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소실문자의개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1. 소실문자의개관"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중세 한국어의 음운

강의 주제

학습목표

중세 한국어의 자모 체계와 음운 현상을 이해할

수 있다 .

(2)

1. “전하께서 만드신 문자 중 소실된 것이 있사옵니다.”

2. “전하, 현대에는 경음화 현상이 활발하옵니다.”

3. “전하, 통신언어 상의 한글 파괴가 심각하옵니다.”

세종 임금을 만나 다음과

같은 말을 전한다면 어떤

반응을 보이실까?

(3)

1. 소실 문자의 개관

소실문자 음가 소멸시기 변천과정 용 례

ʔ 15C 중엽 이후 소멸 音 ,

β

ㅂ~ㅸ

ㅸ>오/우, ∅ ㅸ> ㅂ

벌 : 말ᄫᅡᆷ

더위, 수 >수이 알 > 알밤

ㆅ>ㅋ, ㅆ

ㆅ>ㅎ

다>켜다, 믈> 썰물

ㆀ>ㅇ > 여, 괴 >괴여

(피동 어간에 국한됨)

(4)

1. 소실 문자의 개관

소실문자 음가 소멸시기 변천과정 용 례

z 임란이후 ㅅ~ㅿ

ㅿ>ㅇ, ㅿ>ㅅ

쇼, (짓+어)

> 마음, >가슴

ŋ ㆁ>ㅇ >백성,

방올>방울

ʌ 음가 - 18C문자 - 1933 ㆍ> ㅡ,ㅏㆍ> ㅗ,ㅜ,ㅓ

> > >가을

>놈, 아 >아우, >턱

(5)

2. ‘ㅇ’

1) 소리값이 없는 ‘ㅇ’:

■ 成音法 에 따라 중성으로 음절이 시작됨을 표시하는 기능

■ 한자어에서 중성으로 음절이 끝남을 표시하는 기능

󰄤 (아우), 어엿비(憐), 世솅

2) 소리값[ɦ]이 있는 ‘ㅇ’: 후음의 유성마찰음

󰄤 몰애(沙,) 달아(異), 알어늘, 소리오

(6)

2. ‘ㅇ’

■ 참 고

소리값 추정의 근거 : 소리값이 없었다면 이어적기나 반모음 삽입이 일어나서 ‘다라, , 소리요’가 되었을 것이나, 실제로는 언제나 끊어적기가 됨. → ‘ㄱ’의 약한 소리가 ‘ㅇ’에 의해서 표시된 것

③ 소리값이 없는 ‘ㆁ’은 15세기말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법이 폐지 됨에 따라 현대의 ‘ㅇ’과 동일하게 됨

④ 소리값이 있는 ‘ㅇ’/[ɦ]은 16세기 말에 소멸

(7)

3. 어두자음군

1) ㅅ계: ㅺ, ㅼ, ㅽ, ㅾ

󰄤 (夢), (地), (骨), 다(織)

2) ㅂ계: ㅲ, ㅳ, ㅄ, ㅶ, ㅷ

󰄤 다(貸), (志), (米), (方), 다(彈)

3) ㅄ계: ㅴ, ㅵ

󰄤 (隙), (時)

■ 된소리? 아니면 겹자음?

■ 일반적 견해: ㅅ계 합용병서는 된소리, ㅂ계와 ㅄ계는 어두자음군

(8)

■ ㅂ계와 ㅄ계는 어원적으로 ‘ㅂ’음을 가진 소리, ‘ㅂ’음은 묵음

󰄤 ㅵ: (時) → 입때, 접때

ㅳ: 다(開眼) → 흡뜨다, 부릅뜨다 ㅷ: 다(躍) → 냅뛰다

ㅄ: (米) → 좁쌀, 찹쌀, 멥쌀, 입쌀 (種) → 볍씨, 팝씨

다(用) → 몹쓸 다(掃) → 휩쓸다

ㅶ: ᄧᅡᆨ(隻) → 사립짝 다(鹹) → 짭짤하다

■ 훈민정음 17 초성체계에서 빠진 이유는?

