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5강 중세 전기문학 2기 - 고려전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5강 중세 전기문학 2기 - 고려전기"

Copied!
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1 -

수업날짜: 년 월 일 / 국문학사 / 담당교수 : 김상진(jeank29@hanyang.ac.kr)

제5강 중세 전기문학 2기 - 고려전기

□ 우리 문자의 공백기 : 차자표기 사멸, 한글창제 이전.

한문학의 융성 : 승려 및 유학자들에 의해 수준 향상

신라의 향가문학은 고착형태로 남거나 변화되어 고려의 서정문학으로 맥을 이음 신라시대의 영웅담은 건국신화로 장식되거나 윤색되어 설화로 전승

→ 그러나 이미 신화시대가 지남.

1. 고려 시대의 향가

고려 전기의 지배층 :

서라벌 문신귀족 신라 말 지방호족

왕건을 도와 고려 건국, 귀족신분 획득 ;고려 통일 후에 지방호족과 밀착된 선종보다 화엄종 같은 교종이 더 큰 구실을 하게 됨.

그런 임무를 담당한 인물이 균여(929~979) → 화엄종과 함께 향가를 고려에 계승

1) <普賢十願歌>

균여가 따로 이름을 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보현시원가’ ‘普賢十鍾願往歌’ 등으로 명칭함.

崔行歸의 한역시와 함께 전함.

2) 睿宗의 <悼二將歌>

主乙 完乎白乎 니믈 오오 임의 목숨을 온전하게 하신 心聞 際天乙 及昆  하 밋곤 마음은 하늘 끝까지 미치고, 魂是 去賜矣中 넉시 가샤 넋은 가셨지만

三烏賜敎 職麻 又欲 사샨 벼슬마 져 내려주신 벼슬은 또 대단하구나.

望彌 阿里刺 라며 아리라 바라보면 알리라 及彼可 二 功臣良 그 두功臣여 그 때의 두 공신이여.

久乃 直隱 오라나 고 이미 오래 되었으나

跡烏隱 現乎賜丁 자 나토샨뎌 (거룩한) 자취는 나타나시도다.

(1) 작자 : 고려 16대 왕. 풍류와 문학적 아취를 즐겨 廟樂, 宴樂을 많이 제작하였다.

〈벌곡조〉의 작가로 『고려사』에 전함.

(2)

- 2 -

(2) 내용 : 건국 초에 功臣이 몸으로써 죽음을 대신한 충절을 추도하고 칭송함으로써 신 하들의 위국 충성의 결의를 굳게 하여 왕실의 기초를 다지려는 군주의 뜻에서 지어진 노래.

(3) 형식 : 전대의 향가와 고려적 성격을 띤 가요를 연결시키는 역할. 표기법이 정통 향가 와는 다소 차이가 있으면서도 향가에서 볼 수 없는 분장의 형식은 고려가요와 접맥되어 있 다. 곧 쇠잔해가는 향가에 미련을 남기면서 새로운 시가 형식의 모색을 의미. <모죽지랑가>

와 같은 8구로 된 노래. 또한 노래를 시조의 3장 형식과 통할 수 있도록 해독할 가능성도 있어, 향가에서 시조로 이행해 가는 과정의 작품으로 볼 수도 있다.

3) 鄭敍의 <정과정>

(前腔) 내님믈 그리와 우니다니 내 님[임금]을 그리워하여 울고 지내고 있으니 (中腔) 山졉새 난 이슷요이다 산의 두견새와 나는 비슷하나이다.

(後腔) 아니시며 거츠르신  아으 아니며 허황하신 줄을 아아!

(附葉) 殘月曉星이 아시리다 殘月曉星이 아실 것입니다.

(大葉) 넉시라도 님은  녀져라 아으 넋이라도 님과 한 곳에 가고 싶습니다. 아아!

(附葉) 벼기더시니 뉘러시니가 어기던 사람이 누구였습니까.

(二葉) 過도 허믈도 千萬 업소다 잘못도 허물도 전혀 없습니다.

