 청각장애 학생군의 성적이 일반학생의 성적보다 유의미하게 낮으며 고학년으로 올라 갈수록 각 교과에서 청각장애 학생군의 성적과 일반학생의 성적간에 차이가 더 크게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16

권요한(1987)은 7-14세 청각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간의 학업성취도 비교검사 결과, 국어의 어휘력, 계산력, 응용력 등 전 영역에 걸쳐 7-8세, 9-10세, 12 -14세 공히 일반학생에 비해 심한 지체현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산수교과 (12-14세의 경우 3년 정도 지체)와 비교할 때, 국어교과(12-14세의 경우 5년 정도 지체)에서 보다 심화되었다고 보고했다.

이규식, 석동일(1984)의 연구에서 ‘농학생의 학습능력은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에 있어서 일반학생과 명확한 차이를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 최근 여러 연구 결과에서 입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 교육장면에 있어 농학생은 일반 학생에 비해 여전히 현저한 교육적 치체현상을 보이고 있다. 농학생의 학습능력 지

16 한국청각장애인 복지회, 청각장애편람, 1991

(30)

체현상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욱 커지고 있으며 특히 읽기능력, 작문능력 등에 있 어서는 더욱 심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농학생들의 학력에 대한 인식은 중고등학 생의 대다수가 일반학생들에 비해 열등하다고 느끼고 있는데 그 이유는 커뮤니케이 션의 장애와 기초학력의 부족 빛 학습자료의 부족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이렇듯 청각장애 학생들은 지적? 심리적인 면에서 일반학생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청각장애의 영향으로 학력에 지체를 보이고 있으며, 그 격차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점 커진다. 이것은 청각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그들의 언어 적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31)

2.3. 청각장애와 직업적 특성

직업의 선택은 개인의 조건에 알맞게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직업을 선택하기 이전에 각종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기초해서 선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리하여 청각장애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직종의 선택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2.3.1. 신체조건과 직업적 특성

신체적 조건은 체격, 체질, 체능, 건강이다. 이들 조건은 개인차에 따라 다르므 로 진로선택에 있어서 이와 같은 제반 여건을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청각장애인은 청각의 장애를 수반하므로 재해의 위험이 많은 직업이나 청각을 사용할 일이 많은 직업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음악가, 악기 조율사, 시계 수선공, 통신사, 안내계, 전화 교환수, 판매계, 교원, 간호원, 의사 등의 직업은 청각장애인이 종사하기는 힘들다.

경제기획원에서 발간한 “한국표준적직업분류”에 있는 직종 중 농학교교사들이 말하는 농인의 적성 직업은 221종이며, 난청인의 적성직업은 224종이다. 농인의 적 성직업이라 한 것은 모두 구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그 대다수는 기능을 요하는 직업이다. 난청인의 적성직업이라 한 것에 어느 정도의 구화력이 요구되는 직종이 더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17.(김승국, 이해명, 1982). 그 러므로 청각장애인의 직업대부분은 기능적이고 전문적이나 고급직종에 취업한다는 것은 극히 좁은 문을 통과하는 어려운 과제임에 틀림없다.

17 김승국, 이해명, 장애자 직업교육의 개선방안(유네스코 한국위원회, 1982) 장애자의 직업재 활, p.1-88

(32)

다음<표2-3>은 청력에 의한 가능직업을 소개한 것이다18

<표 2-3> 청력에 의한 가능직업 일람표

청력도 가능 직업의 예

보 통 청력자의 직 업

공무원, 교원, 승려, 차장, 상점원, 타자수, 급사, 요리인, 우편국원 여관고용인, 운전수, 전기기사, 운반인, 전기사, 소방관, 경찰관, 염 수, 제통직, 단조공, 목수, 기계공, 속기사, 출납계, 간호원, 보조부 조산원 등

경도 및 중 도 난청자의 직 업

건축기사, 측량사, 치과의, 서기, 수차원, 석공, 범포・모포제조, 공모 자제조공, 마구공, 주물공, 로구로공, 제통공, 벽돌제조공, 도자기 공, 기와직, 피혁공, 비누제조공, 빵제조공, 기구제조, 병담는 직공, 가축사육, 피혁상, 향료상, 지상, 창고제직, 조리부, 방직공, 의상착 부공, 직물공, 하녀, 미용사 등

