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체언과 조사의 특징 2. 체언의 특수 곡용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1. 체언과 조사의 특징 2. 체언의 특수 곡용"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중세 한국어의 문법(1)

1. 체언과 조사의 특징 2. 체언의 특수 곡용

강의 주제

학습목표

중세 한국어의 격조사와 체언의 특수 곡용을 이해할

수 있다 .

(2)

1. 의존명사

■ ‘, , 바, 이, 것, 분, 녁, 덧, 줄, ’ 등

■ 현대 한국어에 없는 특수한 의존명사 ‘, ’는 16세기에 소멸하여 어미가 됨.

󰄤  +ㅣ → 디,  + → ,  + ㄴ → ,  +ㅣ라 → 디라

+ㅣ→ 시, + → ,  + ㄴ → , +ㅣ라 → 씨라(시라)

󰄤 본 디 외니라<법화경언해 4:140>

言은 니를 씨라 <훈민정음>

체언과 조사의 특징

(3)

2. 대명사

1인칭 2인칭 3인칭 3인칭 재귀대명사 미지칭 부정칭 단수 너, 그듸(높임말) 없음 저, 갸(높임말) 아모

복수 우리 너희, 그듸 없음 저희

1) 인칭 대명사

근칭 중칭 원칭 미지칭 부정칭

사물 므슥, 므섯, 므스, 므슴,

어/어느, 현마, 엇뎨 아모것 처소 긔, 여긔 그긔 뎌ᇰ긔, 뎌긔 어듸, 어드러, 어듸메 아모

2) 지시 대명사

체언과 조사의 특징

(4)

3. 수사

■ 고유어계 기수사 :

󰄤 나ㅎ, 둘ㅎ, 세ㅎ, 네ㅎ, 다, 여슷, 닐굽, 여듧, 아홉, 열ㅎ, 스믈ㅎ, 셜흔, 마, 쉰, 여쉰, 닐흔, 여든, 아, 온, 즈믄 등

■ 서수사는 기수사에 접미사 ‘-자히, -차히, -재’를 연결하여 나타냄

󰄤 첫자히, 나차히, 낫재, 둘차히, 세차히 등

체언과 조사의 특징

(5)

4. 조사

1) 주격 조사

형 태 환 경 보 기

-ㅣ ‘ㅣ’모음 이외의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 부텨+ㅣ→부톄, 始祖ㅣ -이 자음으로 끝난 체언 뒤 사+이→ 사미, 夫人이

ø ‘ㅣ’(i, y)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 리+ㅣ→ 리, 불휘ø 기픈

■ 체언 말음이 평성일 때 주격조사가 오면 평성이 상성으로 변함

󰄤 부텨(평성+평성)+ ·ㅣ(거성) → 부:톄(평성+상성)

체언과 조사의 특징

(6)

1) 주격 조사

■ ‘-가’는 16세기 후반에 보이기 시작하나 본격적인 쓰임은 17세기부터임

󰄤 두드럭이가 불의예 도라 브어 오르니<仁宣王后御筆>(1550년경)

가 세 니러셔<松江慈堂內簡>(1572년생)

2) 보격 조사와 서술격 조사

■ 주격 조사와 형태나 출현 환경이 동일함

󰄤 仙人이 외더라<월인석보 2:24>

世尊ㅅ 다시 아니시다다<법화경언해 2:5>

樓는 다라기라<석보상절 6:1>

체언과 조사의 특징

(7)

형태 환경 보기 -/을 자음 뒤 나라ㅎ+, 法+을 -/를 모음 뒤 나+, 부텨+를

-ㄹ 모음 뒤(수의적) 하나비+ㄹ → 하나빌

3) 목적격조사

■ ‘-/을, -/를’ 의 교체는 앞 음절과의 모음조화에 따라 결정됨

체언과 조사의 특징

(8)

4) 관형격/속격 조사

■ ‘-, -의’ 의 교체는 앞 음절과의 모음조화에 따라 결정됨

형태 환 경 보 기

-ㅅ 무정명사, 유정물 존칭 뒤 나랏 말, 부텻 功德

-/의 유정물 평칭 뒤 象 香, 거부븨(거붑+의) 터리 -ㅣ 어기의 말음절이 모음으로

끝날 때(주어적 속격) 鴛鴦夫人이 長者ㅣ 지븨 이셔

체언과 조사의 특징

(9)

