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어의 품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국어의 품사"

Copied!
3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7주차.

한국어 단어구조(2):

단어의 구조와 품사 분류

(2)

품사란 어휘범주(word classes)들이 갖는 문법적 성질과 해당 언어의 문법적 특성에 따라 분류한 것(허용·김선정 2013).

2 1 한국어의 품사 1) 품사의 개념

(1) 명사(noun) (2) 대명사(pronoun) (3)수사(numeral) (4) 동사(verb) (5) 형용사(adjective) (6) 부사(adverb) (7) 감탄사(interjection) (8) 부치사(adposition) (9) 관형사(prenoun) (10)접속사(conjunction) (11)계사(copula) (12)분류사(classifier) (13)관사(article) (14)조동사

(auxiliary verb)

(15)격표지

(case marker) (16)흉내말

(ideophones)

(17)존재사

(existential marker)

(18)서법표지

(mood marker)

※ 어휘범주: 단어들을 그것이 가진 고유한 성격에 따라 집합적으로 분류한 것.

(3)

 단어의 문법적 성격(① 형식/형태적 특성 ② 기능/직능 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필요에 따라 의미적 특성이 추 가적 기준으로 작용.

❶ 에 따른 분류

가변어: 문장 안에서 형태가 변하는 단어

‘-어라/아라, -자, --는다/ㄴ다, -는, -느냐’ 등의 어미와 결합 가능

‘-어라/아라, -자, --는다/ㄴ다, -는, -느냐’ 등의 어미와 결합 불가능

불변어: 문장 안에서 형태가 변하지 않는 단어

2 1 한국어의 품사

2) 품사의 분류 기준과 한국어 품사

(4)

❷ 에 따른 분류(주로 불변어 분류를 위한 기준) 체언: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등 뼈대 노릇을 하는 단어 ( )

용언: 문장에서 주체를 서술하는 단어( ) 수식언: 다른 말을 꾸미는 단어

체언 수식 ➜ 용언 수식 ➜

독립언: 기능면에서 다른 문장성분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지 않는 단어( )

관계언: 자립성이 있는 말 뒤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단어( )

2 1 한국어의 품사

2) 품사의 분류 기준과 한국어 품사

(5)

에 따른 분류(추가적 분류) 체언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 ➜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대신 나타내는 단어 ➜

사람이나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단어 ➜

2 1 한국어의 품사

2) 품사의 분류 기준과 한국어 품사

(6)

2 1 한국어의 품사

2) 품사의 분류 기준과 한국어 품사

단어

불변어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수식언 관형사, 부사

독립언 감탄사

관계언 조사

가변어 용언 동사, (형용사)

(7)

생각해 봅시다 (6)

학교문법에서는 체언으로 ‘명사, 대명사, 수사’의

세 가지를 들고 있지만, 학자들 중에는 대명사와 수

사를 독립된 품사로 인정하지 않고 명사의 하위 부

류로 보기도 한다. 그러한 근거가 무엇인지 알아보

자(참고문헌: 이익섭, <국어학개설>).

(8)

명사

① 개념: 조사를 취하고 관형어의 수식을 받으며 사물 의 명칭을 나타냄

② 분류와 특징

가. 보통명사 vs. 고유명사

고유명사: 관형어와의 결합에 제약 예) 어느 산, 여러 사람들, 사람 셋이

*어느 백두산, *여러 이순신들, *이순신 셋이

2 1 한국어의 품사

3) 한국어 품사별 특징

(9)

명사

② 분류와 특징

나. 자립명사 vs. 의존명사 의존명사

a) 의미상 추상적(예: 사과 vs. 것) b) 문장에 단독으로 쓰일 수 없음 c) 제약

(1) 문장의 처음에 올 수 없다.

(2) 대체로 제한된 격조사와만 결합(*...줄이 없다, *...따름을...) (3) 용언의 관형사형의 제약

예: 그 애가 이 일을 {알, *아는, *안, *알던} 턱이 없지.

(4) 서술어 제약

예: 그 애가 선생님 말씀을 거역할 리가 {있다, 없다}.

