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설의 기능을 이해할 수 있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전설의 기능을 이해할 수 있다"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강좌제목: 옛이야기의 세계 담당교수: 최원오

강좌연도: 2012년도 1학기 강좌차시: 6주차

강의내용: 한국전설론-분류, 문체, 구조, 특징, 전승, 인간관, 기능 등에 대한 이해 강의목표

1. 전설의 분류, 문체, 구조, 특징, 전승 등을 이해할 수 있다.

2. 전설에 나타난 인간관을 이해할 수 있다.

3. 전설의 기능을 이해할 수 있다.

---

1. 전설의 분류

전설은 전승장소where, 발생목적why, 설화대상what에 따라 분류할 수가 있다.

○ 전승장소: 지역적地域的 전설local legend, 이주적移住的 전설migratory legend로 나뉨.

○ 발생목적: 설명적 전설, 역사적 전설, 신앙적 전설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설명적 전설aetiological legend은 민중들이 어떻게 자기를 둘러싸고 있는 자연이 이루 어졌는가, 사물들이 생겨나게 되었는가 하는 것들을 설명할 목적으로 만들어 낸 것.

둘째, 역사적 전설historical legend은 대부분의 전설이 여기에 포괄될 수 있는 것으로, 어떤 역사적 사실로부터 성립하고 성장했던 것.

셋째, 신앙적 전설mythic, religious legend은 민간신앙을 기초로 함. ‘정鄭 도령’의 재래再來 를 믿는다든지 금기禁忌를 교시해 주는 것과 같은 것.

○ 설화대상:

사물명칭-자연물, 인공물(유적, 유물), 인간(씨족, 개인) 신앙행위-인물, 동물, 식물, 사물

2. 전설의 특징과 그에 따른 전승 방식

○ 전설의 특징: 전설은 일정한 민족, 또는 지방에서 민간에 의하여 내려오는 설화임. 신격 중심인 신화에 비해 인간과 그의 행위를 주제로 한 것이 전설임.

① 전설은 화자나 청자가 그 이야기의 사실을 믿음.

② 이야기를 뒷받침하는 기념물이나 증거물이 있음.

③ 전설은 역사와 깊은 관련이 있어서 역사에서 전설화했든지 혹은 역사화의 가능성 있음.

④ 민담은 이야기하는 방식이 있으나 전설은 일정한 형식이 없음.

○ 전설의 전승: 전설은 화자나 청자, 전승자가 그 이야기의 사실을 믿는다고 하지만 믿지 않는 사람도 있음. 전승자의 특징을 다섯 단계로 나눠 보면 다음과 같음.

① 틀림없다고 믿는 확신자

(2)

② 반신반의하는 사람

③ 의심하는 사람

④ 불신자

⑤ 전혀 믿을 수 없다고 부인하는 반대자

위의 다섯 단계에 속하는 화자와 청자가 대물림을 계속함으로써 전설은 전승됨. 화자가 청 자에게 들려주면 다음에는 청자가 화자가 되는 과정이 반복됨. 그래도 전설은 그 사건을 믿 는 사람이 있기에 오늘날까지 전승되는 것임.

3. 전설의 문체와 구조

○ 전설의 문체 : 평이한 문체

-유식함과 난삽함은 증거물의 특수성과 화자에 말투에 따라 생김.

○ 전설의 구조: 신화나 민담에 비해서 대체로 단순함.

예)

① 이태조李太租가 고승高僧 무학無學에게 천도遷都할 땅을 구하라고 의뢰했다.

② 무학이 동야東野(지금의 왕십리汪十里) 근방에서 지세를 살폈다.

③ 밭 가는 노인이 “미련하기 무학 같은 소, 바른 곳도 버리고 굽은 길을 찾는구나!” 하며 소를 꾸짖었다.

④ 무학이 가르침을 청하자 노인은 10리十里만 더 가라고 했다.

⑤ 10리를 더 가서 무학은 서울의 터를 발견했다.

⑥ 눈이 쌓인 설〔雪〕울〔圍〕을 경계로 성城을 쌓았기 때문에 ‘설울’이 변해서 ‘서울’로 되었다.

⑦ ‘10리만 더 가라’고 해서 그곳은 왕십리往十里라 부른다.

