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23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간호학 박사학위 논문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손 정 아

(3)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지도교수 현 명 선

이 논문을 간호학 박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21년 2월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손 정 아

(4)
(5)

국문초록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손 정 아

(지도교수 현 명 선)

중년기 우울 여성은 심리사회적으로 다양한 문제들을 갖고 있다. 특히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하고 자신의 행동 선택에 대한 효능감과 전반적인 삶의 질도 낮 게 나타난다. 그 결과 중년기 여성은 우울이라는 고통에 처하게 된다. 이에 그들 의 삶에 있어서 삶의 의미와 목적을 증진하도록 함으로써 중년기 여성들이 우울 을 극복하고 나아가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을 증진시키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은 이들에게 유용한 간호중재 방법이 될 것이다. 그러나 국내 중년기 우울 여성에 게 의미치료를 적용한 사례와 그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은 신체증상을 다루거나, 의미치료 요소와 다른 치료방법을 병합한 중재이거나, 일반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따라 서 우울한 국내 중년기 여성의 특성에 알맞은 구조화 된 방법을 이용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긍정성이나 적응전략을 유도하는 근거기반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이 필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6)

이에 본 연구는 중범위 간호 이론가 패트리샤 스타크의 의미이론을 기반으로 중 년기 우울 여성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삶의 의미, 삶의 목적, 우울, 자기효능감,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연구 과정은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해 당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순으로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경도 혹은 중등도 우울을 가진 만 40-59세의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지역사회 광고 를 통해 모집된 56명 중 선별과정을 통해 선정된 38명(실험군:20명, 대조군:18명) 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실험군에게는 연구자가 개발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주 2회, 90분씩, 4주간, 총 8회기 제공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별도의 처치 없이 자료수집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삶의 의미 도구, 삶의 목적 도구, 한국판 역학 연구센터 우울 도구, 자기효능감 도구, 삶의 질 도구를 활용하여 사전, 사후(중재 종료 후), 추후(중재 종료 4주 후) 총 3회에 걸쳐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Repeated Measure ANO VA로 분석하였다. 그에 따라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은 삶의 의미 변화 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나 지지되었다(F=16.05,

p

<.001).

가설 2 :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은 삶의 목적 변화 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나 지지되었다(F=9.61,

p

<.001).

가설 3 :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은 우울 변화 양상 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7)

지지되었다(F=13.24,

p

<.001).

가설 4 :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은 자기효능감 변화 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나 지지되었다(F=10.59,

p

<.001).

가설 5 :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은 삶의 질 변화 양 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나 지지되었다(F=18.53,

p

<.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 개발된 Starck의 의미이론 기반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은 중년기 우울 여성의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 게 하고, 우울을 감소시키며,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는 프로그램 종료 4주후까지 지 속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크기 또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 개발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은 포괄적인 심리중재를 필요로 하는 중년기 우울 여성의 심리적 건강증진과 우울증 조기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근거기반 간 호중재 방안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핵심어 : 중년기 여성, 우울,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반복측정분산분석

(8)

차 례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의 가설 ··· 5

D. 용어의 정의 ··· 6

Ⅱ. 문헌고찰···9

A. 중년기 여성의 우울 ··· 9

B.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 13

C.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 16

D. 패트리샤 스타크의 의미이론 ··· 19

Ⅲ. 이론적 배경···31

A. 연구의 이론적 기틀 ··· 31

Ⅳ. 연구방법···35

A.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개발 ··· 35

B.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의 효과평가 ··· 51

(9)

Ⅴ. 연구결과···64

A.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 64

B.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 76

Ⅵ. 논의···89

A.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 89

B.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 92

C. 연구의 제한점 ··· 104

D. 연구의 의의 ··· 105

Ⅶ. 결론 및 제언···108

A. 결론 ··· 108

B. 제언 ··· 110

참고문헌···111

부록···130

Abstract ··· 218

(10)

그림 차례

그림 1. 이론적 기틀 : 패트리샤 스타크의 의미이론 ··· 32

그림 2. 연구의 개념적 기틀 ··· 34

그림 3.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개발과정 ··· 36

그림 4. 프로그램의 목적 및 회기별 목표 수립과정 ··· 41

그림 5. 연구 진행과정 흐름도 ··· 53

그림 6. 측정시기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삶의 의미 점수 변화 ··· 80

그림 7. 측정시기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삶의 목적 점수 변화 ··· 82

그림 8. 측정시기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우울 점수 변화 ··· 84

그림 9. 측정시기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기효능감 점수 변화 ··· 86

그림 10. 측정시기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삶의 질 점수 변화 ··· 88

(11)

표 차례

표 1.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효과평가를 위한 연구설계 ··· 51

표 2.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 74

표 3.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 ··· 77

표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의 사전 동질성 검정 ··· 78

표 5. 실험군과 대조군의 삶의 의미 변화 양상 ··· 80

표 6. 실험군과 대조군의 삶의 목적 변화 양상 ··· 82

표 7. 실험군과 대조군의 우울 변화 양상 ··· 84

표 8.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기효능감 변화 양상 ··· 86

표 9. 실험군과 대조군의 삶의 질 변화 양상 ··· 88

(12)