2 1 한국어의 품사

3) 한국어 품사별 특징

(10)

명사

② 분류와 특징

다. 단위성 의존명사(= 분류사):

사람, 상자, 뿌리; 권, 마리, 송이, 그루, 장 등 라. 위치 명사가 발달:

‘위, 아래, 앞, 뒤, 옆, 밖’ 등 인도유럽어: 전치사-명사 예) on the table

한국어: 명사-(의) 위치명사-후치사(에, 에서, 로) 예) 탁자-(의) 위-에

2 1 한국어의 품사

3) 한국어 품사별 특징

(11)

명사

③ 격변화가 존재하지 않음 ④ 문법성이 존재하지 않음

⑤ 단수‧복수 구분을 위한 표지가 엄격히 요구되지 않음 : 우리(들)

⑥ 명사의 문법성과 수에 따른 관형사나 서술어의 일치 현 상이 존재하지 않음

프랑스어: le garçon(masc.) vs. la fille(fem.), le garçon(sg.) vs. les garçons(pl.)

영어: My friend is in Korea./My friends are in Korea.

한국어: 새 옷/새 옷들,

그 사람이 학교에 간다./그 사람들이 학교에 간다.

2 1 한국어의 품사

3) 한국어 품사별 특징

(12)

대명사

① 명사 대체 기능(문법적으로 명사와 다른 특성은 없다.). 명 사, 수사와 함께 체언 기능.

② 한국어는 대명사의 사용이 제한된 언어, 대명사가가 발달하 지 않은 언어.

‘나, 너, 우리’ 등 1, 2인칭의 평칭을 제외하고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예) 우리 아버지는 강원도에서 태어나셨습니다. 그(?)/우리 아버지 는 어려서 이곳 제주도로 이사를 와서....

3인칭 대명사가 없다.

그/그녀 → ‘그 + (의존)명사’ 구성(그 사람, 그 남자/여자, 그 분)

2인칭 높임대명사인 ‘당신’의 사용 제한

2 1 한국어의 품사

3) 한국어 품사별 특징

다음 중에서 구어체와 문어체 모두에 사용되는 대명사는 어느 것인가?

이애, 저애, 이분, 저분, 그분, 얘, 걔, 그이, 그, 그녀

(13)

대명사

③ 관계대명사 없음

④ 의문대명사와 부정대명사의 형태가 같음:

강세와 억양으로 구별

예) 의문대명사: 너 어제 누구(강세) 만났니?(↘) 부정대명사: 너 어제 누구 만났니(강세)?(↗) ⑤ 재귀대명사: 3인칭에만 사용

예) 나는 내 이름도 못 쓴다. vs. 철수는 자기 이름도 못 쓴다.

나는 나도 모르게 소리를 질렀다.(대명사) vs. 철수는 저도 모르게 소리를 질렀다.

할머니는 당신께서 살아계실 때...

2 1 한국어의 품사

3) 한국어 품사별 특징

(14)

동사

① 서술어로 기능. 형용사와 함께 용언.

② 어간과 어미로 구성

③ 화계(높임법)의 문법화: 화자/청자의 관계, 화자의 주관성 등이 어미를 통해 구현됨

④ 본용언 뒤에 다양한 의미의 보조용언의 사용

2 1 한국어의 품사

3) 한국어 품사별 특징

(15)

동사

(보조용언의 예, 구본관 2005: 92)

2 1 한국어의 품사

3) 한국어 품사별 특징

의미기능 형태

진행 -아/어 가다, -고 있다

종결 -고 나다, -아/어 내다, -아/어 버리다 봉사 -아/어 주다, -아/어 드리다

시행 -아/어 보다

보유 -아/어 두다, -아/어 놓다 사동 -게 하다, -게 만들다 피동 -아/어지다, -게 되다

부정 -지 아니하다(않다), -지 말다 강세 -아/어 대다

짐작 -아/어 보이다 당위 -아/어야 한다 시인 -기는 하다

(16)

형용사

① 범주가 명확히 존재 (cf 몽골어 : 동일한 어휘가 명사 또는 형 용사로도 기능함)

② 목록이 개방되어 있음

③ 형용사와 동사가 유사한 속성을 보임 (cf 인구어, 알타이어 : 형용사와 명사)

계사-형용사구문이 존재하지 않음

동사처럼 형용사도 활용을 함. 단, 명령형, 청유형, 현재시제어미 불가 (예: *즐거워라, *즐겁자, *즐겁는다)

많은 형용사가 동사와 동형어 관계에 놓임 : 쓰다, 달다, 차다

2 1 한국어의 품사

3) 한국어 품사별 특징

(17)

형용사

③ 형용사와 동사가 유사한 속성을 보임

한 어휘가 형용사적 의미와 동사적 의미를 지니는 다의어로서 존재 : 밝다, 늦다.