4) 관형격/속격 조사

■ ‘ㅅ’은 사잇소리로도 쓰였음

󰄤 ᄇᆡᆺ곶(梨花), 혀쏘리(혀소리)

■ ‘ㅣ’로 끝난 명사에 관형격 조사가 붙으면 ‘ㅣ’모음이 탈락됨

󰄤 아비+ → 아, 어미+의 → 어믜

체언과 조사의 특징

(10)

형 태 환 경 보 기

-애 양성모음 뒤 바래 가니(바다에 가니) -에 음성모음 뒤 굴허(구렁에, 구덩이에) -예 ‘ㅣ’모음 뒤 예(배에)

- 특수 체언 뒤 앒(前), 낮(畫), 봄(春), 밤(夜), 밭(田), 곶(花), 나모(木), 아(朝), (席) -의 특수 체언 뒤 집(家), 곁(傍), 녁(側), 적(時), (外),

밑(下), 구므(穴), (時)

5) 부사격조사

(1) 처격 조사

체언과 조사의 특징

(11)

5) 부사격조사

(2) 도구/자격/원인/변성/향진격 조사

형 태 환 경 보 기

-로 양성모음 뒤 제 나라로 갈 쩌긔<석보상절 6:22>

-으로 음성모음 뒤 신통력으로 라 올아<월인석보 6:3>

-로 모음과 ‘ㄹ’ 로

끝나는 체언 뒤 로 변며<능엄경언해 2:7>

체언과 조사의 특징

(12)

5) 부사격조사

(3) 동반/비교격 조사

형 태 환 경 보 기

-와 모음과 ‘ㄹ’ 로

끝나는 체언 뒤 請드른 다대와 노니샤<용비어천가 52>

-과 자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

사과  잇더시니<석보상절 13:1>

남과 <석보상절 6:19>

체언과 조사의 특징

(13)

5) 호격 조사

형태 환 경 보 기

-하 존칭 대상이나 천체물 님금하, 하 -아/야 일반명사 뒤 彌勒아, 長者야

-(이)여 감탄의 의미 觀世音이여, 究羅帝여

체언과 조사의 특징

(14)

6) 접속 조사

■ ‘-와/과, -고, -이며, -이여’ 등

󰄤 나모와 곶과 果實와 <석보상절 6:40>

목수미 열고 닐웨 기터 겨샷다<월인석보 2:13>

가시며 子息이며 이며<석보상절 6:5>

산이여 히여 千里 外修예 處容 아비<처용가>

■ ‘와/과’는 맨 뒤에 오는 체언에도 연결되었음(= 집단곡용)

체언과 조사의 특징

(15)

7) 보조사

(1) ‘대조’: ‘-/은, -/는’, ‘- 란/으란/란’

(2) ‘역시’: ‘-도’

(3) ‘단독’: ‘-만, -’

(4) ‘비교’: -두고, -(이)라와‘

(5) ‘출발’과 ‘도착: ‘-브터’, ‘-자ᇰ’

(6) ‘강세’, ‘강조’: ‘-, -곳/옷, -곰/옴’, ‘-잇’ 등 (7) ‘선택’: ‘-이나, -이어나’

(8) ‘의문’: ‘-가/아’

■ 모음과 ‘ㄹ’ 뒤에서는 ‘-아’, 자음 뒤에서는 ‘-가’가 쓰임

󰄤 賞가 罰아

체언과 조사의 특징

(16)

1. ‘ㅎ’종성체언

■ 단독형으로 쓰일 때와 달리 조사와 결합할 때는 ‘ㅎ’이 나타남

󰄤 돌ㅎ(石) : 돌(단독형), 돌히(돌이), 돌콰(돌과), 돌토(돌도)

■ ‘ㅎ’종성체언의 예

(1) 모음으로 끝나는 것: 고ㅎ, 그르ㅎ, 나ㅎ, 나라ㅎ, 나조ㅎ, 내ㅎ, 네ㅎ, 노ㅎ, 니마ㅎ, ㅎ, 뒤ㅎ, 드르ㅎ, ㅎ, 바다ㅎ, 세ㅎ, 수ㅎ, 우ㅎ 등 43개 (2) 받침 ‘ㄹ’로 끝나는 것: 갈ㅎ, ㅎ, ㅎ, ㅎ, 겨ㅎ, 길ㅎ, ㅎ,

