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기술의 발달로 장애의 예방과 조기발견 및 치료가 과 거에 비해 활발해짐에 따라 청각장애아의 발생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 그리고 과학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보청기의 성능에도 많은 향상이 있었을 뿐 아니라 언어 치료, 청각 장애아 부모들의 의식이 많이 개선되고 있어 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 라도 의사소통 및 사회적응 또한 많이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청각장애인의 직업교육은 제자리 걸음을 걷고 있다. 이제 청각장애인에 게 이루어지고 있는 직업교육은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 현재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 하여 개선방안을 찾되 근시안적인 방안이 되지 않도록 사회의 변화와 함께 청각장 애인의 재활변화도 고려하여 중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 얻어진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계적인 직업교육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정확한 실태파 악을 위한 등록이 실시되어야 한다. 장애인 등록제도를 개선하여 좀 더 쉽게 등록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겠다.

둘째, 산업구조는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지만 이에 따른 직업교육 직종은 큰 변 화 없이 계속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청각장애인이 일반인보다 유리한 직종을 개발하 는 한편, 사회변화를 예측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직업교육 직종을 개선하고 후기 산업사회의 필수조건인 자격증 취득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전국의 각 학교가 많은 직업교육과목을 설치 운영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으므로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기본적인 교과를 운영하고 직업훈련원과 기타 기관과 연계하여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화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 부족한 훈련교사를 충원하고 청각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을 더 많이 확보하여야

한다.

넷째, 학교와 직업훈련원내의 전문적인 교육의 어려움은 산학협동으로 풀어 가 야 할 것이다. 풍부한 인적자원을 가지고 있는 지역사회 산업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현재 1 0 월 이후에 이루어지는 현장실습 기간을 좀 더 앞당겨 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 맞는 직종개발 또한 필요하다 하겠다.

다섯째, 진로지도를 개선하여 앞으로 경제인구가 될 청각장애아동에게 유치원부 터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청각장애아 부모에 대한 교육에도 좀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문제가 되고 있는 동료간의 부적응 과 이직의 예방에 대한 근본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현재 고등학교 교육으로 끝나는 교육을 심도있는 직업교육과 고등교육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겠다.

여섯째, 현재 창각장애인의 취업은 아는 인맥을 통하여 이루어져 체계성이 없다 고 할 수 있다.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을 활성화하여 체계적인 수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고 기업체의 꾸준한 지도, 감독으로 장애인고용율 2%가 달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청각장애인의 직업교육의 개선은 어느 한 개인이나 몇몇 단체 또는 기관의 힘으로는 실현이 불가능한 일이므로 국가에서부터 시작하여 실제 일선에 있는 교사 및 전문요원, 기업체와 일반인의 이해와 협조, 그리고 청각 장애인 자신들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1) 강윤주, 청각장애학생의 직업흥미와 관련 직종 탐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9.

2) 김경진, 청각장애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3) 김화태, 청각장애자를 위한 부산 경남 교외의 교육과 복지 현황,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대학원 기독교 교육학과, 1989.

4) 류창규, 한국 산업구조변화의 패턴과 그 요인,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5) 문경년, 청각장애 특수학교 고등부 학생의 진로지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6) 신명호, 우리나라 청각장애인의 직업재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 교 행정대학원, 1995.

7) 이상룡, 청각장애인의 취업적응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 석사학위논문,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 학과, 1997.

8) 임선묵, 공업고등학교 전자과 교과목과 현장 직무와의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9) 임재희, 청각장애특수학교 직업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 문,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1998.

10) 최성희, 농학교 중학생의 독해력 실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9.

11) 안영희, 선교적 관점에서 장애인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01

12) 한국장애인 고용촉진공단, 장애인고용동향 2002 1/4분기, 2002.

13) 한국장애인 고용촉진공단, 청각장애인의 고용관리 방안, 1996.

14) 강필수, 장애인 직역확대를 위한 직종개발방안 연구, 한국장애인 고용촉진공단, 1991.

15) 박희찬,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장애인 고용촉진공단, 1999.

16) 이상욱, “청각장애인의 직업영역과 그 확대방안”,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장애 인고용 가을호(통권33호), 1999.

17) 이종길, 장애인 직업훈련의 현황과 과제,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장애인고용 여름호(통권32호), 1999.

