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어의 어제와 오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국어의 어제와 오늘"

Copied!
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차시 국어 대명사의 역사 7 :

---

국어 대명사 역사의 개관 1.

문헌자료가 확실하지 않은 고대 및 전기 중세국어 이전 시기의 대명사는 대략 다음과 같 -

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및 전기 중세국어의 대명사

< 1>

인칭 대명사

1 ( ,吾 奴台), 우리 (吾里) 인칭 대명사

2 너 ( ,汝 你) 인칭 대명사

3 ( ,此 伊), ( ),然 ( ,彼 伊) 재귀칭 대명사 저 ( ,自 矣)

부정칭 대명사 누 ( )鏤

(2)

문헌 자료에 의해 연구가 가능한 후기 중세국어의 대명사 목록은 다음과 같다

- .

후기 중세국어의 대명사

< 2>

인칭 대명사

1 나 우리, / 우리들ㅎ/ 우리ㅎ

인칭 대명사

2 너 네 그듸, , (*구어체에도 쓰임), 너희 / 너희 / 너희네, 그듸내 / 그네,

인칭 대명사

3 이 그 뎌, , (*모두 단독으로 사람 사물 개념을 지시하는, , 대명사로 쓰임 상황지시적 대용적 두 용법 다 있음, , )

재귀칭 대명사 저 갸, , 自己, 긔 저희 당신, ,

부정칭 대명사 누구 누 므엇 므스 므슥 므슴, , , ( , ), 므섯 므스것, , 아모

(3)

다음은 근대국어의 대명사 목록이다

- .

근대국어의 대명사

< 3>

인칭 대명사

1 나 우리 저, , 인칭 대명사

2 너 너희 그듸 당신 자네, , , , 인칭 대명사

3 이 그 뎌, ,

재귀칭 대명사 저 당신 갸 긔, , , , 自己 부정칭 대명사 누구 므엇 아모 아무, , ( )

(4)

다음은 현대국어의 대명사 목록이다

- .

현대국어의 대명사

< 4>

인칭 대명사

1 나 우리 저 저희, , , 인칭 대명사

2 너 그대 당신 임자 자네, , , , 인칭 대명사

3 이 그 저, ,

사람 지시로는 그 만 사용하게 됨

(* “ ” )

재귀칭 대명사 자기 당신 저 저희, , , 부정칭 대명사 누구 무엇 아무 아무것, , ,

(5)

국어대명사 역사의 인칭별 고찰 2.

인칭 대명사의 통시태 2.1 1

국어 인칭 대명사의 통시적 목록은 다음과 같다

- 1 .

인칭 대명사의 변천

< 5> 1

고대 및 전기 중세국어 나 ( ,吾 奴台), 우리 (吾里)

후기 중세국어 나 우리,

근대국어 나 예사말( ), 저 겸사말( , 19세기말부터) 우리

현대국어 나 예사말( ), 저 겸사말( ), 우리 저희,

(6)

고대 및 중세국어 문헌자료

< >

(1) 稱我曰 能奴台 <계림유사>

(2) ㄱ 吾. 隱去內如辭叱都 (나 가다 말 도ㅅ ) <제망매가>

.

ㄴ 吾 不喩慙 伊賜等 (나를 안디 붓그리샤) <헌화가>

.

ㄷ 吾衣願盡尸日置仁伊而也 (내 다 날도 이시리마리여) <총결무진가>

. 二于萬隱

吾羅 (두 만 내라) <도천수관음가>

어긔야

(3) ㄱ. 내 가논 졈그셰라 <정읍사>

조롱곳 누로기와 잡와니 .

내 엇디 리잇고 <청산별곡>

(4) 落句 吾里心音水淸等 (아야 우리 믈 가 청불주세가)< >

후기 중세국어 문헌자료

< >

나오 나아 나여 나암 나자 훈몽자회 하

(5) ㄱ. , , , , < .24a>

. 我

내라 <월인석보 서.4b>

(7)

.