부록 차례

부록 1. 기관연구 윤리심의 위원회 심의결과 통보서 ··· 130

부록 2. 연구 참여자용 설명서 및 동의서 ··· 131

부록 3. 연구 참여자 모집공고 ··· 139

부록 4. 자료 수집용 설문지 ··· 141

부록 5.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진행자용 매뉴얼 ··· 150

부록 6.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활동자료 (일부) ··· 217

(13)

Ⅰ. 서 론

A. 연구의 필요성

여성의 중년기는 신체, 심리, 사회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며 삶의 전환점을 맞이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여성은 폐경을 비롯하여 노화로 인한 생리적 변화를 경 험하고, 가족 구성원의 생활주기 변화(자녀의 학업, 직장, 결혼 등)와 그에 따른 역할 변화 등을 겪는데, 이 과정에서 여성에게는 다방면의 심리적 적응이 요구된다(박금자 와 이경혜, 2002; 손정남, 2018). 이러한 중년기 여성의 다양한 변화는 ‘갱년기’로 심 화되며, 이 시기에 종종 관계, 역할, 가치관에 대한 재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삶의 의 미와 목적을 상실하거나 공허함, 무관심, 불안, 우울, 자살 등 심각한 혼란과 위기를 겪기도 한다(Boswoth et al., 2001; Smithson, 2011; 박철안, 2016). 그 중에서도 우 울은 중년기 여성의 정신건강 문제 중 가장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신희석, 2002; 손정남, 2018). 실제로 국내 중년기 여성 우울 유병률이 높고(건강보험심사평 가원, 2018), 자살 생각도 반복(보건복지부, 2011) 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전홍진, 2012).

중년기의 우울은 삶의 의미와 매우 관계가 높으며 우울한 사람일수록 삶의 의미 정도가 낮다(Steger 등, 2006). 즉 중년기 여성이 삶이 무의미하다고 느끼면 우울 이 증가하고, 삶의 의미 정도가 높을수록 우울이 감소한다(박금자와 이경혜, 2002;

신희석, 2002; Yu & Zu, 2011; 손정아 등, 2019). 이처럼 중년기에 직면한 피할 수 없는 변화와 위기로 인해 삶의 공허함과 우울을 경험하는 중년기 여성들에게 우 울을 극복하도록 돕고, 살아가는 이유와 목적을 발견하도록 하는 것은 중요하다.

(14)

삶의 의미란 의미를 찾고자 하는 동기 및 자신의 삶이 의미가 있다고 여기는 주 관적인 느낌을 말한다(Steger et al., 2006). 즉 개인이 삶의 의미를 추구하고 그 의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삶의 의미가 높은 사람은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고 긍정적으로 믿는 자기효능감 또한 높게 나타난다(김태주, 1998; scott, 2002; 구재선, 2005; 박정묘, 2006, 2007). 삶의 의미는 자신의 삶에 대해 긍정 적이고 만족스럽게 생각하도록 하며, 삶의 방향성과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는 자 신감을 갖게 하고, 성취할 수 있다는 용기를 주어 자기효능감을 높인다(정명선 등, 2013; 심정자, 2015). 뿐만 아니라 우울한 중년기 여성은 전반적으로 삶의 질도 떨어지게 되는데, 이런 경우 삶의 의미를 발견하면 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이 향상된 다(원두리 등, 2005; 손정남, 2018). 이처럼 삶의 의미의 부재는 자기효능감, 삶의 질 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는 것은 우울을 조기에 예 방할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과 삶의 전반적 질을 높이는데 필요하다.

삶의 의미 발견을 돕는 요법들을 칭하는 용어가 다양한데 의미치료, 로고테라 피, 의미요법, 의미중심치료(Meaning-centered psychotherapy) 등으로 불리는 데, 이들은 모두 같은 개념을 지칭한다. 기존 의미치료 프로그램은 삶의 의미 수준 을 증진시켰고, 신체적 변화로는 고통의 감소, 부정적 정서 변화로는 불안과 우울 감소 등의 효과를 보였다. 또한 자아존중감, 삶의 질, 자기효능감, 극복력, 안녕감, 희망 등 정신건강상태를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eterson et al., 2 005; Steger et al., 2006; Cho et al., 2013; Soetrisno et al., 2017; 이영애 등, 2007; 구 본진, 2008; 조선희, 2008; Cho et al., 2013; 한슬기, 2019; Kim & Choi, 2020). 뿐만 아니 라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 Therapy)와 의미치료의 효과를 비교한 연구 에서 의미치료가 노인의 우울 개선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Moosavi et al., 20 12). 이렇듯 기존 의미치료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효과적이었으나, 중년기 우울 여

(15)

성을 대상으로 적용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 연구들은 암 등의 심각한 신체 질환(강경아, 2006; 구본진, 2008; Martínez &