고 도 난청자의 직 업

조각공, 화공, 부기사, 원정, 통계계, 대리석세공직, 제혁공, 보석연 마공, 농부, 재봉사, 지기공, 제판공, 동판조각공, 침공, 활자, 주조 공, 식자공, 상아조각공, 침금세공공, 부채제조공, 화구공, 바구니편 공, 모형제작공, 샤쓰제조공, 조화공, 완구제조공, 끈제조공, 양산제 조공, 고무직공, 편물직, 체제조공, 제통직, 도료공, 염색공, 귀금속 공, 제본공, 제유공, 우유가공업, 양잠 양조공, 정굴직, 재봉교사, 자수교사, 미술서예품제작, 재봉공, 세탁부, 청소부 등

농아자의 직 업

활자주조공, 제판공, 재봉공, 바구니세공공, 제본공, 양계업, 목공, 화공 등

고도난청자로 열등시력자의 직 업

급수부, 화초재배, Brush제조공, 혈굴부 등

18 김충기, 직업교육과 진로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 1987 p.62

(33)

2.3.2. 의사소통 능력과 직업적 특성

청각장애아들의 말의 명료도는 대체적으로 빈약하다. 그리고, 그들 목소리의 질 은 뒤틀리고, 억양패턴이 매우 다른 고저를 가지며, 음의 강약조절이 정상아에 비해 서 열악하다(원영조 외, 1990, p.187). Fusfeld는 농 성인의 4% 만이 말을 듣고 하는 데 효율적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들은 1 2개월된 정상유아가 아무런 훈련이나 교 육 없이 습득한 기능만큼 기능하기 위해서는 1 2 개월 간의 특별한 교육훈련이 필요 하다(석동일, 1993).

결론적으로, 청각장애인은 성인이 될 때까지도 구화의 양상, 음, 의미를 마스터 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이 수화에 의한 의사소통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 다. 그러나, 사회의 대부분의 직종은 언어능력을 요구하고 있어 업무적인면 뿐만 아 니라 비업무적인 면에서도 대화하는 것에 상당한 제약을 받고 어려움이 있을 수 밖 에 없다. 이를테면 인문계 전문직, 공안직, 사무직, 봉사 및 판매직 등은 특히 언어 능력을 많이 요구하는 직종이다. 이런 유형의 구체적인 직업의 예를 들어 보면, 판 사, 검사, 논설위원, 아나운서, 사법서사, 서기, 편집인, 기자, 번역가, 경찰관, 소방 관, 사무원, 상담가, 판매원, 교원, 성악가 등의 직종으로 직업적성에는 부적당하다 하겠다. 청각장애인들은 이와 같은 의사 소통의 어려움으로 직업 선택에 많은 어려 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직업훈련이나 취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말해주는 일 뿐만 아니라 청각장애인의 주된 적성직업은 기능직이며, 청각장애인이 보청기나 인 공와우를 사용하고 구화교육을 받아 말을 하게 되면 구어를 요하는 직업에도 취업 을 할 수 있게 되고, 그들이 받는 직업교육의 질에 변화가 생기면 취업하게 되는 직 종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음을 시사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19.

19 문경년, 청각장애 특수학교 고등부 학생의 진로지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

(34)

2.3.3. 인성과 직업적 특성

인성에는 개인의 가치관, 욕구, 자아개념, 열망수준, 대인관계 등의 제반 특성 등이 속한다. 이러한 특성 역시 직업의 선택과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에릭슨(Erikson)의 생의 여덟 단계 이론에 입각한 청각장애의 영향은 발달이론 에서 가장 중요한 “기본적 신뢰감” 형성이 곤란해서 이로 인해 자율성, 주도성, 근 면성, 정체감, 친밀감, 생산성, 그리고 자아통정(ego integrity) 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김병하 외, 1990, p.144).

그리고, 청각장애인의 사회성 발달, 사회적 인간관계, 자아개념 등에 대한 연구 (Meadow, 1972)에서 청각장애아는 일반 아동에 비해 덜 성숙해 있다는 것을 지적 하고 있다. 대부분의 청각장애아는 언어 습득이 크게 지체됨으로써 그를 둘러싼 사 람들과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접촉기회가 아주 제한한다. 아울러, 그들의 요구와 가능성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기 때문에 자연히 사회적 상호작용이 극히 한정되게 한다.

청각장애아와 일반아동 간의 자아개념 혹은 자아상을 비교한 연구들도 청각장 애아는 그들 자신에 대해 상당히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강 세윤, 1984) . Meadow(1972) 는 청각장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가 정의 분위기, 학업성취 수준, 커뮤니케이션 수행능력 등을 지적하고 있다.