⑧ 무학이 처음 왕심枉尋한 곳이기에 왕십리枉十里하고도 한다.

○ 전설의 발생 가능성

①+②+③+④+ ⑤+⑦

①+⑥

①+②+⑧

*이야기의 유기적 구조 성립: ②+③+④+⑦

*이야기의 유기적 구조가 성립되지 않음: ⑥+⑧

4. 전설에 나타난 인간관

1) <장자못전설>의 경우

○ <장자못전설> 분석을 위한 기본 개념들

● 설화계: 유형의 묶음

(3)

● 유형: 다른 설화와 판별이 되는 독립적인 구조와 구성과 내용이 있는 설화의 최고 단위.

․ 장자못 전설=장자못 삽화 + 돌 삽화

● 삽화: 유형을 구성하는 대등적인 하위 설화형. 모티프로 구성됨.

․ 아래의 모티프가 서로 선후 인과관계를 맺어서 고차원의 사건으로 전개됨

* 학승+함몰 모티프=장자못 삽화

* 금기+화석 모티프=돌 삽화

● 모티프: 가장 짧은 내용을 가진 이야기의 알맹이

․ 부자가 중에게 쇠똥을 주었음(쇠똥, 학승 모티프)

․ 중이 며느리에게 절대로 뒤를 돌아보지 말라고 말함(터부 모티프)

․ 장자네 집은 벌을 받아 뇌성벽력과 소나기로 함몰되어 연못이 됨(함몰 모티프)

․ 며느리가 돌이 됨(화석 모티프)

● 화소: 설화의 최하위 구조. 모티프를 구성하는 하위 단위. 설화를 육하원칙으로 나눈 것.

전체설화에 작용하는 독립하는 단일 의미가 있음. 전체에 조화되는 한에서 대치되는 변화가 있음. 전체의 한 부분으로써 그 위치에 따른 관계와 기능이 있음.

․ 배경화소(시간, 공간), 주화소(인물, 사건), 종속화소(어떻게, 왜...), 증시證示화소(증거물 이 지금도 있다는 증거)

* 시간화소: 옛날에(발단), 하루는 또는 그때(전개), 지금(특수, 결과부), 지금도(보편, 증시 부-이야기가 끝나고 화자가 현재로 돌아와서 증거물을 제시하는 증시가 시작될 때)

● 속성: 화자가 문맥 속에서 갖는 생각. 실제 설화를 구술할 때 구체적인 단어나 어구로 표출됨.

○ 장자못 전설계[유형군]

․ 용산리 전설: 단일 삽화로 구성됨. 구타 모티프(인색한 부자가 동냥 온 중을 때림) + 단 혈․패가 모티프(중이 후에 와서 부자에게 더 부자가 되는 법을 가르쳐 준다고 하며 명당을 자르게 해서 부잣집이 차츰 망함)

․ 용두못 전설: 구타, 학노虐奴 모티프(부자 주인이 종을 학대함) + 단혈․패가 모티프(집을 나간 종이 풍수지리를 배워가지고 와서 명당을 자르게 해 주인은 점차 망함)

․ 장자골 전설: 축객逐客 모티프(부자가 동냥 온 중에게 손님이 오지 않게 하는 방법을 물 음) + 단혈․패가 모티프(중이 명당을 자르게 해서 집이 차츰 망함)

․ 성근사 전설: 축객 모티프(부자절의 주지가 지리를 아는 중에게 손님을 못 오게 하는 방법 을 물음) + 단혈 모티프(풍수를 보는 중이 명당을 자르게 해서 절이 망함)

․ 광포廣浦전설: 弄佛 모티프(한 노인이 마음씨 고운 노파에게 뒷산의 돌부처에서 피눈물이 나면 피난을 가라고 함) + 해일․함몰 모티프(동네의 나쁜 사람이 부처에 붉은 물감을 칠하 자 갑자기 해일이 나서 피난 간 노파만 살고 다 죽음)

○ 변이 분석

① 가해자 화소는 부정적인 나쁜 속성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피해자와 짝을 지었을 때 구체 적으로 나타남.

