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옛이야기의 전승과 변이를 이해할 수 있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옛이야기의 전승과 변이를 이해할 수 있다"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강좌제목: 옛이야기의 세계 담당교수: 최원오

강좌연도: 2012년도 1학기 강좌차시: 2주차

강의내용: 옛이야기의 일반적 특성, 분류, 전승과 변이 강의목표

1. 옛이야기의 일반적 특성(문학일반론, 구비문학론)을 이해할 수 있다.

2. 옛이야기의 분류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3. 옛이야기의 전승과 변이를 이해할 수 있다.

---

0. 이야기의 정의

1) 광의 개념과 협의 개념

광의 개념: 설화, 서사시, 소설, 극까지를 포괄하는 서사 전반을 지칭 협의 개념: 구비(口碑) 서사(敍事) 산문(散文) 문학(文學)

2) 구비문학에서의 이야기: 협의 개념에 해당함

-이야기는 구비문학에서 학술적으로 다루는 대상으로, 구전설화라고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 임

-이야기는 설화(說話), 고담(古談), 민담(民譚), 민화(民話) 등 많은 학술명칭이 있다.

<용어 정리>

* 구비: 문자로 창작된 기록문학이 아니고 말로 이루어져 전승된다는 것

* 서사/산문: 노래로 불리는 시가문학과 달리 율격이나 기타 음악성과 관련 없는 말로 이루 어졌다는 것

* 문학: 예술적 가치가 있는 언어라는 의미와 허구로 지어진 언어구조물이란 것

1. 문학일반론에서의 옛이야기의 일반적 특성

1) 구비문학적 특성(구비문학과 기록문학의 대비를 통한 설명)

구비문학 기록 창작 문학 1.말로 이루어짐 문자로 이루어짐 2.구연됨(방송) 기록됨(인쇄 출판) 3.전승됨(유동성) 서책으로 보존 (고착성) 4.단순함 복잡함

5.전승 집단의 단체성(보편성) 작가의 개인적 배경(특수성) 6.대중성 통속성 작가의 개인적 감수성(개성) 7.민족적(언어공동체) 작가의 개성

(2)

2) 서사문학적 특성(문학갈래론을 통한 설명)

서정 → 정적 대상(정서 관념 풍경)을 표현 교술 → 정적 대상(정서 관념 풍경)을 전달 서사 → 동적대상(인물 대화 사건)을 전달 표현 극 → 동적대상(인물 대화 사건)을 표현

정적 대상

(지식, 관념, 정서, 풍경) │

교술 │ 서정 (수필) │ (시) │

전달 ━━━━━━│━━━━━━ 표현

│ │

서사 │ 극 (소설) │ (희곡)

동적 대상 (인물, 사건, 대화)

3) 산문이라는 특성

구연 시 음악성을 고려하지 않음.

* 운문신화는 설화에서 제외되어야 하는가?

4) 문학이라는 특성

문학은 허구성, 흥미성(문학성)을 근간으로 함

이야기 흥미의 구성요소

경쟁 투쟁의 사연; 승부담(이기고 지기) 이성간의 사랑 사연; 애정담(사랑이야기) 잘되고 못되는 사연; 치부담, 출세담 알고 모르는 사연; 지략담

이해(체험 지식) → 화자의 적절한 설명이 더해지면서 문학이 형성됨

2. 구비문학론에서의 옛이야기의 일반적 특성

①꾸며낸 이야기

②말로 구전됨(이야기의 구조에 힘입어 구전이 가능해짐)

③산문성

(3)

④구연 기회에는 대체로 제한이 없음

⑤화자와 청자의 관계에서 화자가 청자를 대면해서 청자의 반응을 의식하면서 구연됨

⑥문자로 기재될 수 있는 기회를 가장 흔히 가짐

⑦설화를 정착시켜 기록문학적 복잡성을 가미하면 소설이 됨

3. 옛이야기의 분류

1) 옛이야기(설화) 3분법: 신화, 전설, 민담

신화 전설 민담

①전승자 태도 신성하다고 인식 진실하다고 인식 거짓말이라고 인식

②작중시간 태초 구체적 역사적 시간 과거(옛날 옛적)

③작중공간 신성공간(聖山) 현실적 지리적 공간 어느 한 곳

④증거물 보편적 실체 구체적 사물 없음 (천체, 국가) (암석, 樹木, 池沼)

⑤주인공 신으로 좌정 유능한 인물 보통사람

⑥행위 신이 지닌 능력 인간과 인간, 운명개척적

발휘 인간과 사물  

사이에서 일어나는 예기치 않던 관계(왜소)

⑦미적범주 숭고미 비장미 골계미

⑧전승범위 국가, 민족 증거물의 인지범위 제한 없음

2) 옛이야기(설화) 2분법

내용의 진실성을 기준으로 ①진실한 이야기 ②진실하지 않은 이야기 이야기 형식을 기준으로 ①형식담(형식에 초점○) ②비형식담(형식에 초점×) 공연을 기준으로 ①공연이야기(만담) ②비공연 이야기