한편, 선행연구들은 청각장애아는 일반인에 비해 많은 부적응의 문제, 이를테면 고집성, 자기중심성, 내적통제의 결핍 혹은 충동성 등을 들고 있다. 인성유형을 활동성, 사려성, 사회성, 안정성, 지배성, 예술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20, 위에서 논의된 청각장애아의 인성과 비교해 보면, 활동성직업(노동, 기계조작, 농부, 트럭운 전사)은 별 다른 문제가 없지만, 사려성직업(물리학자, 인류학자, 화학자, 수학자, 생

교 교육대학원, 1997

20 김층기, 상게서, 1987, p.60

(35)

물학자 등), 사회성 직업(임상 심리학자, 상담가, 외교관, 교사, 목사 등), 안전성 직 업(출납원, 통계학자, 부기 행정, 서기 등), 지배성 직업(판매원, 경매인, 정치가, 사 회사업가 등), 예술성 직업(시인, 소설가, 음악가, 극작가, 작곡가, 연출가 등)의 직 종은 그 역할 수 행에 다 소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 지적된다(석동일, 1993).

(36)

III. 청각장애인의 직업교육 및 직업훈련 현황과 문제점

청각장애인들의 직업교육은 주로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일산직업전문학교(1991) , 운보원(1985), 전국맹・농아기술교육센터, 일부 재활원 등에서 실시되고 있다. 청각장 애인에게 이루어지는 직업교육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이들 전국의 특수학교와 직업훈련 실시기관에 대하여 직업교육실태, 직업훈련과목, 취업직종과의 연관성정도, 기타 직업훈련 현황을 조사하였다.

청각장애 아동의 수는, 1975년 미국 교육국의 보고21에 의하면 학력 아동의 0.575% 가 청각장애이며 그중 0.5% 는 난청아동이고 0.075% 는 농아동으로 나타났 다. NCDP(the National Ceusus of the Deaf Population) 의 보고에 의하면 미국에서 19세 이전에 발생한 농아의 출현율을 약 2%로 보았으며 취학 아동의 약 1.5% 가 청각장애를 위한 프로그램에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김승국(1973) 은 서울시내 10,010가구의 가구원 중 0세부터 19세까지의 25,85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서 27dB 이상 되는 청각장애 아동 이 0.3%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 91dB 이상은 0.08% 로 나타났다고 하 였다.

경북도내 국민학교 아동과 고등학교 학생 110,387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청력 손실 27dB 이상인 경우가 0.5% 로 나타났다(이규식, 1993, p.127).

NCDP(the National Ceusus of the Deaf Population) 의 직업전 노동력에 관한 조 사 결과 청각장애인(deaf) 은 정상인과 같은 노동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 교육부, 특수학교 교육과정 운영자료 15, ‘특수학교 직업지도의 이론과 실제’, 1993 p.15- 16

(37)

즉, 일반 남자 성인의 약 83%, 여성의 44% 가 노동력을 갖고 있는 데 비해 NCDP 의 농남성은 약 83%, 농여성은 49% 가 노동력을 갖고 있었다(Schein, 1976).

일반적으로 농고용인들은 ① 개인별 수입에서 농인들의 평균 임금이 일반인의 평균 임금의 16% 이하로 떨어졌고, ② 여성 농인은 남성 농인보다도 훨씬 낮았다.

특히 농여성은 일반 여성보다 미취업율이 훨씬 높았다. ③ 경제면에서 농인은 생활 에 필요한 장치(appliances)를 구입하기 위한 부수적인 지출 비용이 많고 전화 사용 이 어렵기 때문에 추가 이동이 있고 시장에서 물건 구입시 자유로운 매매 구입이 곤란하기 때문에 농인에게 부담이 컸다.