Flórez, 2015; Soetrisno et al., 2017), 젊은 성인 및 노인의 우울증(Robantmili et al., 20 15; Kim & Choi, 2020), 일반 중년기 여성(이영애 등, 2007; 정명선 등, 2013)을 대 상으로 하였다. 중년기 우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해외 이민 한국인 여성(Cho e t al., 2013; Bernstein et al., 2013, 2016)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국내 거주 중년기 우 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조선희(2008)의 알코올 중독자 부인을 대상으로 한 연 구가 있다. 프로그램 방법에 있어서도 기존 의미치료의 경우, 다년간의 지도 감독과 수련을 필요로 하는 치료 방법으로 지역사회 간호사들이 쉽고 간편하게 적용하기에 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 프로그램은 대부분 의미치료적 요소를 도입한 압화 원예, 명화 요법 등의 병합 치료(이영애 등, 2007; 정명선 등, 2013)를 사용하 였으며, 보다 직접적인 의미 치료적 개입 프로그램은 대상자 일대기 기술을 통한 자 서전적 의미치료(Logo-Autobiography program)가 있다(Cho et al., 2013; Bernstein et al., 2013, 2016). 하지만 집단 및 관계 지향적 사고방식에 영향을 받는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상(최상진과 최인재, 2002) 자서전적 기술 과정에서 증상의 원인을 타인 에게 투사(projection) 하는 등의 역기능적 사고방식을 나타내는 경우, 비숙련 간호사 의 해결이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중년기 우울 여성을 대상으로 보다 쉽게 적용 할 수 있는 구조화 된 방법을 이용하여 중년기 우울 여성이 가지고 있는 적응전략을 유 도하는 근거기반 의미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중년 기 우울 여성을 위해 지역사회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삶의 의미를 발견하도록 돕는 의미치료는 실존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빅터프랭클(Vic tor. E. Frankl)이 개발한 심리치료기법이다. 그는 의미치료를 통해 삶 의 의 미를 발

(16)

견하면 실존적 공허감에서 벗어나 우울을 극복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Frankl, 1984).

Starck(2014)의 의미이론(Theory of Meaning)은 이러한 프랭클의 의미치료를 바탕 으로 개발된 중범위 간호이론이다. Starck(2014)는 의미이론을 ‘다학제 간의 결합을 위해 빌려주는 틀’이라고 하였다. 즉 기존의 의미치료 요소들을 통합하여 제시한 의 미이론 통합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의미이론은 간호사가 의미중심의 치료 프로토 톨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근거기반 중재의 기초 틀로 사용할 수 있게 제시 되어 있다 (Starck, 2017). 의미이론은 독특한 상황과 관련하여 자신의 삶의 의미를 위협받는 삶의 도전에 직면했을 때 의미를 발견하는데 중점을 둔다. 삶의 목적(Life purpose) 은 의미이론의 중심 개념으로, 각 개인이 의미와 목적을 발견해야 한다고 하였다. 간호 사는 의미이론의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를 통해 중년기 우울 여성이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도록 도울 수 있다(Starck, 2014).

이에 본 연구는 Starck(2014)의 의미이론에 근거하여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삶의 의미, 삶의 목적, 우울, 자기효능 감,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B.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삶의 의미, 삶의 목적, 우울, 자기효능감,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 하기 위함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17)

2. 개발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이 중년기 우울 여성의 삶의 의미, 삶의 목적, 우울, 자기효능감,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C. 연구의 가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은 삶의 의미 변화 양상에 차 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은 삶의 목적 변화 양상에 차 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은 우울 변화 양상에 차 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은 자기효능감 변화 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18)

가설 5.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은 삶의 질 변화 양상에 차 이가 있을 것이다.

D. 용어의 정의

1. 삶의 의미

이론적 정의: 삶의 의미란 의미를 찾고자 하는 동기 및 삶이 의미가 있다고 여기는 주관 적인 느낌으로 의미를 추구하고 그 의미를 발견하는 것을 말한다(Steger et al., 2006).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삶의 의미는 Steger 등(2006)이 개발하고, 원두리 등(20 05)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삶의 의미 도구(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이하 MLQ)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2. 삶의 목적

이론적 정의: 삶의 목적이란 각 개인의 개별적인 경험을 통해 만들어진 삶의 존재 론적 중요성을 말한다(Crumbaugh & Maholick, 1964).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삶의 목적은 Crumbaugh와 Maholick(1968)이 개발한 삶의 목적 검사(Purpose in Life)를 김형섭 등(2001)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삶의 목 적 도구(Purpose in Life; 이하 PIL)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19)

3. 우울

이론적 정의: 우울이란 슬픔, 불안, 침울함, 무력감 및 무가치함을 나타내는 기분 을 말한다(DSM-Ⅳ: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우울은 Radloff 등(1977)이 개발한 우울도구(The Center for Epidemiology Studies - Depression Scale, 이하 CES-D)를 전겸구 등(2001)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한국어판 역학연구센터 우울도구(CES-D)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4. 자기효능감

이론적 정의: 자기효능감이란 다양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요구되는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선택적 능력들이 잘 배합되어 일련의 행동을 조직하고 실행할 수 있게 하 는 자기 자신의 생산적 능력에 대한 긍정적 믿음을 말한다(Bandura, 2010).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은 Sherer 등(1982)이 개발한 자기효능감 도 구(Self-Efficacy Scale)를 김주현(1996)이 번역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5. 삶의 질

이론적 정의: 삶의 질이란 한 개인이 살고 있는 문화권, 가치체계 내에서 자신의 목표, 기대, 규범, 관심과 관련하여 인생에서 자신이 차지하는 상태에 대한 개인적 인 지각을 말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1993).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삶의 질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가 개발한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20)

도구를 기초로 민성길 등(2000)이 개발한 한국어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도구(WHOQOL-BREF)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6.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이론적 정의: 의미치료(Logotherapy)는 인간 행동의 동기가 삶의 의미와 목적을 추구하는 것이라 강조하면서 인간 실존 안에 있는 로고스(의미)를 스스로 깨닫게 하 여 자신의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도록 돕는 심리치료기법을 말한다(Frankl, 1963).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은 패트리샤 스타크의 의미이론 (Theory of Meaning)을 배경으로 이론에서 제시하는 기본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우울한 국내 중년기 여성에 적합하도록 개발한 주 2회, 4주간, 90분의 8회기 프로 그램을 말한다.