② 성근사 전설은 자비로워야 할 중이 가해자가 되어 특이함. 불의를 징계해야 할 사찰이 재산을 탐해 스스로 인색하여 불자의 도리를 상실하는 불의로 인하여 패망함. 절과 중이 불 교의 약화를 스스로 자초하는 모습을 보여줌.

(4)

③ 피해자의 속성은 동냥온 내방자, 불교성이 있는 자, 징계할 수 있는 신통력을 가지며 반 드시 복수하는 자임.

불력-->풍수지리-->인간적인 모습.

엄격한 불력-->골탕먹은 중이 곧장 풍수의 힘 발휘, 또는 몇 년 간 풍수 공부를 한 뒤 복 수(중과 풍수의 결합)-->중이 부자의 축객이라는 잘못을 깨우쳐주지 않고 풍수의 힘을 의 지하여 징계(불력 약화와 풍수 우위)

④ 장자못전설에만 화석 모티프가 있음. 풍수지리사상이 불교의 힘과 금기의 힘을 흡수한 결과 장자못 전설의 삽화와 모티프가 줄어 즐고 새로운 전설형을 만든 것임.

2) <아기장수전설>의 경우

○ 서사구조

①옛날 어느 곳에 한 평민이 살았는데, 신의 정기를 받아서 겨드랑이에 날개(비늘)가 있고 태어나자 이내 날아다니고 힘도 센 장수아들을 기적적으로 낳았다(출생).

②그런데 부모는 이 아기장수가 크면 장차 역적이 되어서 집안을 망칠 것이라고 해서 아기 장수를 돌로 눌러 죽였다(1차 죽음).

③아기장수는 죽을 때 유언으로 콩 닷 섬과 팥 닷 섬을 같이 묻어달라고 하였다(재기).

④얼마 후 관군이 와서 아기장수를 내놓으라고 하여, 이미 부모가 죽였다고 하니 무덤을 가 르쳐 달라고 한 것을 어머니가 실토하여 가 보았더니, 콩은 말이 되고 팥은 군사가 되어 아 기장수가 막 일어나려는 것이었는데, 그만 관군에게 들켜서 성공 직전에 다시 죽었다(2차 죽음).

⑤그런 후 아기장수를 태울 용마가 근처의 용소에서 나와서 주인을 찾아 울며 헤매다가 용 소에 빠져 죽었다(용마).

⑥지금도 그 흔적이 있다(증시).

○ 삽화와 모티프

Ⅰ. 아기장수 출생 삽화

평민출생 모티프(가난한 평민의 집에서 아기장수가 태어남)

날개․천장 모티프(아기장수는 겨드랑이에 날개가 있음. 방 안에서 날아다니며 천장에 붙기도 함)

Ⅱ. 아기장수 죽음 삽화

부모 죽임 모티프(역적이 될까 봐 부모가 죽임) 곡식 군사 모티프(같이 묻어준 곡식이 군사가 됨)

관군 죽임 모티프(소식을 듣고 찾아온 관군이 어머니의 말을 듣고 다시 아기장수를 찾아 죽 임)

Ⅲ. 용마 삽화 용마 죽음 모티프

○ 아기장수의 의미

(5)

① 아기장수는 민중들의 이상임

② 특출한 영웅이 전란을 해결해 줄 것으로 생각하여 기다림-->장수가 태어났음에도 사회 적 여건의 불합리성으로 인해 죽임을 당함.

③ 역적이 될까 봐 죽였다는 것으로써 설화적 비판을 가함(정치, 제도상의 잘못을 간접적으 로 비판한 것임).

○ 각편 1: <둥구리전설>

국가 차원으로 확대되어 왕과 대결하는 아기장수의 모습을 그림.

․ 삽화와 모티프

Ⅰ. 둥구리 출생 삽화 평민 출생 모티프

억새, 탯줄 모티프(태를 보통 방식으로 가를 수 없어 억새풀로 자름).

날개, 지혜 모티프(둥구리는 날개가 달리고 지혜롭고 비범하며 말을 빨리 함).

암중 수련 모티프(둥구리는 어머니가 준 곡식을 갖고서 신비로운 힘으로 바위 속에 들어가 몰래 수련함).

Ⅱ. 둥구리의 죽음 삽화

이성계의 협박 모티프(이성계가 소식을 듣고 찾아와 협박함).