고등학교 수준에서 청각 장애아의 직업교육 과정은 정상아동들을 위해 계획된 내용과 같으며 청각 손상에서 오는 재능과 지능면에서의 개인차는 정상아동에게서 도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건청인들의 직업교육 및 취업과정은 초・중・고(인문, 실업)・대학을 졸업하고 전형을 거치거나 학교나 개인의 취업정보습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청 각장애인들은 초・중・고 과정을 거쳐 주로 지도교사의 취업알선에 의해 취업을 하며 소수가 직업전문학교와 대학에 진학하는 실정이다. 청각장애인들의 주된 직업교육기 관인 특수학교의 직업교육은 개설된 종목이 적어 선택의 폭이 좁고 시설이 현실과 맞지 않거나 낙후되어 있고, 운영을 위한 재정과 전문지도교사의 확보가 어려워 바 람직한 직업교육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전문직종으로의 취업은 전문 대학을 포함한 대학의 진학으로 이루어진다. 오랫동안 극소수의 청각장애인을 제외 하면 대학의 문은 극히 좁고, 높은 문이었다. 최근 들어서 여러 대학들이 장애인의 특례 입학을 배려하면서 대학진학의 문은 다소 열렸으나, 수강을 비롯한 학교생활적 응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권병현(1999)에 의하면 1995학년도부터 시작된 특례입학은 98년 현재 44개

(38)

대학에 1천163명이 재학하고 있고 이 중 청각장애 학생은 약 22% 인 256명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시각의 의존도가 높은 미술대학의 회화 및 공예디자인(33.3%)과 호텔 조리과가 17.8% 로서 반 수 이상을 차지하고 나머지는 특수교육, 정보통신, 재 활공학, 문헌정보 등이다.

이들의 학교생활은 개인차는 있지만, 적응에 큰 어려움을 겪으며 가장 중요한 강의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약 40% 로서 일부 대학에서 실시하는 수화통역 사의 전면 배치가 절실하다. 이들은 학업에서 소외되고, 장래진로문제, 대인관계 등 의 문제로 크게 고민하고 있다. 따라서, 수화통역의 서비스 제공은 물론 장애인전담 상담원(실)을 배치하여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정책의 수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 다.

3.1. 청각장애 특수학교의 직업교육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은 장애 영역과 장애 정도에 따라 차이가 난다. 청각장애학 교 교육과정은 크게 교과활동, 요육활동, 특별활동으로 나누어지고 그 외에 학교재 량시간이 있다. 고등부는 실업・가정과 직업과목인 전문교과는 목공예, 도자기 공예, 상업미술, 인쇄, 자수・편물, 한재・양재, 원예, 축산, 전산 등 9개가 설정되어 있다. 각 교과의 목표는 교과영역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게 하고 관련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기르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원예의 경우 원예작물의 특성과 재배 활동을 이해하게 하고 재배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하여 주요 원예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목표가 있다. 청각장애학교 고등부 교육과정 기준 은 직업과정을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으므로 학생의 희망, 학교에 따라 인문・사회 과

(39)

정, 자연과정, 기타 실업계 과정의 교육이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의 고등학교 교육과 정을 준하도록 융통성을 부여하고 있다22.

특수교육 대상자를 살펴보면 특수학교 교육대상은 ‘① 두 귀의 청력 손실이 9 0 데 시벨 이상인 자, ② 두 귀의 청력 손실이 9 0데시벨 미만 5 0데시벨 이상인 경우 보 청기를 보청기를 착용하여도 음성언어에 의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자

③ 일상적인 언어생활과정에서 청각의 기능적 활용이 불가능하여 일반인과 함께 교 육받기가 곤란한 자’이고 특수학급 교육대상은 두 귀의 청력손실이 50데시벨 미만 이라 할지라도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자로 규정되어 있다.23

3.1.1. 전국의 청각장애 특수학교

전국에 있는 농학교는 21개교가 있으며의 설립형태를 살펴보면 15개교 (71.43%)가 사립학교이고 5개교는 공립, 서울선희학교만이 국립이다.

<표 3-1> 전국 농학교의 설립형태24

설립형태 해당학교

국립 서울선희학교 ( 1개교, 4.76%)

공립 경남전광학교, 부산배화학교, 전주선화학교, 제주영지학교, 춘천계성 학교, ( 5개교, 23.81%)

사립 광주인화학교, 구미혜당학교, 대구영화학교, 대전원명학교, 메아리하 교, 목포소림학교, 부산혜원학교, 서울삼성학교, 서울애화학교, 수원서 광학교, 안동진명학교, 에바다학교, 인천성동학교, 충주성심학교, 한국 구화학교 ( 1 5 개교, 71.43%)

22 박희찬,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9

23 특수교육진흥법 제10조 4항에 의한 시행령 제9조 2항 별표, 1998.7.16 개정

24 임재희, 전게문, 1998

(40)

이들 학교 중 부산혜원학교는 청각장애특수학교에서 정신지체특수학교로 전환 하였고, 제주영지학교는 5개영역 특수학교이다. 또 이 표에는 없는 부산구화학교는 유치, 초등, 중등까지 교육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설립연대를 살펴보면 <표 3-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국의 21개 청각장애 특 수학교 중 90% 이상이 1951년 이후에 설립되었다. 전국에 최초로 설립되었던 학교 는 서울선희학교로 1931년 4월에 설립되었고 두 번째로 설립되었던 학교는 대구의 영화학교로 1946년에 설립되었다.

