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세 한국어의 선어말 어미와 어말 어미의 개괄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중세 한국어의 선어말 어미와 어말 어미의 개괄적"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중세 한국어의 문법(2)

1. 존대, 시제, 서법의 선어말 어미 2. 어말 어미의 종류와 특징

강의 주제

학습목표

중세 한국어의 선어말 어미와 어말 어미의 개괄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

(2)

1) 주체 존대법

■ 문장의 주어를 높이는 것

‘-시-’ : 자음어미 앞 󰄤 太子ㅣ 出家시면<월인천강지곡 36>

‘-샤-’ : 모음어미 앞 󰄤 海東六龍이 샤(-샤-+-)(<용비어천가 1>

부톄 敎化샤미(-샤-+-옴+-ㅣ)<월인석보 1:1>

■ ‘-샤-’ 뒤에 오는 어미 모음은 탈락됨

1. 선어말 어미 - 존대법

(3)

2) 객체 존대법

■ 목적어나 부사어로 쓰인 인물이 주체나 화자보다 높을 때 실현됨

1. 선어말 어미 - 존대법

어간의 끝소리 형 태 어미의 첫소리 보 기

ㄱ,ㅂ,ㅅ,ㅎ 자음 막거늘, 좃고

모음 닙

ㄷ,ㅌ,ㅈ,ㅊ, 자음 듣고, 좇거늘

모음 얻

모음과 ㄴ, ㄹ, ㅁ 자음 安否고, 담고

모음 초

■ 현대에는 ‘-옵, -사옵, -자옵, -습’ 등으로 남아 있으나 원래의 의미는 거의 소멸됨

(4)

3) 상대 존대법

■ 화자가 청자에 대해 높임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

구 분 등 분 형태소 보 기

쇼셔체 아주 높임

--(평서형) --(의문형) -쇼셔(명령형)

ᄉᆡᇰ마도 몯호다<석보상절 6:5>

이 디 엇더 리고<능엄경언해 1:59>

구쳐 니러 절시고 안쇼셔<석보상절 6:3>

야쎠체 예사 높임

-ᅟᅵᇰ-(평서형) -ᅟᅵᆺ-(의문형) -아쎠(명령형)

그리 아니ᇰ다<석보상절 6:16>

그딋 아바니미 잇닛가<석보상절 6:14>

내 보아져 다 쎠<석보상절 6:14>

라체 아주 낮춤

-라(평서형, 명령형) -∅(의문형)

自然히 니러 禮數더라<석보상절 6:30>

네 겨집 그려 가던다<월인석보 7:10>

샤ᇰ재외에 라<석보상절 6:1>

1. 선어말 어미 - 존대법

(5)

1) 현재시제: ‘--’

2) 과거시제: ‘-더-’(과거 미완, 회상), ‘-거-’(과거 완료) 3) 미래시제: ‘-리-’, 관형사형 어미는 ‘-ㄹ’임

1. 선어말 어미 - 시제

동사 형용사, 서술격조사

과거 기본형, -더-, -거- -더-, -거-

현재 -- 기본형

미래 -리- -리-

참고

(6)

‘-더-’는 회상법, ‘-거-’는 확인법(화자의 주관적 믿음)의 서법 표지로 분석하기도 함

■ ‘-더-’는 서술격 조사나 미래시제 ‘-리-’ 뒤에서는 ‘-러-’로 나타남

󰄤 님금 臣下ㅅ 疑心이러니<월인천강지곡 22>

즐거미 몯내 니리러라<석보상절 3:5>

1. 선어말 어미 - 시제

(7)

■ ‘-거-’의 이형태

형태 구분 보기

-거/어-

자동사 석  사시고 나아 가거시<월인석보 10:17>

世界 뷔어다 며<석보상절 23:18>

형용사 시르미 더욱 깁거다<월인석보 8:101>

서술격조사 바미 마 半이어다<석보상절 23:13>

-아/어- 타동사

부톄 즉재 바다시<법화경언해 4:178>

나라히 威神을 일허다<월인석보 10:9>

간대옛 禍福 닐어든<석보상절 9:36>

■ ‘-거-’는 서술격 조사나 어간 말음 ‘ㅣ’와 ‘ㄹ’ 뒤에서는 ‘-어-’로 나타남

1. 선어말 어미 - 시제

(8)

‘-오/우-’: 화자의 주관적 의도를 나타냄

■ 모음조화에 따라 ‘-오/우-’가 선택되고, 서술격 조사 뒤에서는 ‘-로-’가 됨

■ ‘--, -더-, -거-’에 결합하면 ‘-노-, -다-, -과(평서형)/가(연결형)-’로 나타남

󰄤 내 새로 스믈여듧 字 노니 <훈민정음 언해본>

저 디 업다니 엇뎨어뇨<월인석보 13:35>

녜 업던 이 얻과라 더니<석보상절 19:40>

내 仁義禮智信을 아라 行 가니<금강경언해 21>

■ 16세기 이후 혼란되어 쓰이다가 근대국어에서 소멸됨

1. 선어말 어미 - 의도법

(9)