어머니 폭로 모티프(둥구리 어머니는 협박에 못 이겨 사실대로 말함).

이성계 죽임 모티프(이성계가 바위를 깨트리고 용마를 타고 일어서려던, 성공 직전의 둥구 리와 곡식 군사를 죽임).

Ⅲ. 지리산 산신 귀양 삽화

지리산 산신 귀양 모티프(이성계는 건국하자 지리산 산신을 미워해 귀양을 보냄).

○ 각편 2: <우투리전설>

이성계와 지리산 산신의 대결이 첨예화 됨. 우투리와 산신과의 관계가 명확하게 드러남.

․ 모티프와 삽화

Ⅰ. 우투리 출생 삽화

평민 출생 모티프(가난한 산골 평민의 집에 산신이 보낸 아기장수가 태어남).

억새, 탯줄 모티프 날개, 지혜 모티프 암중 수련 모티프

Ⅱ. 이성계 山祭산제 삽화

이성계 산제 모티프(이성계가 왕이 되고자 산제를 지냄).

부정한 산제와 목신木神의 대화 모티프(소금장수가 잠을 자다가 목신의 대화를 듣고 이성계 의 산제가 부정한 것과 산신들이 용납하지 않을 것을 앎).

다시 지낸 산제 모티프(소금장수는 이성계에게 알려서 다시 산제를 지내게 함).

(6)

지리산 산신의 반대 모티프(산신 회의에서 지리산 산신은 우투리를 지지하며 이성계의 등극 을 반대함).

Ⅲ. 우투리 죽음 삽화

이성계 협박 모티프(이성계는 정적 우투리가 있다는 것을 알고 전국을 찾아다니다가 우연히 우투리 어머니를 만남).

어머니 폭로 모티프(이성계는 정략적으로 우투리의 어머니와 삶. 우투리 어머니는 남편이라 믿고 사실을 말함).

이성계 죽임 모티프

Ⅳ. 지리산 산신의 귀양 삽화 지리산 산신의 귀양 모티프

○ <아기장수전설>, <둥구리전설>, <우투리전설>의 의미 분석

① 아기장수 전설의 정형定型은 인간 아기장수와 용마가 이원적으로 등장함. 시차가 있어 아기장수가 죽고 난 직후 용마가 출현함.

② 아기장수 전설은 가내家內 차원임. 가해자는 부모이며, 특히 어머니가 심함. 활동 범위는 방안이며, 가내에서 가능한 방법(곡식을 넣은 자루로 누름)으로 죽임. --> 좁은 활동 공 간, 아기장수와 용마가 일치하지 못한 시간, 영웅이 생존한 극히 짧은 시간, 부모의 안신보 명安身保命이라는 보수적 통념의 벽을 깨지 못함[이러한 것들은 아기장수의 비극적 요인이 라고 할 수 있음].

③ 아기장수 전설에서 쉽게 용마 전설이 탈락함. --> 아기장수와 용마로 나뉜 이원적인 신비를 아기장수 하나로 일원화해서 아기장수의 신비를 증가시키고자 한 것임(출생 신비 강 화). 신비가 동물(용마)에서 신(산신)으로 격상하면서 가내 차원에서 국가, 사회 차원으로 공간이 확대됨. 부모의 죽임은 관군(또는 이성계)의 죽임으로 바뀌어, 부모 특히 어머니가 관군에게 협조하여 자식의 비밀을 폭로하였고, 그래서 간접적으로 자식을 죽이게 됨.

④ 신비의 이동과 차원의 확대는 자연스럽게 아기장수 전설의 질서를 파괴하여 막연한 감을 주므로, 특정 인물에 고착시킬 필요가 생김. 예를 들면, 지리산 산신, 둥구리, 우투리 등.

⑤ 신라든 고려든 조선이든 어느 시대에나 통용되는 아기장수 전설의 ‘막연한 역적’의 의미 가 우투리 전설에서는 바로 반이성계로 나타남.