(21)

Ⅱ. 문헌 고찰

A. 중년기 여성의 우울

중년기는 신체적, 생물학적 노화가 시작되는 시기로 인생의 유한성에 직면하여 본 질적 자아에 대한 성찰을 시작하는 시기이다(오진아, 2020). 특히 청소년기와 성인기 의 발달단계를 거쳐 오고, 다가오는 노년기를 대비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인간 발달은 연속적 변화의 과정으로 심리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 하기 때문에 중년기에 대한 명확한 구분은 쉽지 않고 학자마다 견해를 달리한다 (권순범, 2020; 이주형, 2020). 따라서 중년기에 대한 연령 기준도 학자마다 다르다.

Jung(1954)은 35-40세를 중년기라 하였고, Erikson(1968)은 40-60세, Levinson (1986)은 좀 더 세분화하여 중년기 연령을 나누었다. 중년기를 생활 연령으로 나누어 설명한 선행연구(박금자, 2002; 신희석, 2002; Yu & Zu, 2011; 손정아 등, 2019) 에 서는 40-59세의 연령을 중년기로 설명하였다.

Erikson(1968)은 중년기의 발달단계 과업으로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는 것을 포함하는 생산성으로 설명하였고, Levinson(1986)은 중년기의 삶의 과업으로서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Jung(1954)은 인간의 삶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그는 인간은 인생 전반부와 후반부에 서로 다른 삶의 목적과 목표를 추구하는데, 후반부의 경우 특히 과거를 돌아보며 인생을 반성 하고, 전반부만큼 더 많이 성장할 수 있는 시기로, 자신을 움직인 진짜 동기를 찾아 보고, 진정한 자기를 발견하는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고 하였다. 덧붙여 Jung(195 4)은 중년기를 두고 젊은 시절 꿈꾸던 인생의 목표와 성취가 절정에 이르렀음에도

(22)

불구하고, 자신이 늙어가고 있다는 사실과, 죽음의 필연성에 대한 인식으로 인해 삶 의 무의미함과 공허함이 찾아오는 시기라고 했다. 이 시기에 인생에서 의미를 느끼 지 못하는 것이 신경증을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Beck(1989)은 중년기를 잘 보내는 것은 성공적인 노년기를 보장하는 것이며, 그렇지 않을 경우 우울함에 빠진다고 하였다.

중년기의 여성은 폐경과 노화로 인한 생리적 변화, 가족 내에서의 역할 변화와 함 께 다방면에서 심리, 정서적 변화를 겪으며 혼란을 경험한다(Boswoth et al., 2001;

박금자, 2002; 손정남, 2018). 중년기 여성들은 이런 변화들을 경험하면서 폭넓은 발 달로 성숙을 이루기도 하지만, 반면에 기분저조, 불안정, 신경과민, 건강염려증, 불안, 우울과 같은 정서장애를 경험하기도 하고(박금자 & 이경혜, 2001), 삶의 의미와 목 적을 상실하거나 삶의 공허함, 무관심, 우울, 자살 등, 심각한 위기를 겪기도 한다 (Smithson, 2012). 이러한 중년기 여성에게 우울은 가장 심각한 정신건강 문제 중 하나이다(신희석, 2002; 손정남, 2018).

중년 우울증은 일반적인 우울증과 다르다고 설명하는데, 특히 중년기 여성의 우 울은 여성이 자신의 내면의 가치를 이루지 못하고, 외부적 가치를 추구하며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어 결국 삶이 무기력하고 절망상태에 빠지게 되어 우울이 발 생한다고 한다(박철안, 2016).

우리나라 중년기 여성의 우울에 관한 실태를 살펴보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 18) 자료에 따르면 우울증을 겪는 국내 여성은 45만여 명으로 남성보다 2배 이 상 많았으며, 우울증 진료 환자 중 36.9%가 40-50대의 중년기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5). 또한 국내 여성의 자살률을 살펴보면, 인 구 10만 명당 15.5명으로 남성(37.5명)에 비해 낮았지만, ‘자살 생각을 한 경험’

은 중년기 여성이 66.0%로 중년기 남성(34.0%)에 비해 2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23)

(보건복지부, 2011). 이처럼 중년기 여성의 높은 우울 유병률과 자살생각 경험 등을 토대로 비춰볼 때, 우울이라는 정서적 문제는 중년기 여성이 직면하는 매우 중요한 건강문제임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중년기 여성의 우울 문제는 지역사회에 서 적극적으로 예방하고 중재해야 하는 중요한 사회적 문제임을 시사하고 있다.

중년기의 우울은 특히 삶의 의미와 매우 관계가 높고 우울한 사람일수록 삶 의 의미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Steger et al., 2006). Fabry(1980)는 삶의 의미 와 목적 상실이 급격한 삶의 변화, 선택, 결정의 시기인 삶의 전환기에 놓인 여 성들에게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다고 했다. 중년기 여성의 우울과 삶의 의미와의 관계를 연구한 국내 선행연구(박금자, 2002; 신희석,2002;, Yu & Zu, 2011;, 손정아 등, 2019)에서도 삶이 무의미하다고 느끼면 우울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 다. 이렇듯 중년기 여성의 우울은 삶의 의미와 관련이 높다.

