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중세대학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1. 중세대학"

Copied!
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중세대학

Ⅵ.The University in the Middle Ages

유럽의 대학

• 중세 대학은 12세기 후반부터 13세기 초에 걸친 시기에 학생 또는 교사조합(길드)로부터 출발

• Universita 는 전체라는 뜻으로 어떤 공통된 목적 을 추구하는 집단에 적용. 수공업자 길드에서도 사용

• 대학의 기원은 기본적으로 교육을 위한 길드

• 학생과 교사의 결합은 국왕의 허락없이 이루어 질 수 있었고 연대기 작가의 주목을 끌만한 일도 아니었기 때문에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볼로냐, 파리, 옥스포드 대학의 설립연대가 확실치 않음

(2)

6. 중세대학

Ⅵ.The University in the Middle Ages

유럽의 대학

• 중세 대학은 12세기 후반부터 13세기 초에 걸친 시기에 학생 또는 교사조합(길드)로부터 출발

• Universita 는 전체라는 뜻으로 어떤 공통된 목적 을 추구하는 집단에 적용. 수공업자 길드에서도 사용

• 대학의 기원은 기본적으로 교육을 위한 길드

• 학생과 교사의 결합은 국왕의 허락없이 이루어 질 수 있었고 연대기 작가의 주목을 끌만한 일도 아니었기 때문에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볼로냐, 파리, 옥스포드 대학의 설립연대가 확실치 않음

(3)

1. 중세대학

Ⅵ.The University in the Middle Ages

유럽의 대학

• 이탈리아의 볼로냐 대학은 법학으로 특성화

• 파리대학의 기원은 노틀담 성당학교이며 교사들이 12세기 교사들이 길드를 형성함으로써 설립

• 파리대학은 중세 신학의 중심지, 1200년 필립 2세로부터 교사와 학 생에게 특권을 부여하는 특허장이 교부됨. 파리대학교는 알베르트 마그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 보나벤투라, 둔스 스코투스, 로저 베이 컨 등 저명한 학자와 사상가들이 배출

• 옥스퍼드대학은 1167년 잉글랜드의 헨리 2세가 대불관계의 악화로 파리에 있는 영국학자들에게 귀국명령을 내림으로써 기틀이 잡힘

• 캠브리지 대학은 옥스퍼드와 파리에서 이주해온 교사들에 의해 설 립

(4)

1. 중세대학

Ⅵ.The University in the Middle Ages

유럽의 대학

• 대학에서의 기본적인 교과과정은 문법, 수사, 논 리(3교과;trivium)와 산수, 기하, 천문, 음악(4교 과;quadrivium )가 이른바 7교과(seven liberal arts)

• 3교과를 수료하면 초보적인 교과를 가르칠 수 있 는 문학사의 자격취득. 이는 수공업자 길드의 직 인에 해당하는 것

• 그 후 5-6년 간의 수업을 거친후 비로소 완전한 독립된 교사인 문학석사가 될 수 있으며 그는 7 자유교과를 가르치는 교사가 되든지 전문학부인 법률, 의학, 신학을 수학하는 길을 택함

• 이 중 신학박사 취득이 가장 어려웠음

(5)

2. 스콜라 철학

Ⅶ. Scolasticism

교부 철학

• 중세철학의 서곡으로서 사도 바울(St. Paul)시대로부터 아우구 스티누스의 시대로 헤아림

• 사도 바울은 선민사상의 테두리를 벗어남

• 오리게네스(Oregenes Adamantius; 185-254)는 그리스어 구약 성서 본문연구와 성서 전체에 대한 해석을 함

• 가장 대표적인 교부는 아우구스티누스로서 원죄설, 인간의 자 유의지, 삼위일체론에 대한 방대한 신학체계를 완성

(6)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스콜라 철학

• 중세 학문을 대표하는 신학. 중세 유 럽 을 지배해 온 철학

• 기반은 로마의 교부철학과 아우구 스티누스의 사상

• 신앙을 이성과 결합

• 인간의 자연적 이성 능력에 대한 깊 은 확신

• 스콜라 철학의 주요관심사는 실재 와 존재의 개념(보편논쟁) , 유명론 이란 아버지같은 보편개념이 그 보 편자나 일반명사가 가리키는 개체 들과 실재성을 가진다는 것을 부인 하는 사상학파

(7)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스콜라 철학

• 파리대학교나 옥스퍼드 대학교등 중세 대학이 창설되고 스콜라 철학 이란 이러한 대학 교수들의 신학적 철학적 가르침 때문에 생긴 명칭이 며 중세 철학을 말한다.

