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대 한국어의 어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고대 한국어의 어휘"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고대 한국어의 어휘

강의 주제

학습목표

고대 한국어 어휘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

(2)

1. 고대 한국어의 어휘 자료

『삼국사기』,

『삼국유사』,

『삼국지 위지 동이전』을 비롯한 중국 측 사서에 기록된 고유명사가 주된 자료임

(3)

2. 삼국의 지명 어휘

1) 達(山, 高)

高峰縣 本高句麗達省縣<삼국사기 권35>

高城郡 本高句麗達忽<삼국사기 권35>

松山縣 本高句麗夫斯達縣<삼국사기 권35>

‘達’(*tal)은 츄바시어의 tārā(頂上), 몽고어의 toloγai(山頂) 등과 대응

고구려어

(4)

2) 內·奴·惱(壤)

槐壤郡 本高句麗仍斤內郡<삼국사기 권35>

穀壤縣 本高句麗仍伐奴縣<삼국사기 권35>

休壤郡 一云 金惱<삼국사기 권37>

*, *노’(內·奴·惱)는 만주어의 ‘na’, 골디어의 ‘na’, 여진어의 ‘nah’ 등과 대응

고구려어

2. 삼국의 지명 어휘

(5)

2. 삼국의 지명 어휘

3) 巴衣·波衣·波兮(巖, 峴)

孔巖縣 本高句麗濟次巴衣縣<삼국사기 권35>

松峴縣 本高句麗夫斯波衣縣<삼국사기 권35>

文峴縣 一云 斤尸波兮<삼국사기 권37>

巴衣·波衣·波兮(*바회)는 만주어의 ‘wehe’, 여진어의

‘wȏhei’, 중세 한국어의 ‘바회’와 대응

고구려어

(6)

2. 삼국의 지명 어휘

4) 內米(海, 池)

瀑池郡 本高句麗內米忽郡<삼국사기 권35>

內米忽 一云 池城 一云 長池<삼국사기 권37>

‘內米’(*미)는 만주어/골디어의 ‘namu’, 올차어의

‘lamu’, 일본어 ‘nami’(波) 등과 대응

고구려어

(7)

2. 삼국의 지명 어휘

5) 忽(城)

陰城縣 本高句麗仍忽縣<삼국사기 권35>

買忽 一云 水城<삼국사기 권37>

水谷城縣 一云 買旦忽<삼국사기 권37>

고구려어

(8)

2. 삼국의 지명 어휘

1) 乃利·仍利(川, 海)

利城縣 本百濟乃利阿縣<삼국사기 권36>

汝湄縣 本百濟仍利阿縣<삼국사기 권36>

仍利阿縣 一云 海濱<삼국사기 권36>

‘乃利 · 仍利’(*nari)는 퉁구스어 ‘nā’, 중세 한국어의

‘나리>내(川)’에 대응

백제어

(9)

2. 삼국의 지명 어휘

2) 珍惡(石)

石山縣 本百濟珍惡山縣<삼국사기 권36>

馬突縣 一云 馬珍<삼국사기 권37>

‘珍惡’은 ‘*tork(<*turak)’으로 중세 한국어의 ‘돌ㅎ’에 대응

백제어

(10)

2. 삼국의 지명 어휘

3) 己·只(城)

悅城縣 本百濟悅己縣<삼국사기 권36>

潔城郡 本百濟結己郡<삼국사기 권36>

儒城縣 本百濟奴斯只縣<삼국사기 권36>

己 · 只(*ki)는 신라어의 ‘城叱肹(*잣)’에 대응.

고대 일본어의 ‘ki(城柵)’는 이 어휘를 차용한 것으로 추정됨

백제어

(11)

2. 삼국의 지명 어휘

4) 于召·雨(上, 高)

紆洲縣 本百濟于召渚縣<삼국사기 권36>

高澤縣 本百濟雨坪縣<삼국사기 권36>

‘于召(*uč) · 雨(*u)’는 몽고어 ‘ögede’, 골디어 ‘uje’, 퉁구스어 ‘ugile’, 일본어 ‘uhe’, 중세 한국어 ‘우ㅎ’에 대응

백제어

(12)

2. 삼국의 지명 어휘

5) 翰(大)

翰山縣 本百濟大山縣<삼국사기 권36>

‘大·翰’(*han)은 중세 한국어의 ‘하-’(大)와 일치.