중년기의 우울은 자기효능감과 전반적인 삶의 질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특히 Bandura(1993) 또한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이 우울과 같은 부정적 정서 에 대처하는 것에 훨씬 취약하다고 역설한 바 있다. 국내 연구 중에는 전명철과 김진숙(2019)이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연구 했는데, 이들은 자기효능감과 우울 간 부적 영향관계를 보고한 바 있다.

다른 선행연구에서도 우울이 심화될수록 자신의 능력에 대해 스스로를 부정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을 떨어뜨리는 경향이 있음을 보고하였다(Kim, 2020; 김 다혜, 2020; 신순옥, 2018).

삶의 목표 설정과 목표 추구를 통합하는데 자기효능감은 삶의 의미와 분리 될 수 없는 개념으로 삶의 의미를 통합하는 개념이다(scott, 2002). 패트리샤 스 타크의 의미이론(Theory of Meaning) 중 선택의 자유(Freedom to choose)는 자기효능감이 ‘행동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영향력을 보이는 것’이라는 Bandura(20

(24)

10)의 개념과 ‘행동을 선택한다.’는 점에서 행동을 선택한다는 점이 유사하다. Ba ndura(2010)는 자기효능감을 ‘개인이 결과를 얻는데 필요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으로 정의하였다. 즉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선택적 능 력들이 잘 배합되어 일련의 행동을 선택하는 과정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한다.

특히 중년기의 자기효능감은 인생 전반을 통하여 성공적으로 기능하는데 중요하 다고 하였다(Bandura, 1997, 1999). 자기효능감이란 주어진 상황적 맥락 속에서 요구되는 활동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개인의 지각을 강조하며 행 위에 대한 능력을 강조하는 개념이다(박선영, 2013). 삶의 의미 증진은 자기효능 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으로 시사된다. 문헌고찰을 통해 중년기 여 성이 삶의 의미를 발견함에 따라 자기효능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김태주, 199 8; scott, 2002; 구재선, 2005; 박정묘, 2006, 2007). 특히, 삶의 의미는 자신의 삶에 대해 긍정적이고 만족스럽게 생각하도록 하며, 삶의 방향성과 근거를 제시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하고 성취할 수 있다는 용기를 주어 자기효능감을 높아졌다고 보고하였다(정명선 등, 2013; 심정자, 2015). 심정자(2015)의 연구에 서도 노인 대상자에게 8회기 의미치료 프로그램을 적용 후 우울이 감소하고, 자 아통합감과 자기효능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삶의 의미 증진은 자 기효능감을 높이고 우울을 감소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우울한 중년기 여성은 전반적인 삶의 질도 떨어지게 되는데(손정남, 2018), 이런 경우 삶의 의미를 발견하면 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이 향상 된다(원두리 등, 2005).

이처럼 우울은 정신적 생활에 있어 부정적 영향을 미침으로써 전반적으로 삶의 질을 하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박경희와 김상미(2020)는 독거노인을 대 상으로 한 연구에서 우울이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보고한 바가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수행한 다수의 연구를 통해 우울

(25)

에 의한 정신건강상의 문제가 전반적인 삶의 질을 감소시킨다고 하였다(Jang, 2017; 박경희와 김상미, 2018). 삶의 질이란 한 개인이 살고 있는 문화권, 가치 체계 내에서 자신의 목표, 기대, 규범, 관심과 관련하여 인생에서 자신이 차지하 는 상태에 대한 개인적인 지각을 말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1993).

서울지역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삶의 질 도구를 개발한 노유자(1988)는 삶의 만 족, 긍정적 정서, 행복, 주관적 안녕을 삶의 질을 대표하는 속성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삶의 질에 관한 특성이 의미치료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간 실존의 특성과 밀접 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상의 선행연구에서 살펴 본 바에 의하면 국내 여성의 높은 우울 유병률 및 자 살생각에 대한 조사 결과와 문헌고찰한 중년기 우울의 특성들을 종합해보면, 중년 여성이 직면한 우울이라는 정서적 문제는 심각한 수준의 정신건강 문제이며, 이와 관 련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중년기 여성들의 우울에 대한 조기의 효과적 중재가 필 요하다. 중년기 여성의 우울은 특히 삶의 의미와 목적과 관련된 것이며, 그에 따라 우울이 나타난다. 그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 로 본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중년기 우울 중재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평가 시 삶의 의미, 삶의 목적, 자기효능감, 삶의 질 요인들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B.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중년기 우울을 중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약물치료와 비약물치료인 심리사회 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그 중에 심리사회적 치료 방법으로는 정신분석요법, 인

(26)

지요법, 행동수정요법 등이 있다(한춘자, 2009). 특히 우울증에서 가장 많이 사용 되는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는 우울 증상을 유발한 역기능적 인지, 사고 를 개인이 인식하도록 돕는 방법이다. 인지요법은 왜곡된 자신에 대한 인식을 현 실적이고 적응적인 인지구조로 바꾸게 하여 우울을 감소시킨다(Beck, 1989).