(8)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초기 스콜라 철학

• 캔터베리 대주교인 안셀무스(St. Anselm of Canterbury; 1033-1109)는 인간 이성의 무한 한 능력을 신뢰하고 이를 통해 이해하기 위해서 믿는다는 이성과 신앙의 결합을 추 구

• 왜 신이 인간이 되었는가(Cur Deus Homo) 라는 저서를 통해 그리스도의 십자가상의 죽음이 어떻게 인간을 하나님과 화해케 하 는 지 설명

• 그리스도의 속죄론을 신학적으로 설명

• 그의 저작 Proslogium (원제 이해를 구하는 신앙(Fides Quaerens Intellectum)에서 “알 기 위해 믿는다”라는 말을 함

(9)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초기 스콜라 철학

• 안셀무스는 인간의 죄가 만물의 주재자인 하나님의 영예를 더럽히고 분노를 일으켰 다고 한다. 하나님은 인간을 용서하기를 원했으나 우주에 도덕적인 질서를 유지하 기 위해 죄를 간과할 수 없었다. 이를 위해 하나님이 인간이 되셨다. 결국 하나님이면 서 인간이신 그리스도만이 이 모든것을 만 족시킬 수 있는 존재였다.

• 안셀무스의 속죄론은 만족설로서 지금도 그리스도의 속죄사역을 신학적으로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여겨짐

(10)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초기 스콜라 철학

• 안셀무스는 성경적인 근거에 기초해서만 이 아니라 이성적 논리를 통해 기독교 교 리를 증명하려고 했다.

• 안셀무스는 알기 위해 믿는다는 유명한 말 을 남겼다. 이 말은 진리를 구하는 자는 먼 저 신앙을 가져야 한다는 의미이다

• 인간의 이성은 절대적으로 완전한 존재에 대한 개념을 요구하고 또 그러한 존재는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지론

(11)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초기 스콜라 철학

• 스콜라 철학 내부에서 이성을 강조하는 관 점과 신앙의 초이성적 순수성을 강조하는 관점사이에 끊임없는 논쟁이 있었음

• 시토 수도회 수사였던 베르나르두스(St.

Bernard de Clairvaux; 1090-1153)는 아벨라 르(Peter Abelard; 1079-1142)가 인간이성으 로 신을 모조리 이해하려 한다고 비판

• 베르나르두스는 교황 유게니우스에게 세 속 권력자의 역할보다 교회의 영적지도자 역할을 하도록 권고

(12)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초기 스콜라 철학

• 오베르뉴의 기욤은 기독교 신앙에 대한 이교 사상의 위협에 대해 우 려.

• 프란체스코 수도회 수사 보나벤투 라(St. Bonaventure;1217-1274)도 아리 스토텔레스를 경계. 형이상학자로서 플라톤과 플로티노스 그리고 아우 구스티누스를 최고로 여김. 철학과 신학을 구분하는 것을 반대 “철학 은 신앙의 안내가 필요하다. 왜냐하 면 철학은 신을 보는 데서 절정에 이르는 높은 수준의 인식으로 나아 가는 한 단계에 불과하기 때문이

(13)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알베르투스 마그누스(St. Albertus Magnus;

1200-1280)

• 도미니쿠스 수도사로서 아리스토텔레스 철 학을 이해시키고 보완하기위해 독창적인 책 을 씀. 아리스토텔레스 주의의 선구자

• 파리대학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주의를 주창 한 사람으로 이성의 한계 강조

• 위서든 진서든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든 저작 에 주석을 달음.

• 이성은 자연의 빛이며, 오직 자연적 세계를 이해할 뿐 초자연적인 신앙의 진리를 파악할 수는 없다고 봄. 철학과 신앙 영역의 분리와 동시에 조화

(14)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4- 1274)

• 기독교 철학자

• 1224년 이탈리아 로마변경지역 귀족가문에 서 출생.