ㄷ 나 부텻 랑시논 이라 <능엄경언해 1.86a>

.

ㄹ 내 이 爲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 여듧  가노니字 <훈민정음언해 2b 3a>- 그저긔 이 부텨 

(6) ㄱ. 釋提 桓因 내 이제 부텨 半身舍利 청노다 석보상절

< 23.7a>

그 이 부텻긔  미 다이

. 阿難

내그 무로 <석보상절 23.30a>

이

(7) 내 아비동 누의와 어믜동 오라비게 난 형이요 … 小人은 아비 누의게 나니오 <번역노걸대 상.15b 16a>~

형님 네 언제 길 나실고 (8) a:

이  스므날 길나리다 b:

a: 쇼도 剳付와 關字옷 가지면 토리다 <번역박통사 상.8b>

쥬 형님하

(9) a: 쇼이   마리이시니 닐엄즉 가 므슴 이리 잇고 네 니라

b:

이 느즌 바 내 진실로 곫패라 번역노걸대 상

a: < .52b>

(8)

(10) ㄱ 우리히 어리. 迷惑야 毒藥 그르머구니 願 救療샤 목수믈 다시 주쇼셔 월석

< 17.17b>

부텻긔 샤되  니쇼셔

. 彌勒 世尊

우리히 부텻마 信受

리다 <월석 17.2b 3a>-

나 의 대우법상의 자질이 달라지는 것은 저 가 인칭 낮춤말 또는 겸사말로도 쓰이게

- “ ” 1

된 사실과 관련된다 재귀칭으로만 쓰이던 저 가 어느 시기부터인가. “ ” 1인칭으로도 쓰이게 됨으 로써 나 의 대우법상의 위상이 달라지게 된다 그러면 저 가“ ” . “ ” 1인칭으로 쓰이게 된 시기는 언 제이며 그렇게 된 배경은 어떤 것일까?

문헌자료를 조사해본 바에 의하면 저 가 인칭으로도 쓰이게 되는 시기는 세기 말엽으

- “ ” 1 19

로 추정된다. <독립신문>, 4 (1898), 120권 쪽에 “ ”저 가 1인칭 겸사말로 쓰인 예가 나타나 있 다.

그 하인이 도라와  일인의 가가에 가셔 죠흔 것을 보자  일본 쟝가 귤  (11)

궤를 어 그 잇 것을 뵈여 갑을 빗게 말 고로 졔가 대답기를 넘어 빗 못 사겟 다 고 나 가랴고  그 일본 사이 붓잡고 옷을 즈며 줌억으로 리며 사가고

(9)

돈 라고 무셥게 말니 졔가 겁을 셔 그 갑을 주고 사 왓나이다 니 독립신문

< 4.120(1898)>

고 고 아바야

(12) … 져의 무삼 죄가 이리 지즁턴고 조물도 야속야속 무삼 운수가 이라덧 망창 져의 녹고 타 심을 푸디 아니시고… 이십 청츈이 당 마리닛가 모즐고 독 져의 잔명 영구이 라먹고… 신 우리 구고님 하 갓오신 은졍 쥭어

골인들 잇오릿가 불효 져의 죄을 엇디 다 형언… 쓸곳 업산 져의 잔명 의를

오니 아바아바 그리 아옵쇼셔 <편지(19세기말엽)>

그러므로 저 가 인칭으로도 쓰이게 되면서 인칭대명사에 예사말과 겸사말이 분화되는

- “ ” 1 1

시기는 19세기 말엽(1800년대 끝무렵 으로 추정된다) . “ ”저 는 본시 재귀칭의 낮춤말이었다 존. 대해야 할 상대방에게 자신을 낮추는 한 방법으로 자신을 직접 지칭하지 않고 하나의 개체처 럼 간접 지칭하는 방식으로 1인칭화 했을 것이고 이때 대우자질은 겸사말이 되는 것이다 당, . 시 자신을 특별히 낮추는 말로 소인 소신 이 있었는데 이는 주로 하인 등이 쓰는 비하어였“ , , 으므로 일반 상하관계에서는 쓰이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그러한 연유로, . 1인칭 겸사말이 필요 했을 것이다.