국내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미술 치료과정을 융의 개성화 관점에서 살펴보고 적용한 연구(길은영, 장인희, 2016), 음악 적 요소를 중재프로그램 치료에 적용한 연구(신상헌, 2014; 장은영, 2015), 운동중재 (Brown et al., 2005; Kai et al., 2016; 김영욱과 오수학, 2017), 무용 및 동작을 적 용한 중재프로그램을 도입한 연구(은신성, 2013; 황선아, 2014), 기타 예술적 기법을 적용한 중재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곽혜신, 2016; 김정숙, 2016), 마음챙김이나 명상 의 기법을 적용한 연구(박정민, 최인령, 2016; 유승연 등, 2014) 등이 있으며, 그 밖에 도 영화(김정숙, 2016; 신경아, 2014), 목회상담(문영순, 2015; 안순옥, 2014), 문학(임 명남, 2016; 최보경, 2016; 한효정, 조희주, 2016) 과 같은 치료적 도구를 활용해 중 재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 등이 있다. 특히 중년 여성의 우울에 대한 중재 연구를 체 계적 문헌고찰로 살펴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 영역이 가장 많이 수행된 연구로 보고 되었다(한진덕과 이근매, 2018).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비약물적 우울 중재 체 계적 문헌고찰 연구를 살펴보면, 이러한 우울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로 우울 감소, 불 안 감소, 삶의 질 향상, 심리적 웰빙 향상, 삶의 만족도 향상, 사회적 지지 증가, 스 트레스 감소 등이 보고되었다(채명옥 등, 2016). 그러나 이러한 선행 연구들은 중년기 여성의 심리적 요인인 우울에 대해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운동중재가 중년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한 연구(김영욱과 오수학, 2017)에서는 필라테스, 요가, 복합운동, 유산소운동 등의 운동이 우울에 큰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이나 신체활동이 중년기 여성의 우울을 개선하고 정

(27)

신건강도 증진 시킨다는 국외 연구도 있다(Brown et al., 2005; Kai et al., 2016).

알츠하이머병이나 기타 다른 형태의 치매를 앓고 있는 가족을 돌보는 우울한 중 년 및 노인 여성에게 인지행동치료(CBT) 기반 프로그램을 실시한 Gallagher 등 (2008)의 연구에서는 중년 및 노인 여성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CBT가 효과적임 을 보고하였다. Gallagher 등(2008)은 4개월 간 CBT기반 소규모 그룹개입과 최 소한의 전화개입을 병행하여 실험하였는데, 전화개입보다 CBT가 전반적인 스트 레스 정도와 우울을 낮추는데 더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우울증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긍정심리학 기반 프로그램과 CBT기반 프로그램을 제 공한 연구에서는 두 가지 프로그램이 우울증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 다. 그러나 우울증 성인여성의 만족도는 긍정심리학 기반 프로그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Lopez‐Gomez et al., 2017).

이상의 중년기 여성을 위한 우울 중재 프로그램의 선행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우울 중재 프로그램을 중년기 여성에게 적용하였을 때 우울의 감소에 효과적임 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국내 중년기 여성의 우울증상을 직접 다루지 않 았고, 우울의 원인이 되는 삶의 무가치함과 공허함을 극복하기 위한 삶의 의미 와 목적 발견을 돕는 접근 방법은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지 못한 중년기 우울 여성에게 삶의 의미증진은 중요 하다. 특히 국내 중년기 우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삶의 의미증진 중재연구는 알 코올 중독자 부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유일하다(조선희, 2008). 이러한 선행연구 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삶의 의미 상실과 공허함으로 인해 우울한 국내 중년기 여성을 위한 근거기반 의미증진 중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28)

C.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의미치료(Logotherapy)는 삶의 의미를 찾으려는 인간의 선택을 존중하고 동기 를 이끌어내서 존재의 의미를 발견하도록 돕는 치료법이다. Frankl(1984)은 삶의 의미를 증진하는 치료가 특히 우울증, 자살, 공격성, 중독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하 였다. 이에 우울한 사람을 대상으로 중재 연구한 의미증진 프로그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삶이 무가치하고 공허함으로 인해 우울한 이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Robatmili et al., 2015)에서 의미중재는 삶의 의미를 높이고 우울을 감소시켰다. 박선영(2013)의 연구에서도 의미감 증진 프로그램이 우울한 사람들의 삶의 의미와 삶의 만족도, 긍정 정서, 희망을 높이고, 부정 정서와 우울을 낮추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Breitbart 등(2015)은 진행성 암환자를 위한 의미중심 집단정신치료(Meaning -Centered Group Psychotherapy, MCGP)를 개발하였다. 8회기로 구조화된 매 뉴얼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우울과 불안, 희망 없음, 빨리 죽고 싶 은 마음이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삶의 질이 향상됨(James, 2012; Breitbart et al., 2015; Kim & Choi, 2020)을 보고하였다.

우울한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 Therapy, CBT)와 의미중재의 효과를 비교한 연구(Moosavi et al., 2012)에서 의미중재가 인지행동치 료보다 노인의 우울개선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해당 연구는 우울중재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CBT보다 의미중재의 효과성을 확인 할 수 있는 연구이다.

국내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집단 의미중재를 실시한 이영애 등(2007) 과 정 명선 등(2013)의 연구를 살펴보면, 중년기의 여성에게 의미중재가 삶의 의미, 삶 의 목적, 자아존중감, 정체감, 자기효능감을 효과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것

(29)

을 보여주었다.