‘-니-’ : 화자의 객관적 믿음(원칙)을 나타냄

󰄤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훈민정음 언해본>

이 病 사미니다<석보상절 3:17>

1. 선어말 어미 - 원칙법

(10)

■ 화자의 적극적 내지 소극적 느낌을 표시

‘-돗-, -도-, -옷-, -ㅅ-’:

󰄤 山巖ㅅ 가온ᄃᆡᆺ 景趣 장 議論 돗더라<초간 두시언해 9:13>

文殊師利 等 보 爲야 이 오도다<월인석보 18:81>

우리 무 이 다로 힘 니버 시러 지블 올오소라<내훈 3:41>

牛斗星 라오 갓 잇비 것다<초간 두시언해 21:42>

■ ‘-옷-’이 보수적임

■ 서술격 조사나 ‘ㅣ’모음 뒤에서는 ‘-로-, -롯-’으로 나타남

1. 선어말 어미 - 감동법

(11)

1) 평서형: ‘-다/라’

■ 선어말어미 ‘-오-, -과-, -니-, -더-, -리-’등의 뒤에서는 ‘-라’로 교체됨

󰄤 오 내 尊호라<월인석보 2:34>

녜 업던 이 얻과라 더니<석보상절 19:40>

즉자히 도로 수므니라<석보상절 6:45>

올히와 그려기왜 븘비체셔 자더라<초간 두시언해 8:9>

이 피 다ᇰ다 사 외에 시리라<월인석보 1:8>

2. 어말 어미 - 종결어미

(12)

2) 명령형: ‘-쇼셔, -아쎠, -라’

■ 존대 등급에 따라 3등급으로 구분됨:

‘-쇼셔’: 아주 높임

‘-아쎠’: 보통으로 낮추거나 높임

‘-라’: 아주 낮춤

󰄤 王이 부톄를 請쇼셔<석보상절 6:38>

내 보아져 다 쎠<석보상절 6:14>

너희 大衆이 자ᇰ 보아 後에 뉘읏붐 업게 라<석보상절 23:11>

2. 어말 어미 - 종결어미

(13)

3) 의문형

■ 판정의문문에 ‘-가, -녀. -려’, 설명의문문에 ‘-고, -뇨. -료’ 등이 쓰임

󰄤 이 두 사미 眞實로 네 하ᇰ것가<월인석보 8:94>

功德이 하녀 몯 하녀<월인석보 17:48>

이시려 업스려<법화경언해 5:159>

이 엇던 光明고<월인석보 10:7>

어듸 시름 업슨  잇뇨<월인석보 10:25>

精舍ㅣ 업거니 어드리 가료<석보상절 6:22>

2. 어말 어미 - 종결어미

(14)

3) 의문형

■ 2인칭 의문문에는 설명 · 판정의문의 구별 없이 ‘-ㄴ다, -ㄹ다’가 쓰임

󰄤 네 엇뎨 안다<월인석보 23:74>

네 이제도 외야  믜 들 둘따<월인석보 2:64>

■ 간접적 의문문에는 ‘-ㄴ가, -ㄴ고, -

가, -ᇙ고’ 등이 쓰임

2. 어말 어미 - 종결어미

(15)

4) 청유형

■ ‘라체’에 ‘-져’, ‘쇼셔’체에 ‘-사다’가 쓰임

󰄤 이 劫 일후므란 賢劫이라 져<월인석보 1:40>

淨土에   가 나사다 야시<월인석보 8:100>

2. 어말 어미 - 종결어미

(16)

5) 감탄형

■ ‘-ㄴ뎌, -ㄹ쎠, -애라/게라, -고나’ 등이 쓰임

󰄤 오직 聖人ㅅ 마리신뎌<선종영가집언해 하36>

讚歎야 닐오 됴쎠 됴쎠<월인석보 23:82>

몰라 보애라<월인석보 23:86>

이 버다 네 콩 삶기 아디 몯 고나<번역노걸대 상19>

2. 어말 어미 - 종결어미

(17)

1) 대등적 연결어미

(1) 전후 나열: ‘-고/오’, ‘-곡’(강세) (2) 동시 병행: ‘-며’, ‘-며셔’

(3) 선택: ‘-나’