(10)

인칭 대명사의 통시태 2.2. 2

국어 인칭대명사의 통시적 목록은 다음과 같다

- 2 .

인칭 대명사의 변천

< 6> 2

고대 및 전기 중세국어 너 ( ,汝 你)

후기 중세국어 너 예사말( ), 그듸 예사높임 구어체에도 쓰임( , ), 그듸내 / 그네 너희, / 너희 / 너희네

근대국어 너 그듸 당신, , (18세기말~19세기초) (예사높임), 자네 (17세기중엽)

현대국어 너 예사말( ), 당신 예사높임( ), 임자 예사높임( ), 그대 문어체( )

위 표에 제시된 것과 같이 인칭 대명사의 역사는 대우법의 체계가 분화되면서 이에 해

- 2 ,

당하는 어휘가 등장하는 변천으로 특징 지워진다.

(11)

인칭 대명사의 통시태 2.3. 3

국어 인칭대명사의 통시적 모습은 다음과 같다

- 3 .

인칭 대명사의 변천

< 7> 3

고대 및 전기 중세국어 ( ,此 伊), ( ),然 ( ,彼 伊)

후기 중세국어 이 그 뎌 단독으로 사람 사물 개념을 지시하, , ( , , 는 대명사로 쓰임)

근대국어 이 그 뎌, ,

현대국어 이 그 뎌 저, , (> ) (사람 지시로는 그 만 사용하게“ ” 됨 또는 복수형으로만, .)

후기중세국어 이전 시기의 인칭 대명사는 차자표기 형태 등이 다음

- 3 此 伊 然 彼 伊, , , ,

(12)

재귀칭 대명사의 통시태 2.4.

국어 재귀칭 대명사의 통시적 모습은 다음과 같다

- .

재귀칭 대명사의 변천

< 8>

고대 및 전기 중세국어 저 ( ) / ( ,自 矣 矣徒)

후기 중세국어 저 갸, , 自己, 긔 / 당신 (아주 높임) (“ ”저 는 동 물 사물 지시에도 쓰임, )

근대국어 당신 아주높임( ) / 갸 긔, / 自己 / 현대국어 당신 아주높임( ) / 자기 저 예사말, ( )

(13)

부정칭 대명사의 통시태 2.5.

국어 부정칭 대명사의 통시적 모습은 다음과 같다

- .

부정칭 대명사의 변천

< 9>

고대 및 전기 중세국어 누 ( )鏤

후기 중세국어 누 므스 므슥 므슴, ( , ), 므섯 므스것, , 아모

근대국어 누구 므엇 아모 아무, , ( ) 현대국어 누구 무엇 아무 아무 것, , ,

이상 참고문헌 김미형 우리말의 어제와 오늘 제이엔씨

< , : (2012), , >

(14)

참조

관련 문서

오늘 아침, 아빠는 유리에게 윤 선생님께 사과 편지를 쓰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것은 보통 체중 증가를 일으킨다. 만약 당신이 충분히 잠을 자지 못한다면

Ээж ( надад ) зураг зуруулав.. 따 라서 중의적 해석이 가능하다. Аав ээжээр хоол хийлгэсэн.. Ах надаар ном уншуулав. Ах намайг гаргав.. 9)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은 보안, 금융, 의료 분야 등 여러 산업에서 활용이 가능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거론되지만 법으로 열거한 신성장 R&amp;D 기술에 해당되지 않아

기업가정신은 경제발전과 사회발전에 가장

In this study I summarized the morphology, composition, its meaning and the function of modern Mongolian numerals(focused on collective,

All right reserved...

Measurement device: Continuity test; test current up to 0,1A (option 3A), resistance from 10mOhm Insulation measurement; test voltage up to 750V, resistance up to

When using temperature feedback control, the number of samples that may be simultaneously digested may vary, from one sample up to the maximum number of vessels that can 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