18) 한태림, 장애인 적응훈련 교과과목 및 직종연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2.

19) 이정자. 이종민, 장애인 적합 전문직종에 대한 연구,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2001.

20) 한국청각장애자복지회, 청각장애인 직업재활 세미나, 1992.

21) 한국청각장애자복지회, 청각장애자편람, 1991.

22) 언어? 청능장애 겨울연수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23) 이규식, 석동일, ‘농학교의 교육과정의 개정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연구제11집,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종합연구소, 1984.

24) 청각장애학교 고등부 졸업생 진로조사 결과 보고, 청음회관, 청음 여름호, 2000.

25) 김병하, 청각장애자 직업교육과정 모형, 특수교육연구 제16집, 교육부, 1989.

26) 김병하, 청각장애인 직업교육의 개선 과제, 청각장애인 직업재활 세미나보고서, 1992.

27) 이나미, 윤정원, 특수아동 직업교육 효율화 협의회자, 한국교육개발원, 1991.

28) 한국청각장애자 복지회, 청각장애인 실태보고, 1991.

29) 한국청각장애자 복지회, 청각장애인 직업재활세미나, 1992.

30) 한국특수교육총연합회, 전국 특수 학교 요람, 2000.

31) 통계청, 광공업 통계조사보고서, 각년도.

32) 산업연구원, 산업기술 인력구조의 변화, p.38, 1992.

33) 김선태, 공업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정방향에 관한 조사, 1987.

34) 산업연구원, 산업기술 인력의 수급 원활화 방안, 1992.

35) 김승국, 이해명, 장애자 직업교육의 개선방안, 서울:장애자의 직업재활 ,유네스 코 한국위원회, 1982.

36) 김승국, 김영옥, 황도순, 정인호, 청각장애 아동 교육, 교육과학사, 1998.

37) 김충기, 직업교육과 진로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 1987.

38) 박태희, 발달이 늦은 우리 아이도 잘 할 수 있어요-청각장애아편, 형설출판사, 1998.

39) http://myhome.naver.com/sky751029/ 이해하기.htm

SUMMARY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ocational Education of Hearing Impaired

– on the secondary education-

by Kim, Tae-Eun

Electronics Engineerin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Currently, the number of jobs are exceeding 20,000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compared with conventional job situation, the distribution of jobs are also considerably changing as a result of innovative production techniques. A large part of the physical labor job markets are also replaced by the mental labor works and industrial structure of Korean job markets requires more experienced and highly educated engineering/technical human resources. Even though the current job markets are changing rapidly in this manner, the vocational education system for hearing impaired has never got a slightest improvement yet.

With this motivation, through a survey and investigation of technical literatures on the vocational education of the hearing impaired on the secondary education system in Korea,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procedure;

A) Investigation of the reality of vocational education and job training targeting the hearing impaired.

B) Survey of the relation to the current social and industrial structure.

C) Discussion of problems and issues in vocational education for hearing

impaired in secondary education

D) Suggestion of alternative plans and solutions

According to the revised law of welfare for the disabled, hearing impaired includes both hearing problem and balancing problem. This study covers only those who have hearing problem. In this study, an alternative plan for enhancement is provided as follows;

First, it is recommended that a registration system should be built for the handicapped to figure out real situation. Second, the vocational education system should be greatly improved via analyzing and predicting a change of the society and imple menting the prediction and projection of long term jobs by building up a training system for certified qualification of proper jobs for the hearing impaired. Third, since all the schools for the secondary education can’t afford all the education class nationwide, an interactiv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connecting the normal high-schools for basic training and a job training center for high level training. Fourth, barriers against the professional education in any education center should be removed with the help of industry-institute joint program focusing on the creation of community-adoptable jobs for the hearing impaired. Fifth, systematic carrier development should be applied to the disabled children from earlier stage of the life with more dedication of their parents to them.

Sixth, the role of KEPAD(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should be much more activated than current status.

From this study, the improvement of vocational education for hearing impaired is

never subject to a person or a group. It goes to successive starting from government

through the contribution of all the related organization as well as school teachers,

industry and even non-related people on the track of society. Most of all, I hope the

hearing impaired themselves be positive and affirmative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