ㅎ, 돌ㅎ, 둘ㅎ, ㅎ, ㅎ, 스믈ㅎ, 열ㅎ, ㅎ, 하ㅎ 등 35개

(3) 받침 ‘ㅁ, ㄴ, ㆁ’으로 끝나는 것: ‘암ㅎ, 움ㅎ, 긴ㅎ, 안ㅎ, 언ㅎ, 샤ᇰㅎ’ 등 8개

체언의 특수 곡용

(17)

2. ‘ㄱ’ 곡용

■ 모음 조사 앞에서 체언의 끝 모음이 탈락하고 ‘ㄱ’이 첨가되는 현상

단독형 주격 목적격 부사격 (처소)

부사격 (도구, 방향)

부사격

/접속 서술격 보조사 (대조)

보조사 (역시)

나모 남기 남 남 남로 나모와 남기라 남 나모도

구무 굼기 굼글 굼긔 구무와 굼기라 구무도

불무 붊기 붊글 붊긔 불무와 붊기라

녀느 년기 년글 녀느와

체언의 특수 곡용

(18)

2. ‘ㄱ’ 곡용

단독형 주격 목적격 부사격 (처소)

부사격 (도구, 방향)

부사격

/접속 서술격 보조사 (대조)

보조사 (역시) 나모 남기 남 남 남로 나모와 남기라 남 나모도

구무 굼기 굼글 굼긔 구무와 굼기라 구무도

불무 붊기 붊글 붊긔 불무와 붊기라

녀느 년기 년글 녀느와

■ 부사격조사(접속, 공동, 비교)가 예외처럼 보이나 ‘와’는 ‘과’의 [k]음의 흔적이 남아 있는 자음을 가진 것

체언의 특수 곡용

(19)

3. ‘/르’ 특수 곡용

■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 체언 모음 ‘/’가 탈락하고 ‘ㄹ’이 앞 음절의 종성이 됨

단독형 주격 목적격 부사격

(처소) 접속 서술격 보조사 (대조)

보조사 (동일)

노 놀이 놀 노와 놀이라 노도

 이  이라 도

 이   도

시르 실을 실의 시르와 시르도

체언의 특수 곡용

(20)

3. ‘/르’ 특수 곡용

■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 체언 모음 ‘/’가 탈락하고

‘ㄹ’이 덧생김

단독형 주격 목적격 부사격 (처소)

부사격 (접속)

보조사

(대조) 서술격 보조사 (역시)

 리 와  리라 도

 리  와  도

체언의 특수 곡용

(21)

4. ‘/’ 특수 곡용

■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 체언 모음 ‘/’가 탈락하고 ‘ㅿ’가 앞 음절의 받침이 됨

단 독 형 주 격 목 적 격 관 형 격 서 술 격 부 사 격

아 이   이라 와

여 여ᇫ이 여ᇫ이 여ᇫ이라 여와

체언의 특수 곡용

(22)

5. ‘ㄱ, /르, /’ 곡용의 공통점

(1) 교체 조건과 방법이 유사함

(2) 단독형들이 모두 2음절이며 제2음절의 공명음으로 이루어짐 (3) 어기의 성조가 모두 평성임

■ ‘·, :아모, :유무, 어·느’ 등은 형태 면에서는 동일하지만 평성의 성조가 아니기 때문에 모음 곡용만을 가짐

체언의 특수 곡용

(23)

▪ 중세 한국어와 현대 한국어의 격조사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 보라.

모둠 과제

참조

관련 문서

중세 한국어의 선어말 어미와 어말 어미의 개괄적 특징을 이해할

중세 한국어의 자모 체계와 음운 현상을 이해할

고대 한국어 문법의 면모를 이해할 수 있다 ... 고대 한국어의 문법이라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 ▪ 현대 한국어와 고대 한국어 격조사의

1) 고구려어 어휘는 중세 한국어와 대응되는 예가 적고 신라어와 백제어의 어휘가 대부분 중세

약국은 당초 수집 목적과 합리적으로 관련된 범위에서 정보주체에게 불이익이 발생하는지 여부,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등을

(Taekwondo, Weight Lifting Players) (90 min × 6 days/week) Warming

스마트폰 셀카 렌즈를 이용할 때의 차이점에 대해 모둠별로 토의하고 셀카 렌즈의 구조와 빛의 경로 를 그려보자.. 스마트폰 망원 렌즈를 이용할 때의 차이점에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