3. 어두자음군

(9)

4) 된소리 표기와 각자병서

■ 전탁은 본래 비음과 유음을 제외한 한자의 유성음을 표기하기 위해 제자된 것

■ 된소리 표기 방법이 각자병서와 ㅅ계 합용병서 사이에서 동요하다 17세기 이후로 된소리 표기가 ㅅ계로 단일화되는 경향을 보임

■ 중세 한국어에서 ‘ㅉ’은 어두에서 사용되지 않았고 초성 합용병서에

‘ㅾ’은 없었음

󰄤 받 쩌긔<석보 6:8>, 金几 우희 <월석 9:21>

뮈우디 <능엄 2:109>, <훈민정음>

3. 어두자음군

(10)

1) 김종훈 외(2008)

4. 자음 체계

입술 잇몸 센입천장 여린입천장 목구멍

파열음 p ph p’ t th t’ k kh k’

파찰음 ts tsh ts’

마찰음 s s’ h

유 음 l

비 음 m n ŋ

(11)

ㅂ ㄷ ㄱ ㅈ ㅅ ㅎ ㅍ ㅌ ㅋ ㅊ

ㅽ ㅼ ㅺ ㅆ ㆅ

ㅸ ㅿ ㅇ

ㅁ ㄴ ㆁ ㄹ

4. 자음 체계

2) 안병희·이광호(1991) 『중세국어 문법론』, 이기문(1988) 『국어사개설』

(12)

3) 박병채(1993) 『국어사정설』

4. 자음 체계

순음 설음 치음 아음 후음

(양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두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 음유 음

p(ㅂ) t(ㄷ) k(ㄱ) ʔ(ㆆ)

ph(ㅍ) th(ㅌ) kh(ㅋ) p’ㅽ t’(ㅼ, ㅳ, ㅵ) k‘(ㅺ, ㅴ)

s(ㅅ) h(ㅎ)

s’(ㅄ) c(ㅈ)ch(ㅊ) c’(ㅶ)

m(ㅁ) n(ㄴ) ŋ(ㆁ)

r/l(ㄹ)

(13)

▪ 각 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중세 한국어의 자음 체계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해 보라.

공통점:

차이점:

모둠 과제

(14)

5. 모음 체계

1) 단모음 체계: 7모음 체계

▪ 이기문(1972) 『국어 음운사 연구』, 안병희·이광호(1991) 등

ㅣ[i] ㅡ[ɨ] ㅜ[u]

ㅓ[ə] ㅗ[o]

ㅏ[a]

·

[Λ]

▪ 이러한 모음 체계는 중세국어 전기에서 후기의 모음체계로 변화하는

과정에 일어난 모음의 자리 이동에 의한 것 → 모음 추이

(15)

5. 모음 체계

2) 모음추이

ㅣ[i] ㅡ[ɨ] ㅜ[u]

ㅓ[ə] ㅗ[o]

ㅏ[a]

·

[Λ]

ㅣ[i] ㅜ[u] → ㅗ[o]

ㅓ[ə] → ㅡ[ɨ]

·

[Λ] ㅏ[a]

▪ (B)는 (A)에서 ① ‘ㅓ’의 중설화 ② ‘ㅡ’의 고설화, ③ ‘ㅜ’의 후설화,

④ ‘ㅗ’의 저설화, ⑤ ‘ㆍ’의 저설화 과정을 통해 형성됨

(A) (B)

(16)

5. 모음 체계

▪ 모음추이의 종류

󰠆󰠏 미는 사슬(推進鎖 push-chain)

󰠌󰠏 당기는 사슬(牽引鎖 drag-chain)

그 이유는?