○ 이성계와 우투리의 비교

이성계 우투리

출신지역 북방 남방

출신성분 고귀(양반, 호족) 미천(평민, 상민)

지지방향 세계: 인간→산신 산신→인간

계층: 상→하 하→상

활동세계 현실적, 공개적 신비적, 폐쇄적(비밀의 공간)

성공시기 현재 성인, 입공 무장 현재 아이, 미래의 영웅, 수련 성패원인 여자 협조, 인간의지 여자 비밀 폭로, 산신의 무력

의식세계 현재顯在 의식 잠재 의식

(7)

전승방법 문헌설화, 인위적 조작 가능 구전설화, 아기장수 전설 차용

3) <오뉘 힘내기 전설>의 경우

○ 서사구조

①옛날에 어느 집에 홀어머니가 힘이 장사인 아들과 딸을 데리고 살았다.

②하루는 오빠와 누이가 한 집에서 같이 살 수 없으니 지는 사람이 죽기로 하는 목 베기 내 기를 하였다. 그 내기란 오빠는 당일 굽이 3자 3치의 쇠나막신을 신고 서울 갔다 오기(또는 성 쌓기)이며, 누이는 치마로 돌을 날라다가 성을 쌓기였다.

③그런데 그때 딸이 거의 이기게 되자, 어머니는 “이왕이면 아들을 살려야겠다.”하고는 뜨거 운 팥죽을 갖다 주며 먹으라고 권하여 일을 늦추게 하였다. 이러자 오빠가 서울 갔다가 돌 아왔으므로 누이는 죽임을 당했다. 그 뒤 아들은 자기가 비겁하게 이긴 것을 알고 자살하 고, 한꺼번에 아들과 딸을 잃은 어머니도 죽었다.

④지금도 딸이 쌓다가 그만둔 성이 남아 있고, 아들이 죽은 비극의 증거가 남아 있다.

○ 삽화와 모티프

․ 서울 가기 모티프

→생사를 걸고 오빠는 서울 갔다 오고, 누이는 성 쌓기 내기를 함.

․ 어머니 팥죽 방해 모티프

→어머니는 이왕이면 아들을 살리려고 딸에게 시간이 지체되도록 팥죽을 줘 먹도록 함.

․ 죽음 결과 모티프

→힘내기에 진 누이가 죽음.

○ 각편 1: <자금자련남매전설>

․ 남매 시련 모티프(남매는 도사를 돌봐준 결과 힘을 얻고 무술을 닦음. 오빠 자금은 말달리 기, 누이 자련은 활쏘기를 해서 5킬로미터나 떨어진 고덕산 말발굽석바위까지 누가 먼저 도 착하는가 하는 빠르기 내기를 함).

․ 참마斬馬 후회 모티프(말이 먼저 도착했는데, 화살보다 늦은 줄 알고 말을 죽였더니 그때 에야 화살이 도착함. 그때 말이 죽은 바위를 말바위, 말발굽석바위라고 부름. 자금은 그 길 로 무술을 포기하고 멀리 떠남).

* 남매 시련 모티프는 오뉘 힘내기 모티프의 변이. ‘빠르기’를 차용해 온 것임. ‘말-오빠’,

‘화살-누이’로 양분되어 균형 잡힌 빠르기 내기를 함.

○ 각편 2: <경천성전설>

①옛날에 홀어머니가 힘센 아들과 딸을 데리고 살았다.

②하루는 오빠가 전쟁이 일어나자 출정하게 되어 서울을 갔다 오기로 하고 떠났다.

③누이는 치마로 돌을 날라다가 성을 쌓으면서 오빠가 돌아오기를 기다렸다. 어머니도 아들 과 딸이 좋아하는 팥죽을 갖다 주면서 아들이 돌아오기를 기다렸으나 아들은 돌아오지 않았 다.

④지금도 쌓다가 만 성터가 남아 있다.

(8)

○ <오뉘 힘내기 전설>, <자금자련남매전설>, <경천성전설>의 각편 비교분석

․ 중요화소(같음)

오뉘 힘내기: 아들-서울 가기~딸-성 쌓기~어머니-팥죽

경천성 : 아들-서울(전장戰場)가기~딸-성 쌓기~어머니-팥죽

․ 상관관계

오뉘 힘내기: 힘내기를 하는 대립 상극 관계 내용: 힘내기 경천성 : 아들, 오빠를 기다리는 상호 관계 내용: 사랑, 기다림

․ 변화 이유

① 다 같은 자식인데 어떻게 딸을 죽이고 아들만 살릴 수 있는가?