국외 연구로 미국 이민 후 우울증상으로 고통 받는 중년기 여성을 연구한 Cho 등(2013)에 의하면, 의미요법 자서전 쓰기 프로그램을 적용 후 삶의 의미가 증 가하고 우울이 감소했다고 보고하였다. 자서전 쓰기와 병합된 의미중재(Logo-auto biography)는 자서전 쓰기를 통해 삶의 변화 및 의미 탐색과 함께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위기상황에서 어떤 태도를 취했는지 생각해보게 하며, 최종적으로 자 서전 출판 활동으로 창조적 가치를 느끼게 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참여자로 하여금 유일성과 강인함을 깨닫도록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삶의 의미를 높이고, 우울이 감소 하는 효과를 가져 왔다(Cho et al., 2013).

이와 같이 의미증진을 위한 중재 효과는 이미 다수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효과 적인 중재임이 밝혀졌다. 중년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대상에게 의미중재를 적용한 결과, 삶의 의미 수준 증진, 불안, 우울 등의 부정적 정서 완화뿐만 아니라 신체 적 고통 감소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자아존중감, 삶의 질, 자기효능감, 극복력, 안녕감, 희망 등 긍정적인 특성이 향상 되는 결과를 나타냈다(Peterson et al., 2005;

Steger et al., 2006; 이영애 등, 2007; 구본진, 2008; 조선희, 2008; Cho et al., 2013;

Bernstein et al., 2013, 2016; Soetrisno et al, 2017; 한슬기, 2019; Kim & Choi, 20 20). 연구대상별로 의미중재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청소년 암환자(강경아, 2006), 중년기 일반여성(이영애 등, 2007), 알코올 의존자의 부인(조선희, 2008), 입원한 부 인암 여성(구본진, 2008), 이민자 한국여성(Cho et al., 2013), 성인 건강관련 교육 자(Makola, 2014), 우울증 대학생(Robantmili et al., 2015), 관상동맥 우회술 환자 (Mahdizadeh et al., 2016), 자궁경부암 환자(Soetrisno et al., 2017), 임상 간호사 (한슬기, 2019), 지역사회 우울증상을 가진 노인(Kim & Choi, 2020)등을 연구대상 으로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가 보고되었다.

(30)

또한 의미중재 관련 국내 논문들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연구 주제별로 임 상군(12.8%)에서 신체적인 질병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 수준을 연구한 논문이 21편으로 가장 많았고, 정신건강 관련 임상군의 경우는 총 4편의 연구만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박은선과 박지아, 2013).

이와 같이 국내 의미치료 선행 연구가 신체적인 질병에 초점이 맞춰져 수행된 것이 많은 반면, 정신건강 문제 중 우울을 가진 고위험군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 로 프로그램이 개발 적용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또한 국내 의미중재 연구에 서 삶의 의미와 관련된 변인에 대해 단순한 연관성을 조사하는 서술적 연구가 대 부분이었고,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중재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박은선과 박지아, 2013). 특히 국내 중년기 우울 여성에게 의미중재를 적용한 사례와 그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의미중재는 중년기의 혼란과 위기로 인해 삶의 의미를 상실하고 우울한 여성들 에게 자신이 고유한 존재이며 선택의 자유가 있는 존재라는 인식과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를 통해 삶의 목적과 의미, 자신의 긍정성과 강점을 발 견하도록 도울 수 있다. 국내 중년기 우울 여성의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용이한 프 로그램 적용을 위해서는 구조화 된 방법을 이용,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긍정성이나 적응 전략을 유도하고 제시하는 근거기반 의미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문헌고찰을 토대로 살펴보면, 여성의 중년기는 삶의 전환기로, 심리적인 적응이 요구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때 중년기 여성들은 삶의 의미와 목적을 상 실하며, 삶의 공허함 우울 자살 등의 심각한 위기를 겪게 된다. 중년기 여성의 높 은 우울 유병률과 높은 자살사고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중년기 여성들의 우울을 조기에 효과적으로 중재할 필요성을 부각시킨다. 특히 중년기의 우울은 삶의 의 미와 관계가 높으며, 삶이 무의미하다고 느끼면 우울이 증가한다는 선행문헌은

(31)

고위험군 국내 중년기 우울 여성의 삶의 의미에 대해 다루지 않았던 기존 간호중 재들의 한계점을 보여준다. 기존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은 심리적 요인인 우울에 대 하여 직접 다루지 않았고, 삶의 의미를 상실한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한 의미증진 중재 프로그램이 거의 없었다. 이에 삶의 무의미함과 공허함으로 우울한 중년기 여 성들에게 긍정적이고 구조화 된 방법을 이용하여 적응전략을 유도하고 제시하는 근 거기반 삶의 의미증진 간호중재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D. 패트리샤 스타크의 의미이론(Theory of Meaning)

1. 빅터프랭클의 의미치료(Logotherapy)

의미이론(Theory of Meaning)의 모태가 되는 프랭클의 의미치료는 실존주의에 입각하여 완성된 심리치료기법으로 삶의 의미와 함께 삶의 목적을 찾는 것이 인 간이 건강해지도록 돕고, 나아가 건강을 유지한다고 보았다. 의미치료는 로고테 라피, 의미요법, 의미중심치료 등으로 불리는데, 이들은 모두 같은 개념을 말한다.