‘ · ’의 불안정성 때문

▪ 중세 한국어 시기에 발생한

모음추이는 ‘미는 사슬’이었을 것 ㅣ[i] ㅜ[u] → ㅗ[o]

ㅓ[ə] → ㅡ[ɨ]

·

[Λ] ㅏ[a]

▪ 즉 ‘

·

’는 15세기에 시작되어 16세기에 비어두음절에서 ‘ㅡ’에 합류되었고 다시 18세기 중엽에는 어두음절에서 ‘ㅏ’에 합류되어 소멸됨

(17)

5. 모음 체계

▪ 모음추이의 결과

(1) ‘ · ’ 소실

󰠆󰠏 제 1단계 소실 : 16세기에 비어두음절에서 일어난 ‘ · ’ 소실

󰠌󰠏 제 2단계 소실 : 18세기 중엽에 어두음절에서 일어난 ‘ · ’ 소실

󰄤 르치다, > > 을 > 가을 (2) 모음조화 파괴: ‘ · ’의 1단계 소실로 인한 결과

(3) 이중모음 ‘ ’가 ‘ㅐ[ay]’나 ‘ㅔ[

əy

]’로 대체됨(18세기 중반 이후)

󰄤 오> 새오(>새우), 버 > 버레

⇒ 이후 단모음화됨

(18)

6. 음운 현상

1) 모음조화의 파괴

󰄤 나모 > 나무, 가온 > 가운데, 사괴다 > 사귀다

2) 두음법칙의 미적용

󰄤 렴통(心), 량식(糧食), 녀름(夏), 닐다(起)

3) 구개음화의 미적용

󰄤 뎔(寺), 듕(僧), 디다(落), 고티다(改)

(19)

6. 음운 현상

4) 비음화

󰄤 받 (受) > 반 , 젛노라(恐) > 전노라, 닿 니라(接) > 다 니라

5) 경음화

󰄤 가ᇙ 길 > 갈 낄, 배 > 홀 빼

ᄇᆡᆺ곶(梨花) > , 蓮ㅅ불휘(蓮根) > 蓮 휘 곳고리(鶯) > 고 리, 다(淨) > 다 구짓다(叱) > 짓다, 사호다(鬪) > 싸호다

(20)

6. 음운 현상

6) 격음화

󰄤 갈ㅎ > 칼, 시기다 > 시키다 / 드틀 > 티끌, > 탓

ㅎ > 팔, 불무 > 풀무 / 자히(序 ) > 차히, 직직 다 > 칙칙하다 사 > 사흘, 닉이다 > 익히다

곶 > 꽃, 녁 > 녘

둏고(好) > 됴코, 슳거니(哀) > 슬커니

7) 중화

󰄤 갚디 → 갑디, 녙디 → 녇디, 둣디(두어 잇디) → 둗디, 짛 니라 → 짇 니라, 짗과 → 짓과

(21)

6. 음운 현상

8) 자음탈락

(1) ‘ㄱ’ 탈락: 서술격조사나 어간말음 ‘ㅣ’와 ‘ㄹ’ 뒤

󰄤 바미 마 半이어다<석보상절 23:13>

世界 뷔어다<석보상절 23:18>

나그내 잡드런 디 나 리 길어다<초간 두시언해 15:23>

(2) ‘ㄹ’ 탈락: 어간말 ‘ㄹ’이 ‘ㄴ, ㄷ, ㅿ, ㅅ, ㅈ’ 앞에서

󰄤 들+니 → 드니

알+ →

살+더니 → 사더니

참조

관련 문서

회계의 순환과정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다. 거래 기록의 첫 단계인 분개의 의미를 이해하고 실제 거래에 적용시켜볼 수 있다. 분개의 다음 단계인 전기에 대해

중세 시대에

교수전략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다양한 교수전략을 탐구할 수 있다.. 가르치는 교사의 어떤 교수방법/교수전략이 나의 학습에 가장 도움이 되었는가?..

1) 고구려어 어휘는 중세 한국어와 대응되는 예가 적고 신라어와 백제어의 어휘가 대부분 중세

1984년 317개 언어의 말소리를 분석한 통계)에 의하면 파열음의 경우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고

예: 두 물체의 마찰 시 생겨나는 전하는 새로이 창조되는 것이 아니라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이동함에 의하여 나타나는 알짜전하

수정후시산표와 재무제표 작성과정, 그리고 정산표의 작성 과정 및 이를 통한 회계순환 전반 과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정액법을 적용하여 다음과

 주 프로그램과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사이를 요청/응답 인터페이스로 연결함으로써 상태도 기반 알고리즘 구성을 이해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