불완전동사와 같이 불완전형용사들도 존재 : 약아 빠지다 (과거형으로만 쓰임)

동일한 내용을 동사 또는 형용사로 나타낼 수 있음 : 모자라다(동사)=부족하다(형용사)

형용사·동사언어 유형:

형용사, 동사가 형태·통사론적으로 유사한 언어

(cf. 형용사·명사 언어 유형: 라틴어, 불어, 몽골어, 터키어)

2 1 한국어의 품사

3) 한국어 품사별 특징

이런 이유로 형용사를 동사의 하위부류인 ‘상태 동사’로 분류하기도 함

(18)

생각해 봅시다 (7)

다음을 보고 한국어 형용사와 영어의 형용 사의 차이점에 대해 말해 보자.

한국어 형용사와 영어 형용사의 차이

한국어 영어

a. 동사 구문: 그들은 달린다. They run.

↑ ↑

형용사 구문:

b. 명사 구문: 그들은 학생이다. They are students.

↑ ↑ 형용사 구문:

착하다(O)

kind(X)

착하다(X)

kind(O)

(19)

관형사

① 체언을 수식하는 관형어 기능

(영어의 형용사와 동일한 기능 단, 서술어 불가)

② 형태의 변화가 없음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미를 취하지 않는다) 예: 새(관형사) 집 vs. 깨끗한(형용사) 집

③ 관형사의 분류

가. 성상관형사: ‘새, 헌, 첫, 온갖, 옛, 갖은, 온; 순(純), 고(故), 각(各), -적(的)’ 등

나. 지시관형사: ‘이(近稱), 저((中稱), 그(遠稱), 어느, 어떤, 아 무, 무슨’ 등

다. 수관형사 : ‘한, 두, 세, 일, 이, 삼, 모두, 여러, 몇’ 등

2 1 한국어의 품사

3) 한국어 품사별 특징

(20)

부사

① 용언이나 다른 부사 또는 문장을 수식하며 접속의 기능도 한다.

철수는 국어학 공부를 잘 한다.(용언 수식)

철수는 국어학 공부를 매우 잘 한다.(다른 부사 수식) 과연 철수는 국어학 공부를 잘 하는가?(문장 수식)

철수는 국어학 공부를 잘 한다. 그리고 국문학 공부도 잘 한다.(접속 기능)

② 형태의 변화가 없음

2 1 한국어의 품사

3) 한국어 품사별 특징

(21)

2 1 한국어의 품사

3) 한국어 품사별 특징

부사

③ 부사의 분류

가. 성분부사: 문장 내의 특정 성분 수식

예: 잘, 매우(성상부사); 이미, 내일, 이리, 여기(지시부사);

땡땡, 깡충깡충(상징부사); 안, 못(부정부사) 나. 문장부사: 문장 전체 수식

예: 과연, 제발, 아마(양태부사); 그리고, 그러나, 또한, 및(접속부사)

(22)

다음 두 문장을 하나의 문장으로 만들어 보자. 한국어 의 경우 두 문장을 한 문장으로 만들 때 어떤 방법을 이 용하는지 살펴보고, 품사로서의 접속사의 필요성에 대 해 생각해 보자.

[영어] I like him. He does not like me.

[한국어] 나는 그를 좋아해. 그는 나를 안 좋아해.

생각해 봅시다 (8)

(23)

2 1 한국어의 품사

3) 한국어 품사별 특징

조사

① 주로 체언에 붙어 다른 말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언의 기능(격조사)과, 의미를 더해주는 기능(특수조사/보조사), 그리고 연결기능(접속조사)

② 조사의 종류

격조사: 서술어에 대해 명사의 문법적·의미적 관계[=격]

를 나타내 주는 조사

주격조사(이/가, 께서, 에서), 목적격조사(을/를), 보격 조사(이/가), 관형격조사(의), 부사격조사(에, 에게, 한 테, (으)로 등), 서술격조사(이(다)), 호격조사(아, 야)

(24)

2 1 한국어의 품사

3) 한국어 품사별 특징

조사

② 조사의 종류

특수조사(보조사): 화자의 태도를 표시하거나 의미를 더 해주는 기능을 하는 조사

예: 너마저 나를 버리다니.

이번 달에도 상여금을 준대.

이번 달에는 상여금을 준대.

이번 달에 월급은 준대.

이번 달에 상여금도 준대.

접속조사: 명사와 명사를 대등하게 이어주는 조사 예: 사과와 배, 사과랑 배랑, 사과하고 배하고

(25)

1) 학자들에 따라 특수조사를 조사로 인정하지 않기도 한다. 그 첫 번째 이유는 격조사와 달 리 통사적으로 출현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 다는 것이고, 두 번째 이유는 선행 어구의 통 사범주가 명사구로 제한되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한 예들을 찾아보자.