(三葉) 힛 마리신뎌 말짱한 말씀이었구나 (四葉) 읏븐뎌 아으 슬프군요, 아!

(附葉) 니미 나 마 니시니가 님이 벌써 나를 잊으셨습니까

(五葉) 아소 님하 도람 드르샤 괴오쇼셔 마소서 님이시여, 다시금 들으시어 사랑하소서.

(1) 작자 : 鄭敍가 의종 5년 (1151) 4월부터 의종 24년 (1170) 까지 配所에 머물며 지은 작품.

구체적인 시기 : ①5년간의 東萊配所 (의종 10년 전후) 에서 지었다는 설

②거제시대에 의종 복위 운동 및 被弑를 둘러싸고 이루어진 것으로 의종 24년 9월부터 10월 사이라고 추정하는 설

(2) 내용 : 忠臣戀主의 情

(3) 형식 : 일반 향가보다 길기는 하지만 10구체 향가로 파악할 수 있다. (감탄구가 10구) 10구체 향가에 가깝고 우리말로 불리어졌다는 점에서 향가와 유사.

참조 :『악학궤범』에는 ‘三眞勺’으로 전함. 이란?

2. 기타 문학

1) 과거제도 실시와 한문학의 융성

(3)

- 3 - - 광종의 과거제 실시와 호족세력 진압

- 과거의 시험 과목은 ‘詩 賦 頌 時務策’

- 성종은 과거제 정착을 위해 관학(官學)인 국자감 설립.

- 문종에 이르러 私學이 생겨나 몇몇 가문에서 벼슬을 대거 차지하며 문벌귀족 형성.

2) 김부식(金富軾, 1075~1151)의 『三國史記』

舊三國史를 기초로 묘청의 고구려 정통론을 누르고 신라 정통론을 확보한 책. 자주적 기 상보다는 유학이나 한문학을 중시하여 민간전승의 하층 문화를 대신 상층 문화를 국가적 규 범으로 설정

3) 『수이전(殊異傳)』

원제목은 ‘신라수이전’

우리나라 최초의 설화집으로 ‘뛰어나게 기이한 전기’란 의미를 지님.

정확한 작자는 알 수 없으나 원작자는 崔致遠, 작자는 朴寅亮으로 추측. 책은 전하지 않 으나 10편의 이야기가 『삼국유사』를 비롯한 여타의 책에 전함.

『삼국사기』와는 반대의 성격을 지니며 국풍을 존중하려는 민간전승의 집성.

4) 정지상(鄭知常, ? ~ 1135)의 漢詩

묘청과 함께 서경 천도를 본격화한 인물.

향토의 정서를 살리면서 아름다운 표현을 쓰고자 함.

대표작으로 漢詩 <송인>이 전함.

참조 : 작품보기

<送人>

雨歇長堤草色多(우헐장제초색다) 비가 갠 뒤 긴 언덕에는 풀빛이 짙어 오는데, 送君南浦動悲歌(송군남포동비가) 그대를 남포로 보내니 슬픈 노래가 나오네.

大同江水何時盡(대동강수하시진) 대동강 물은 언제나 마를 것인가.

別淚年年添綠波(별루년년첨록파) 해마다 이별의 눈물을 푸른 물결에 보태는데.

참조

관련 문서

결론적으로 BET를 새로운 희석제로 사용함 으로써 기존의 폴리에틸렌 다공막보다 높은 기공도를 갖는 다공막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또 이를 포함한 혼합 희석제를 사용함에 따라

이상의 다양한 해석은 모두 이별의 수용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 이러한 해석들은 각각 나름의 문제점을 지닌다. 필자는 우선 이별의 한이나

한마디로 농업지원시스템에 구멍이 뚤려 있다는 지적이다... 결정하여 구매자에게

[r]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

[r]

- 비잔틴 왕국에서와 마찬가지로 서유럽에서도 기독교는 중세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절대적인 이데올로기로서

상품의 평가손실: 상품이 보관도중에 새로운 상품의 출현으로 가격이 하락하거나 품 질의 저하로 인하여 재고상품의 가격(시가)이 취득원가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