신라의 왕호 ‘居西干, 居瑟邯, 馬立干’ 및 관직명 ‘角干, 角粲, 舒發翰, 舒弗邯, 伊伐飡’, 백제의 왕호 ‘鞬吉支’

등에 보이는 ‘-干, -粲, -翰, -邯, -飡, 鞬-’과 상통하며, 몽고어 ‘qan·qγan’(帝王)에 대응

백제어

(13)

2. 삼국의 지명 어휘

1) 阿莫(母)

母山縣 或云 阿莫城<삼국사기 권34>

‘阿莫’(*amak)의 ‘*am’은 중세 한국어 ‘암ㅎ(雌, 母)에 대응

신라어

(14)

2. 삼국의 지명 어휘

2) 推·麻(三)

玄驍縣 本推良火縣 一云 三良火<삼국사기 권34>

三岐縣 本三支縣 一云 三杖<삼국사기 권34>

고구려 지명 三峴縣 一云 密波兮<삼국사기 권37>,

신라 지명 密津縣 本推浦縣<삼국사기 권34> 에서 推의 훈이 ‘*밀’이고 수사 ‘三’의 신라 고유어 또한 ‘*밀’임을 확인 할 수 있음. 또한 ‘推·麻’(*mil)은 일본어의 ‘mi’(三)에 대응

신라어

(15)

2. 삼국의 지명 어휘

3) 吐·刀(城, 隄)

漆隄縣 本漆吐縣<삼국사기 권34>

大城郡 本仇刀城<삼국사기 권34>

‘吐·刀’(*to)는 고구려 지명 奈隄郡 本高句麗奈吐郡, 棟隄縣 本高句麗東吐縣<삼국사기 권34>에도 나타 나며 중세 한국어 ‘터ㅎ’(基)에 대응

신라어

(16)

2. 삼국의 지명 어휘

4) 助比(陽, 曝)

陽山縣 本助比川縣<삼국사기 권34>

‘助比’(*čopi)는 중세 한국어의 ‘조비>조>조이>죄>

-’(曝)에 대응

신라어

(17)

2. 삼국의 지명 어휘

5) 屈阿火(曲)

河曲縣 婆娑王時取屈阿火村置縣<삼국사기 권34>

屈阿火(*kulapɨl)은 중세국어 ‘굽-’(曲)의 관형사형

‘구’에 대응되며 고구려 지명 曲城郡 本高句麗屈火郡

<삼국사기 권35>의 ‘曲:屈火’에서도 확인됨

신라어

(18)

3. 어휘 상의 특징

1) 고구려어 어휘는 중세 한국어와 대응되는 예가 적고 신라어와 백제어의 어휘가 대부분 중세 한국어의

어휘와 일치

→ 중세 한국어가 한계어인 신라어를 중심으로 형성 되었음을 증명하는 것

(19)

3. 어휘 상의 특징

2) 고구려가 신라어나 중세 한국어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많은 어휘를 가지고 있다는 점

→ 고구려어와 백제어 · 신라어가 다른 언어적 층위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

(1) 고구려어와 퉁구스어와의 대응 內米(池) namu(海)

難隱(七) nadan(七) 伊(入) i-(入)

伯(達) baka-(發見) 馬(堅) ma(堅)

<이철수(1999:75)>

(20)

3. 어휘 상의 특징

2) 고구려가 신라어나 중세 한국어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많은 어휘를 가지고 있다는 점

→ 고구려어와 백제어 · 신라어가 다른 언어적 층위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

(2) 고구려어와 일본어와의 대응

*tal(山, 高) take(嶽), taka-(高)<*talke, *talka- 旦·呑 *tan(谷) tani(谷)

內·奴 *na/*no(壤) na(地 ) 內米 *nami(海, 池) nami(波) *mil(三) mi(三) 難隱 *nanɨn nana(七)

(21)

3. 어휘 상의 특징

3) 백제어는 신라어와 공통점을 보여 주는 한편 고구려어 와도 일부 공통성을 보여 줌

→ 백제어가 부여계 언어의 특징과 한계 언어의 특징을 모두 지니고 있음을 말해 줌

참조

관련 문서

[r]

시간이 자연적인 반면 시제는 인위적이고, 시간이 실재적 (real)이고 물리적인 반면 시제는 가상적이고 개념적이며, 시간이 객관적(언어 외적)인 반면 시제는 주관적(언어

• 그러나 독일의 경우 서임권 문제가 발생할 무렵 하인리히 4세는 지 방제후들을 누르고 강력한 왕권을 수립할 시점에 있었고 성공할 가 능성이 매우 높았음.

고구려의 언어와 남부의 백제 및 신라의 언어가 서로 달랐다고 한 다면 한민족의 성립은 삼국 통일 후가 하나의 분수령이 됨. 남북의 언어가 삼국 시대에 방언적

兒馬 아질게 aǯirγa 土黃馬 고라 qula 栗色馬 구렁 küreng 白角鷹 궉진 kögsin 帖裏 텰릭 terlig.. 중고

 음절구조 제약에 의해 음절말 평폐쇄음화, 자음군

1984년 317개 언어의 말소리를 분석한 통계)에 의하면 파열음의 경우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고

비잔틴 복식의 화려한 표면 장식, 렐리쿼리, 스테파노스, 성화를 이용한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