서울선희학교는 처음에는 서울맹학교로 출발하여 1959년 4월1일 맹아와 청각 장애아를 불리하여 교육을 했으며 2002년 2월28일 서울농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표 3-2> 전국농학교의 설립연대25

설립연대 해당학교 비고

1950년 이전 서울선희학교, 대구영화학교 2개교(9.52%)

1950년대 광주인화학교, 대구원명학교, 목포소림학교, 부산배 화학교, 인천성동하교, 제주영지학교, 충주성심학교

7개교(33.33%)

1960년대 수원서광학교, 안동진명학교, 한국구화학교 3개교(14.28%)

1970년대 부산혜원학교, 서울애화학교, 춘천계성학교 3개교(14.28%)

1981년이후 경남천광학교, 구미혜당학교, 메아리학교, 서울삼성 학교, 에바다학교, 전주선화학교

6개교(28.75%)

25 임재희, 전게문, 1998

(41)

3.1.2. 청각장애 특수학교 직업교육 과정

특수 학교 교육 과정에 장애별 특성에 따른 직업 교과 교육 과정에 별도로 도 입된 것은 1983년 말(문교부 고시 제83-13호)에 고시된 교육 과정부터이다. 당시 에 장애 영역 중심으로 개설된 직업 교과목은 1989년 말(문교부 고시 제89-10호)

26에 개정 고시된 특수학교 교육과정에서 부분적으로 개정되었으며, 1998년 6월 30 일 고시(교육부 고시 제1998-11호)된 특수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장애영역별 구분없 이 공통으로 직업 교과목을 설정하고 있다.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개정변화에 따른 특수 학교 고등부 직업 교과목의 변천을 정리하면 다음 <표 3-3>에서 보는 것과 같다.

아래에서 보는 것처럼, 특수 학교 교육 과정의 개정 과정에서 고등부의 직업 교 과목이 시대의 변화에 따라 부분적으로 과목의 첨삭이 이루어져 왔으며, 특히 1998 년에 개정 고시된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직업 교과 교육 과정도 앞서 살 펴본 치료 교육 활동 교육 과정과 마찬가지로 장애영역에 관계없이 특수학교의 특 성에 따라 융통성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열어 놓고 있다. 다만, 과목의 특성상 ‘이 료’과목만은 시각 장애 학교에서만 개설할 수 있도록 단서를 달아 놓고 있다.

특수 학교 고등부 과정에서 직업교과 교육과정을 따로 설정하고 있는 것은 장 애 학생들에게 고등부 과정은 사실상 학교교육의 마지막 단계가 되므로, 일반 학생 들에 비해 직업교육이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장애 학생들의 직업 재 활을 위해 제7차 특수 학교 교육 과정에서는 특수 학교 고등부 2~3학년 선택과정 에서 당해 학교의 특성화, 지역사회의 여건에 따라 공예, 포장ㆍ조립ㆍ운반, 농업, 전자 조립, 제과ㆍ제빵, 정보처리, 상업 디자인, 이료, 기타 과목에 걸쳐 융통성있게 선택하여 개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6 교육부, 특수학교 교육과정 해설서(제1권, 총론), 1993, p.124-125

참조

관련 문서

The construction of Electric motor propulsion system are presumed arrangement of boat and compared The engine fuel of cost with battery charge of cost .The Model

To promote green jobs through the expansion of green industry, chapter 2(II) examines the concept, objective, promotion field, and scope of green industry; the cre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eck whether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of the Taekwondo director directly affects the job satisfaction of the instructors, who

As we entered the fourth industrial era, we realized the unity of information and space. From industrialization to the information age, the rapid

Currently The solutions of blue-green algae control are spraying Loess, using of algal fence, dissolving the copper sulfate and spraying it onto the

The data are corrected for temperature error due to solar radiation and the effect of low temperature on the anerod capsule and curvature of the surface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tuation of online classe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to find out the actual situ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youth class unemployment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tandpoint of age, the unemployment rate of youth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those of 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