• 어린 소년부터 몬테카시노 수도원에 보내져 수도생활을 함

• 아우구스티누스 신학및 철학에 큰 영향을 받 았으나 후에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심취 하여 방대한 신학체계 구성

(15)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4- 1274)

• 중세 신학의 중심이었던 파리 대학교에서 아 리스토텔레스 강의

• 1259년 교황청의 신학고문및 신학강사

• 신학을 철학의 완성으로 보고 인식론을 발전 시킴

• 스콜라철학의 정점인 저서 신학대전(Summa theologiae)을 미완으로 저술

(16)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토마스 아퀴나스

• 초기 스콜라철학은 아우구스티누스 와 플라톤의 사상을 바탕으로 체계 화

• 알베르투스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 를 받아들이고 이성은 형식상으로 올바르게 사고하는 올바르게 사고 하는 능력일 뿐아니라 실재(본질)를 파악하는 능력

• 알베르투스의 제자인 토마스 아퀴 나스는 성서와 아리스토텔레스를 결합

(17)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토마스 아퀴나스

• 라틴신학을 고전적으로 체계화, 교 회 전례에 사용하는 찬송가 작사. 가 톨릭 신학자중에는 그의 견해에 동 의하지 않는 자도 있으나 로마가톨 릭교회에서는 그를 가장 뛰어난 신 학자이며 철학자로 인정

• 자연법의 개념을 체계적이고 깊이 있게 정리하여 법철학 발달에 기여.

중세 자연법의 발달은 사회계약및 근대 자연권 사상에 일조

(18)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후기 중세 철학

• 요하네스 둔스 스코투스(John Duns Scotus; 1266-1308)는 철학이 인간의 지식욕을 채우기에 충분하고 적합하다는 이성주의자의 주장에 반대하고 토미즘에 반대하 고 신앙과 지식을 분리할 것을 주장. 즉 신학과 철학은 다른 원리를 가진다

• 둔스 스코투스에 따르면 아리스토텔레스같은 순수 철학자는 인간의 타락과 은 총, 구원의 필요성을 모르기 때문에 인간의 조건을 진정하게 이해할 수 없다. 둔 스 스코투스가 보기에 우주의 제일원동자로서 신이 존재한다는 아리스토텔레스 의 증명은 그의 철학의 뚜렷한 한계였다. 둔스 스코투스에게는 제일원동자나 존 재 자체라는 개념보다 무한한 존재라는 개념이 신에 대한 인간의 가장 완전한 개념이었다. 종교개혁가 루터도 스콜라철학의 아리스토텔레스 주의를 비판하면 서“아리스토텔레스를 떠나야 우리들은 신학자가 될 수 있다”고 봄

• 의지(will)가 이성을 지배하는 것이지 이성이 의지를 지배하는 것이 아니므로 신 학은 신과 인간으로부터 실천을 요구한다고 봄

(19)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후기 중세 철학

• 보편논쟁은 스콜라 철학의 쟁점중 하나

• 보편논쟁으로서 실재론과 유명론이 있었음.

• 실재론은 보편은 실재하고 사물보다 앞선다는 것. 가령 사람이라는 유개념은 존재하지만 김씨나 이씨라는 개체개념은 오래 안가서 존 재 할 수 없다는 논리. 온건 실재론은 아리스토텔레스 주의로서 중세 스콜라철학자들의 논리이며 보편은 실재하며 사물안에 존재한다는 것. 가령 꽃이라는 유개념은 튜립이라는 개물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는 논리로서 꽃에 대한 이데아는 이미 튜립안에 존재하는 것

• 이에 반해 유명론(명목론)은 보편은 명칭이며 사물다음에 존재한다 고 봄. 가령 꽃이나 나무와 같은 개념들은 마음으로 그려낸 추상적인 존재이지 튜립이나 소나무처럼 실제로 만질 수 있는 것이 아님

(20)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후기 중세 철학

• 오컴(William of Ockham; 1288-1347)은 진리에 이르는 데 인간 이성의 힘을 지나치게 신뢰하지 않는 것이 오컴의 특징이었다. 그에 따르면 철학은 예를 들어 그리스도교 신의 존재를 확립할 때처럼 개연적 논 증으로 만족해야 할 때가 자주 있다. 신앙만이 이 문제와 그밖의 중 요한 문제에 확실성을 제공한다. 오컴이 내놓은 또 하나의 원리는 가 설의 수를 불필요하게 늘려서는 안 된다는 원리이다. 이 사유의 경제 성 원리는 ' 오컴의 면도날‘(Ockham's razor)이라 불린다.

