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세 한국어의 표기 체계 강의 주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중세 한국어의 표기 체계 강의 주제"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중세 한국어의 표기 체계 강의 주제

학습목표

훈민정음의 서법 및 중세 한국어의 표기법의 유형과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

(2)

1. 訓民正音의 書法

1) 竝書(並書)法 = 쓰기:

󰠆󰠏 各自竝書: ㄲ, ㄸ, ㅃ, ㅉ, ㅆ, ㆅ[本文] ㆀ, ㅥ[기타]

󰠌󰠏 合用竝書: ㅼ, ㅶ, ㅴ, ㅵ, ㄺ...[合字解]

2) 連書法 = 니쓰기:

󰠆󰠏 脣輕音 : ㅸ, ㆄ, ㅹ, ㅱ[제자해]

󰠌󰠏 半舌輕音: ᄛ[본문]

■ ㅸ(순수 국어에 사용) / ㆄ, ㅹ, ㅱ(동국정운식 한자음에 사용)

(3)

1. 訓民正音의 書法

3) 附書法 = 브텨쓰기:

■ 上下 ㆍ, ㅡ, ㅗ, ㅜ, ㅛ, ㅠ 附書初聲之下 [본문]

■ 左右 ㅣ, ㅏ, ㅓ, ㅑ, ㅕ 附書於右[본문]

4) 合用法

󰠆󰠏 ① ㅘ, ㅝ, ㆇ, ㆊ, ㆎ, ㅢ, ㅚ, ㅐ, ㅟ…… [중성해]

󰠆󰠏 自左而右󰠌󰠏 ② ㅏ, ㅓ, ㅑ, ㅕ…… [제자해]

󰠌󰠏 自上而下 - ᅟᆝ, ᅟᆜ 예: ,  [합자해] → 實例를 찾을 수 없음

(4)

1. 訓民正音의 書法

5) 成音法: 凡字必合而成音(例義)

■ 초성+중성+종성 ⇒ 성음;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에 사용

6) 終聲法

(1) 終聲復用初聲[예의]:

■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에 주로 나타남.

■ 형태소적 표기 = 표의적 표기

(5)

1. 訓民正音의 書法

6) 終聲法

(2) 8종성법: ㄱㆁㄷㄴㅂㅁㅅㄹ八字可足也[종성해]

■ 종성의 대표음화 반영

ㄱ,ㅋ→ㄱ/ㄷ,ㅌ,ㅎ→ㄷ/ㅂ,ㅍ→ㅂ/ㅅ,ㅈ,ㅊ→ㅅ

■ 당시의 표면음성에 충실한 음소중심적 표기 = 표음적 표기

(6)

2. 표기법의 유형과 특징

표기 방법 연 철 중 철 분 철

사용 시기 15~16C 16~19C 16C~

표기 특징 표음적 표기 과도기적 표기 표의적 표기

용 례

ᄉᆡᆷ+이

밥+을 미

바블 미

밥블 이

밥을 높+깊+은 노

기픈 놉

깁픈 높

깊은

(7)

2. 표기법의 유형과 특징

■ ≪월인천강지곡≫(1447)에서 ‘눈에, 몸이, 알아, 담아’ 등 분철이 나타나나, ‘ㄴ, ㅁ, ㄹ’의 유성자음인 경우에 한정되어 있었고, 문헌상으로 분철이 두드러지게 등장하는 것은 16세기부터임

■ 16세기 초부터 중철과 분철이 함께 나타나다가 이후의 문헌 에서는 분철이 중철이나 연철보다 우세하게 됨

(8)

3. 四聲法[傍點法]

구분 방점 소리의 성질 용례

평성

(平聲) 없음 처음과 끝이 낮은 소리

(가 소리) 활(弓), 쇼(牛) 거성

(去聲) 1점 처음과 끝이 높은 소리

(노 소리) ·갈(刀), ·(舟) 상성

(上聲) 2점 처음이 낮고 나중이 높은 소리

(처미 갑고 내즁이 노 소리) :돌(石), :눈(雪) 입성

(入聲)

모두 포함

빨리 끊는 소리(리 긋 소리)

ㄱ, ㄷ, ㅂ, ㅅ 긷(柱), ·입(口), :깁(繒)

(9)

3. 四聲法[傍點法]

1) 중세 한국어의 성조는 低調의 평성과 高調의 거성의 두 성조체계로 음의 고저를 나타냄

󰄤 막다·히<월석 7:6>, 막:대<두시 6:42>

2) 소멸 시기는?

(10)

4.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1) 중국 원음에 가까운 이상적 표기: (예) 萬(만) → 먼 2) 성음법(成音法) 표기: (예) 世솅, 斗, 日

3) 이영보래(以影補來): ‘ㄹ’ 받침 한자음은 반드시 ‘ᇙ’으로 표기:

(예)月, 日

4)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 ≪훈민정음 언해≫, ≪월인석보≫

등에만 보이며, 성종대에 이르러 일부 불경 언해에만 사용되다가 폐기됨

참조

관련 문서

후대에 제작된 진흙판은 수메르인의 사회구조를 알려준다... And light

*대표적 곡 Wien bleibt Wien(빈은 언제나 빈이리라) James Last, 한국 중학생들 기타 합주 버전 참조... 베니스가 자리한 북동부지방 : 합창음악이 사랑받고, 비 발디가 활동했던

성된 문장은 현대 문장과는 현격하게 다른 이른바 문장의 전근대성을 띠는 문체로 나타난 , 다 그리고 이러한 전근대성은 후에 문장의 현대성 획득을 위해 탈피해야 할 요인이 된 것이..

셋째, 신앙적 전설mythic, religious legend은 민간신앙을

이것은 건국신화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신화에서

[r]

곧 쇠잔해가는 향가에 미련을 남기면서 새로운 시가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