② 형제는 훌륭할수록 싸우지 말고 우애가 있어야 하는데, 대수롭지 않은 내기로 어떻게 서 로 죽인단 말인가?

③ 실제로 늦어서 죽어야 하는 오빠가 어머니의 편애로 도리어 승리한 것은 타당한가?

이상과 같은 도덕과 상식에 기반을 둔 합리화로 인해, <망부석전설>과 같은 건전한 사랑과 기다림의 내용이 담긴 경천성전설이 발생했을 것임.

→ 견고한 오뉘 힘내기 전설의 구조가 합리화에 의해서 화소끼리의 상극관계가 파괴되고 상 호관계로 재편성된 것임. 그 결과 오뉘 힘내기 전설이 가지고 있는 긴장과 갈등이라는 흥미 가 상실됨.

5. 전설의 기능

○ 교육적 기능

오뉘 힘내기 전설-부당하게 죽은 누이를 통해 양웅불립兩雄不立, 남아선호의 사회적 통념 이 지닌 불합리를 비판하는 힘을 기름.

장자못 전설-이웃과 함께 나누는 공생적 가치관의 중요성을 배움.

종소리 전설-자연과 인간, 동물과 인간의 관계를 배움.

○ 공동체로서의 유대감 강화 기능

도깨비가 잡아 준 안동 김씨 조상 묘터-안동 김씨의 조상인 한 도령이 도깨비의 힘을 빌려 불쌍한 사람들에게 선행을 베품. 가문의 은근한 자랑을 읽을 수 있음.

칠곡면 용동 열효각 전설-왜놈에게 유방을 잡힌 처녀가 부엌칼로 젖을 도려내고 죽음. 열 녀 배출지로써의 자부심을 드러냄.

○ 현실을 직시하는 기능

아기장수 전설-좌절하고 패배하는 주인공의 삶을 통해 현실을 직시함. 근본적 문제가 무엇 인지를 진지하게 사색하게 함.

(9)

---

<참고문헌>

강등학 외, 『한국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장덕순․조동일․서대석․조희웅, 『한글개정판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2006.

최래옥, 『한국구비전설의 연구』, 일조각, 1981.

---

내용정리 및 퀴즈

<내용정리>

1. 전설은 전승장소, 설화대상, 발생목적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2. 전설의 문체와 구조는 단순한 편이다. 문체가 간혹 복잡한 것은 설화대상에 기인하는 것 이지 전설의 갈래적 성격 때문이 아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해지면 민담으로 발전할 가능성 이 높다.

3. 전설은 교육적 기능, 공동체로서의 유대감 강화 기능, 현실을 직시하는 기능을 한다.

<퀴즈>

1. 전설의 전승력을 확보해주는 것은 무엇인가 증거물

2. 전국적으로 전승되는 전설을 세 작품 이상 들어보시오.

장자못전설, 아기장수전설, 오뉘힘내기전설

3. 전설의 기능에 대해 말해 보시오.

전설은 교육적 기능, 공동체로서의 유대감 강화 기능, 현실을 직시하는 기능을 한다.

참조

관련 문서

[r]

조의관은 가문의 명예를 지 키기 위해서 족보까지 매매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봉건적 의미에서의 공리적 기능을 중요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field survey, the Suwon City organized a 'Cam Meeting' with Chairman Chey, which turned out to be a well taken free, uninhibited

Command Prompt에 MyRobot.sln를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Visual Studio 2005에서 MyRobot 솔루션 프로젝트를 불러오는 것을 그림 5와 같이 볼 수 있다.. 셋째, 이제 DSS

예외라면 정말 한국인이 없는 지역 (그런 지역에 한국인이 다닐만한 어학원이 있 을지도 의문이지만)에 가서 철저하게 영어로만 서바이벌을 하기로 한다든지, 원어민

디지털 연산의 결과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 장 치가

셋째, 명실상부 향약전문가 도미나가 히로카즈의 함경북도 부 임을 들 수 있다. 지방적으로 강 습회와 강연회 등을 개최하여 중견청년의 양성에 노력할 것,

중세 한국어의 선어말 어미와 어말 어미의 개괄적 특징을 이해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