생각해 봅시다 (9)

(26)

2) 다음은 외국인 학생의 작문이다. 조사와 관련하여 무엇이 문제인지 그리고 그것에 대해 어떻게 설명 해 줄 것인지 말해보자.

 친구가도 공부합니다.

 나는 비빔밥을도 좋아해요.

 선생님께서도 책을 읽으시고, 친구가도 책을 읽습니다.

생각해 봅시다 (9)

(27)

3) 다음 문장의 ‘이다’가 영어의 ‘be’ 동사와 같은 기능을 하는지 생각해 보자.

 나는 영수의 형이다.

 할머니는 아버지가 해외로 출장 간 내내 걱정이시다.

 이 기차는 10시 도착/출발이에요.

 나는 그의 의견에 찬성/반대이다.

생각해 봅시다 (9)

(28)

1 주요 개념 및 용어

3

단어의 정의(일반적 정의, 학교문법에서의 정의),

단어 구조, 조어, 합성, 파생, 굴절, 굴절과 파생의

차이,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 의미 결합

방식에 따른 합성어의 종류(대등, 종속, 융합합성어

), 단어의 분류(단일어, 복합어, 합성어, 파생어),

단어구조 유형(통합성,융합성에 따른 분류), 고립어

(분석어), 포합어(통합어), 교착어, 굴절어(융합어)

(29)

1 주요 개념 및 용어

3

어휘부류, 품사 분류 기준(형식/형태, 기능/직

능, 의미), 형식/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가변

어[동사, 형용사], 불변어), 기능/직능적 특성에

따른 분류(체언[명사], 용언[동사], 수식언[관형

사, 부사], 독립언[감탄사], 관계언[조사]), 한국

어 품사별 특징(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 관

형사, 부사, 조사)

(30)

1 참고문헌

 고영근·구본관(2008),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 구본관(2005), “한국어의 형태론과 어휘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국립국어원(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 커뮤니케이션북스.

 김진호(201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개정판), 박이정.

 김현권 외(2010), 「언어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신승용(2011), 「학교문법산책」, 태학사.

 이관규(2013), 「학교문법교육론」,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 이기동 외 역(1999), 「언어와 언어학: 인지적 탐색」, 한국문화사.

 이익섭(2011), 「국어학개설」, 학연사.

 이익섭·장소원(1994), 「국어학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이철수·김준기(2000), 「언어와 언어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 임동훈(2005), “한국어의 조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한국방송통 신대학교출판부.

 허용(1999), “조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방법과 실제」, 한국 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허용·김선정(2013) 「대조언어학」, 소통.

(31)

7주차.

한국어 단어구조(2):

단어의 구조와 품사 분류

(32)

1) 단어구조 유형과 그에 따른 단어의 분류에 대해 말해 보자.

2) 굴절과 파생의 차이에 대해 말해 보자.

3) 단어 구조 유형에 대해 말해 보자.

4) 품사 분류 기준과 그에 따라 한국어 어휘부 류를 품사로 나누어 보자.

5) 한국어 품사별 특징에 대해 말해 보자.

1 형성평가

4

참조

관련 문서

 Goddard, C.(2005), The Languages of East and Southeast Asia: An Introduction, OUP...

민철 씨는 키가 커서 농구 선수 같아요.. 우리 아버지는

시간이 자연적인 반면 시제는 인위적이고, 시간이 실재적 (real)이고 물리적인 반면 시제는 가상적이고 개념적이며, 시간이 객관적(언어 외적)인 반면 시제는 주관적(언어

인류학의 하위 분과로서 의 언어인류학은 ‘문화로서의 언어 연구’ 또는 다양한 언어 현상에 대한 인류 학적 연구라고 할 수 있으며, 주로 미국 인류학의 전통에서

그 리고 세계의 여러 언어가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또는 그렇 다고 여기는) 법칙을 언어보편성(linguistic universals)이 라고 한다. 세계의 여러 언어를 대조함으로써

이시다 사키(2012)는 다문화 사회의 언어 정책 연구(한국과 일본의 언어 정책 비교를 중 심으로)에서 최근 본격적으로 다문화 사회에 진입한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 아이들은 어떠한 특별한 도움없이도 그들이 노출되는 언어 자극을 뛰어넘어 복잡한 문법을 습득함.. • 이것이 가능한 것은 그들이 UG를 활용할 수 있는

- 국어에는 유정 명사와 무정 명사의 구분이 문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일이 있다... - 국어는 대명사가 발달하지 않은 언어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