2) 종속적 연결어미

(1) 원인: ‘-니, -매, -거늘/어늘, -관/완, -ㄹ, -ㄴ대’ 등

■ ‘-ㄹ’는 평서문에, ‘-관/완’는 의문문에 쓰임

󰄤 불휘 기픈 남 매 아니 뮐 곶 됴코 여름 니<용비어천가 2>

엇던 行願을 지시관 이 相 得니ᅌᅵᆺ고<월인석보 21:18>

2. 어말 어미 - 연결어미

(18)

2) 종속적 연결어미

(2) 구속(조건): ‘-든/, -ㄴ댄, -ㄴ덴, -란, -면, -ㄹ시언뎌ᇰ’ 등 (3) 양보: ‘-나, -ㄴ, -니와, -건마, -ㄹ뎌ᇰ’ 등

(4) 설명: ‘-’

(5) 목적: ‘-라’

(6) 의도: ‘-려’

(7) 소망: ‘-고져, -아져, -과뎌, -과여, -엣고, -긧고’

2. 어말 어미 - 연결어미

(19)

2) 종속적 연결어미

(8) 한도, 도급: ‘-록’

(9) 익심: ‘-디옷, -ㄹ록’

(10) 전환: ‘-다가, -라, -ㄴ다마다, -락’

(11) 선행 동작의 양태: ‘-아/어’

(12) 어떤 동작이나 상태에 도달함: ‘-긔/게’

(13) 부정: ‘-디, -’

2. 어말 어미 – 연결어미

(20)

1) 명사형 어미

■ ‘-ㅁ’과 ‘-기’

󰄤 됴 여름 여루미(열+움+이) <월인석보 1:12>

布施기 즐겨<석보상절 6:13>

■ 명사형 어미 ‘-ㅁ’은 항상 선어말어미 ‘-오/우-’와 함께 결합됨

■ 명사형 어미 ‘-ㅁ’이 선어말어미 ‘-시-’와 결합하면 ‘-샴’, 서술격 조사와 결합하면 ‘-롬’으로 교체됨’

2. 어말 어미 – 전성어미

(21)

2) 관형사형 어미

■ ‘-ㄴ/’(과거), ‘-ㄴ/’(현재), ‘-ㄹ/’(미래)

󰄤 智 사 後에<원각경언해 序4>

부텻긔로 가 저긔<석보상절 6:19>

리예 딜 <용비어천가 87>

■ 관형사형이 결합된 절이 바로 명사절처럼 쓰인 예가 있음

󰄤 그딋 혼 조초야<석보상절 6:8>

다 업슨 긴  니니 오놋다<두시언해 10:35>

cf. 德이여 福이라 호 나라 오소다<악학궤범, 동동>

2. 어말 어미 – 전성어미

(22)

2) 관형사형 어미

■ 인용 관형사형 ‘ㅅ’:

현대국어의 관형사형 ‘-다는, -라는, -라 하는’에 해당하는 형태

󰄤 廣熾 너비 光明이 비취닷 디오<월인석보 2:9>

2. 어말 어미 – 전성어미

(23)

▪ 아래 문장에서 어미를 골라 내어 위치와 기능에 따라 분류하라.

(가) 나랏 말미 中國에 달아 文字와로 서르 디 아니...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훈민정음 언해본>

(나) 人生 즐기리ᅌᅵᆺ가 주구믈 기드리노니 목숨 므거 손 몯 죽노다<월인천강지곡 상 52>

(다) 우리 이제 안 出家말오 지븨 닐굽  이셔 五欲 

자ᇰ 편 後에 出家져<월인석보 7:1-2>

모둠 과제

참조

관련 문서

시간이 자연적인 반면 시제는 인위적이고, 시간이 실재적 (real)이고 물리적인 반면 시제는 가상적이고 개념적이며, 시간이 객관적(언어 외적)인 반면 시제는 주관적(언어

• 그러나 독일의 경우 서임권 문제가 발생할 무렵 하인리히 4세는 지 방제후들을 누르고 강력한 왕권을 수립할 시점에 있었고 성공할 가 능성이 매우 높았음.

고구려의 언어와 남부의 백제 및 신라의 언어가 서로 달랐다고 한 다면 한민족의 성립은 삼국 통일 후가 하나의 분수령이 됨. 남북의 언어가 삼국 시대에 방언적

兒馬 아질게 aǯirγa 土黃馬 고라 qula 栗色馬 구렁 küreng 白角鷹 궉진 kögsin 帖裏 텰릭 terlig.. 중고

1) 고구려어 어휘는 중세 한국어와 대응되는 예가 적고 신라어와 백제어의 어휘가 대부분 중세

 음절구조 제약에 의해 음절말 평폐쇄음화, 자음군

1984년 317개 언어의 말소리를 분석한 통계)에 의하면 파열음의 경우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고

비잔틴 복식의 화려한 표면 장식, 렐리쿼리, 스테파노스, 성화를 이용한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