• 신앙과 지식의 분리(유명론) “보편은 기호나 명칭에 지나치 않고 실 재하는 것은 오직 개별적 존재밖에 없다. 보편적 존재는 깎아 버려야 한다.”

(21)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후기 중세 철학

• 오컴(William of Ockham; 1288-1347)은 어떤 이성적 노력도 포기하고 단지 성서의 가르침에 만족해야 한다고 주장

• 어떤 사물을 설명할 때 개념도구를 적게 사용하면서 설명하는 것이 더 뛰어난 설명임. 즉 단순한 설명일수록 좋다는 것

• 오컴의 면도날

‘설명은 단순한 것일수록 뛰어나다’,‘불필요한 가정을 늘어놓지 마라’,‘복잡한 의견을 불필요로하는 원리’,’불필요하게 복잡한 언명을 제시해서는 안된다.’

(22)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후기 중세 철학

• 오컴(William of Ockham; 1288-1347)은 국가가 교회로 부터 분리되어 야 하는 것처럼 철학이나 학문도 신학으로부터 떨어지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며 이성의 영역과 신앙의 영역은 엄격히 구별되어야 한다 는 것이다. 오컴은 교황의 권위에 반항하여 추방당하였으며 청순한 사도시대의 신앙을 추구함

• 유명론자들은 가톨릭이 지나치게 체계화되고 귀족화함으로 일반 대 중과 멀어져 경직화하는 것에 대해 반발하고 원시 기독교의 회복과 기독교적 평등주의, 재산의 공동소유, 순수한 신앙 등을 추구, 근대 초기의 과학 발전에 기여

(23)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후기 중세 철학

• 토마스 아 켐피스는 ‘그리스도를 본받아(Imitatio Christi)’를 저술

• 단순한 언어와 문체로 유명한 이 책은 물질적 생활보 다는 영적 생활을 강조하고, 그리스도를 중심에 두고 살 때 보상이 주어진다고 주장했으며, 성찬은 신앙을 증진시키는 수단이라고 지지했다. 그의 저술들은 14 세기말 네덜란드에서 신앙을 '근대적인' 태도와 맞게 지적이고도 실천적으로 만들려고 일어난 운동인 데 보티오 모데르나(devotio moderna:공동생활형제단 의 창시자인 게르하르트 그루테가 시작한 신앙운동) 를 가장 잘 보여준다. 토마스는 신비주의보다는 금욕 주의를, 극단적인 엄격성보다는 온건함을 강조.

(24)

Ⅶ. Scolasticism

2. 스콜라 철학

후기 중세 철학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는 독일의 신비주의자로서 15세에 도미니쿠스 수도원에 들어가 쾰른에서 수학

• 이후 파리 생자크 수도원에서 신학을 가르키며 파리 대학에서 석사 취득

• 반토미즘과 함께 신비주의적 경향을 통해 교회에 의한 신앙의 외형 화및 형식화에 대해 신앙을 내면화하고 순화시키려 함

• 종교개혁가 루터는 스콜라 철학자중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를 높이 평가함.

참조

관련 문서

게 르만족들의 선교를 위해 보다 쉽게 하나님께 접근할 수 있는 듯이 보 이게 하기 위해 전례를 유형화.. 이는 여러 기독론

• 그러나 독일의 경우 서임권 문제가 발생할 무렵 하인리히 4세는 지 방제후들을 누르고 강력한 왕권을 수립할 시점에 있었고 성공할 가 능성이 매우 높았음.

- 삘레게이트(Pile Gate) 안에 있는 프란체스코 수도원에는1391 년이래 운영되어온 약국이 있으며, 다른 한 쪽에는 아름다운 이 탈리아 바로크풍의 성 블라이세(St.

1) 고구려어 어휘는 중세 한국어와 대응되는 예가 적고 신라어와 백제어의 어휘가 대부분 중세

 이성의 영역에 머물러 있던 철학적 사유는 인간 의식의 영역 전 반으로 확장된다. 계량화되고 객관화된 서구 철학 및 과학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비잔틴 복식의 화려한 표면 장식, 렐리쿼리, 스테파노스, 성화를 이용한 디자인

 중세 시대에는 자연법에 기독교가

-공원내 역사적 유적으로는 근대 시절 세르비아의 독립을 기념하기 위해 공원에서 가장 중요한 자리이자 사바강과 다 뉴브강의 접합점에 세워진 승 리자상(Pobednik, 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