*형식담의 종류

형식담은 사건 구성(plot)에 흥미의 핵심이 있는 것이 아니고 말하는 형식에 흥미가 있는 이야기들을 말함

①어희적 성격을 갖는 형식담: <옛날 옛적>, <꼬부랑할머니>

<옛날 옛적>: 옛날 옛적 고렛적 떠거머리 총각 적 제치 서방님 적 까비 되렌님 적

<꼬부랑할머니> : 꼬부랑 할므니가 꼬부랑 지팽이를 짚고 꼬부랑 질을 가다가 꼬부랑 나무 에 올라가스 꼬부랑 똥을 누니께 꼬부랑 가이가 와스 꼬부랑 똥을 믁으스 꼬부랑 할므니가 꼬부랑 지팽이로 꼬부랑 가이를 때리니께 꼬부랑 가이는 꼬부랑 깽깽 꼬부랑 깽깽 하고 도 망갔다.

②반복 형식담: <쥐의 도강>, <이야기 속의 이야기>

(4)

<쥐의 도강>: 중국에 말입니다. 그 느른 중국땅에 숭년이 들으 믁을 긋이 읎으지게 되니게 중국 땅에 살든 쥐가 말입니다. 수수윽만 마리으 쥐가 믁을 긋을 찾으스 우리 조슨으로 건 느오니라고 압록강을 근늡니다. 한 마리가 압록강에 땀봉 뛰으들으갑니다. 또 한 마리가 아 롭강에 땀븡 뛰으 들으갑니다. … (이하 계속 반복)

<이야기 속의 이야기>: 옛날 어느 산 속에 도둑 열두 명이 모닥불을 피워놓고 둘러 앉아 있었다. 그 중 한 도둑이 일어나서 우리 심심한데 옛날이야기나 하자고 하였다. 그리고 그 도둑이 이야기를 시작하였다. 옛날 어느 산 속에서 도둑 열두 명이 모닥불을 피워놓고 둘러 앉아 있었다. 그 중 한 도둑이 일어나서 우리 심심한데 이야기나 하자고 하였다.… (이하 계 속 반복)

③회귀적 형식담: <두더지 혼인>

④모방 형식담: <도깨비 방망이>

⑤누적 형식담: <세끼서발>

<새끼서발>: 새끼 서발동이와 바꿈→쌀 한말→딸의 시신을 대신 묻어주겠다고 함→부잣집 딸이 우물에 물을 길러 왔다가 시신을 보고 작대기로 쳐서 우물에 빠트림→남의 색시를 우 물에 빠뜨렸다고 떼를 쓰자 부잣집에서 딸을 줌→장사꾼과 수수께끼 내기를 함→새끼 서발, 동이 하나, 쌀 한 말, 죽은 처녀와 살아 있는 처녀가 무엇이냐고 물음

3) 단위담에 따른 분류

단위담은 주체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움직여서 그 목적을 달성하는데 성공하거나 실패하여 이야기로서 완결된 의미를 담아내는 서사의 기본단위이다.

예) <우렁각시>: 결연담 +분리담+ 재결합담의 구조 결연담: 총각이 우렁각시와 결혼하는 사연

분리담: 우렁각시를 원님에게 빼앗기는 사연

재결합담: 총각이 우렁각시를 되찾거나 되찾는데 실패하는 사연 요컨대, <우렁각시>는 3개의 단위담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 <아지담(兒智譚)>류의 설화: 문제(요구)+답(문제해결)의 구조

①중국에서 구궁주에 실끈을 꿰어내라고 한다(문제제기)

②아이가 지혜를 내어 꿀물을 구슬 구멍에 넣고 개미허리에 실을 매어 개미가 구멍을 통 과하게 하여 끈을 꿰어낸다.(문제해결)

①원님이 이방에게 겨울에 딸기를 따오라고 한다.(문제제기)

②이방의 아들이 원님에게 산에서 아버지가 뱀에 물렸다고 한다.

③원님이 겨울에 뱀이 어디 있느냐고 한다.

④아이가 겨울에 딸기가 어디 있느냐고 한다.(문제해결)

* 단위담의 요소

1.주체; 초인, 범인(보통사람), 치인(바보)

2.움직임의 목표(의도); 생계, 종족보존, 안전, 놀이

(5)

3.수단; 정신, 육체 4.결말; 성공, 실패

이상 4가지 요소의 결합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 단위담의 유형중 범인(보통사람)을 주체로 한 설정 가능한 서사유형

01.범인이 생계를 위하여 꾀를 내어 성공했다 . 02.범인이 생계를 위하여 꾀를 부렸는데 실패했다.

03.범인이 생계를 위하여 힘을 써서 구하였다.

04.범인이 생계를 위하여 힘을 썼으나 얻지 못하였다.

05.범인이 결혼을 하려고 꾀를 내어 결혼을 하였다.

06.범인이 결혼을 하려고 꾀를 부렸으나 실패하였다 07.범인이 결혼을 하려고 힘을 써서 성공하였다 08.범인이 결혼을 하려고 힘을 썼으나 실패하였다.

09.범인이 위험을 피하려고 꾀를 내어 성공했다.

10.범인이 위험을 피하려고 꾀를 내었으나 실패하였다.

11.범인이 위험을 피하려고 힘을 사용하여 성공하였다.

12.범인이 위험을 피하려고 힘을 썼으나 실패하였다.

13.범인이 놀거리를 만들려고 꾀를 내어 성공했다.

14.범인이 놀거리를 만들려고. 꾀를 내었으나 실패하였다..

15.범인이 놀거리를 만들려고 힘을 써서 성공했다.

16.범인이 놀거리를 만들려고 힘을 썼으나 실패했다.

(참조: 서대석, 『이야기의 의미와 해석』, 세창출판사, 2011, 57면.)

4. 이야기의 전승과 변이 1) 이야기의 기원

①체험에서 나온 이야기; 극한의 체험 ,역사적 사건

②상상에서 나온 이야기; 꿈 이야기, 지어낸 이야기

2) 이야기의 흥미

①화리(話理)를 갖추고 있어야 할 것; 사리(事理), 도리(道理), 정리(情理) 사회 정의(社 會正義), 윤리(倫理)에 부합할 것

②이해가 되어야 할 것

③승부나 성패 등 곡절이 있어야 할 것

3) 이야기의 전승과정 T1

1. 갑(구연)--->을(기억) T2

2. 을(구연)--->병(기억)

(6)

T3

3. 병(구연)--->정(기억) T4

4. 정(구연)--->무(기억) |

| TN

N. (구연)--->채록자(정리 기록)

갑, 을, 병, 정 등은 전승자 또는 운반자(Bearers) T--- 유형(Type)

T1, T2, T3, T4 TN--> 각편들(Versions)

4) 옛이야기의 변이 요인

①구연자의 성격, 관심, 상태

②청자의 성격(성별, 나이, 가치관 기타)

③전승집단의 성격(환경, 산업, 문화)

④기억과 재생(망각, 보충)

---

<참고문헌>

장덕순․조동일․서대석․조희웅, 『한글개정판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2006.

서대석, 『이야기의 의미와 해석』, 세창출판사, 2011.

---

내용정리 및 퀴즈

<내용정리>

1. 옛이야기는 구비(口碑) 서사(敍事) 산문(散文) 문학(文學)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2. 옛이야기는 일반적으로 신화, 전설, 민담으로 분류되며, 이들은 전승자의 태도, 작중시간, 작중공간, 증거물, 주인공, 주인공의 행위, 미적범주, 전승범위 등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3. 이야기의 흥미성은 다음의 조건을 필요로 한다 ①화리(話理)를 갖추고 있어야 할 것 사 리(事理), 도리(道理), 정리(情理) 사회 정의(社會正義), 윤리(倫理)에 부합할 것, ②이해가 되어야 할 것, ③승부나 성패 등 곡절이 있어야 할 것

<퀴즈>

(7)

1. 이야기란 무엇인가?

이야기는 재미와 아름다움을 추구하여 지어낸 언어이다.

2. 구비운문(노래)과 구비산문(이야기)은 전승과정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

(1)이야기를 노래로 부르려면 일정한 율격이 나타나는데 율격을 맞추려면 사설을 완벽하게 암기하여야 한다. 그에 반해 이야기는 이해되어 기억된 서사구조를 바탕으로 구연자의 언어 로 구연 시에 텍스트를 재조직한다. (2)노래는 암기와 재생으로 전파가 된다. 그에 반해 이 야기는 구조에 대한 이해와 이해되어 기억한 구조를 근거로 텍스트를 재조직하는 과정을 거 친다.

참조

관련 문서

1. 이렇게 본다면 한 사회의 규제의 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게 되고 정부규제는 이러한 규제 양상의 하나 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예외라면 정말 한국인이 없는 지역 (그런 지역에 한국인이 다닐만한 어학원이 있 을지도 의문이지만)에 가서 철저하게 영어로만 서바이벌을 하기로 한다든지, 원어민

표현을 이용하면 어떤 지식이든 어떤 수준의 학습자라도 이해할 수 있도록 적절한 형태로 제시할 수 있습니다.. 박 교사 : 저는 지식의 표현 방법도 중요하지만 그 지식의

디지털 연산의 결과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 장 치가

중세 한국어의 선어말 어미와 어말 어미의 개괄적 특징을 이해할

모바일 시대 소비자의 생각과 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리서치 솔루션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오픈서베이 설문 플랫폼을 직접 활용하여

모바일 시대 소비자의 생각과 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리서치 솔루션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오픈서베이 설문 플랫폼을 직접 활용하여

1) 연구의 주 목적이 표본에서 얻어짂 통계치로 모집단의 모 수치를 일반화하는데 있지 않고 계층갂의 상호비교인 경우 집단갂 비교를 위해서는 일정 비율 이상의 표본을 뽑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