의미치료는 각각 로고(Logo)와 테라피(Therapy)라고 하는 두 단어로 구성되어 있 다. ‘로고(Logo)’는 말, 행실, 계획, 의도, 지혜, 의미(MEANING)라는 뜻을 가지고 있 는데 심리 치료 차원에서 의미치료에서 로고는 ‘의미’라는 뜻으로 해석된다(Frankl, 1963). 또한 ‘테라피(Therapy)’는 ‘치료’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 로고테라피는 한국 어로 '의미치료’를 뜻한다. 즉 의미치료는 단어 구성을 토대로 ‘의미를 통한 치료 (Healing through Meaning)’라고 정의 할 수 있다(김미라, 2018).

의미치료는 정신분석과 행동요법의 한계점을 지적하면서 발달한 인간에 대한 실존주의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둔 심리 치료적 접근방법으로, 인간 행동의 동기

(32)

가 삶의 의미와 목적을 추구하는 것이라 강조한다(한재희와 남지연, 2020). 비엔나 3대 심리학파인 의미치료에서는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는 것이 인간의 기본적인 동 기이자 욕구라고 하였다. 의미치료는 프로이드 박사의 정신분석과 아들러 박사의 개인 심리학에 이어 심리치료로서 실존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의미치료는 인간 실존 안에 있는 로고스(의미)를 스스로 깨닫게 하여 자신의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도록 돕는 것이다(Frankl,1963). 여기서 삶의 의미는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찾는 것 이고, 만드는 것이 아니라 발견하는 것이다(김미라, 2018a).

의미치료의 세 가지 기본원리는 자유의 의지(선택의 자유, Freedom of will), 의미에 의 의지(의미를 찾으려는 의지, Will to meaning), 그리고 삶의 의미(Meaning in life) 이다(Frankl, 1963, 1969). 주요 개념은 유일성, 고유성, 선택의 자유, 의미에의 의 지, 삶의 의미이다. 삶의 의미는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를 통해 발 견할 수 있다고 하였다(Frankl, 1963, 1969).

의미치료의 주요 상담 기법으로는 역설적 의도법, 탈숙고, 소크라테스 대화법, 그리 고 태도수정 등이 있다.

Frankl(1963, 1969)에 따르면 인간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자신의 태도를 결정 할 수 있는 선택의 자유를 가지고 있고,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동기인 의미에의 의지를 통하여 최악의 상황에서도 의미를 추구한다고 하였다.

실존적 공허와 삶의 의미 상실은 우울을 비롯한 여러 심리적 문제의 원인이 된 다. 의미치료는 인간의 실존 안에 숨겨져 있는 의미(Logos)를 찾도록 도와주는 것 이다(Frankl, 1963). 프랭클은 의미를 추구하는 과정은 삶의 기본 동력이자, 고통 을 이겨 낼 원동력이 되며 자기초월을 통하여 정서적, 영적 안녕을 가져온다고 하 였다. 그는 우울이 인간에게 심리적인 고통을 야기하지만, 바로 그 고통이 존재의 이유와 그들의 가치를 알 수 있는, 즉,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할 수 있는 절호

(33)

의 기회라고 주장하였다(Frankl, 1984).

의미치료의 기본 목표는 인간이 건강하도록 돕고, 나아가 건강을 유지하도록 돕 는 것이다. 의미치료에서는 인간의 책임감에 관심을 두고, 운명적인 문제에 낙망하 고 절망한 사람들에게 삶의 사명을 일깨워주고 동시에 자신의 삶의 선택에 책임을 심어줌으로써 보다 긍정적으로 삶의 의미를 설정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김정익, 2008). 삶의 목적과 의미를 찾음으로서 가치가 있는 삶, 보람이 있는 삶을 살도록 도와준다(이종호, 2014). 의미치료는 개인이 영성 안에 건강의 핵심이 되는 자원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즉 인간의 영의 도전적인 힘을 통해 삶의 고통이 나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김미라, 2018, 2018a, 2018b, 2019).

선행문헌을 살펴보면 의미치료(Logotherapy)는 인간의 기본 동기인 삶의 의미 를 찾게끔 돕고 인간이 유일성, 고유성을 인식하게 하므로 삶 자체나 존재만으로 도 충분히 가치나 의미가 있음을 발견하게 함으로 삶의 의미를 향상(김영혜, 199 6; 신경일 등, 2000; 박선실, 2005; Moosavi et al, 2012; 강경아 등, 2013; Ma kola, 2014; Robatmili, 2015; Breitbatt et al., 2015, 이경은, 2016; Dezelic &

Ghanoum, 2017) 시킨다.

의미치료의 관점에서 실존적 공허와 삶의 의미 상실은 우울을 비롯한 심리적 문제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중년기 여성들은 변화와 위기로 우울이라는 심리적 고통을 야기하지만 삶의 의미를 발견하면 우울은 감소한다(박금자, 2002; 신희석, 2002;, Yu & Zu, 2011;, 손정아 등, 2019). 그러므로 삶의 의미의 발견은 중년기 여성의 우울을 극복하기 위한 중요한 치료 방법이다.

Kim & Choi(2020)에 의하면 의미치료의 요소인 삶의 긍정성을 강조하고, 자신 의 문제와 거리두기를 통해 우울이 감소됨을 보고 하였다. 또한, 태도적 가치를 통 해 고통에도 불구하고 대상자에게 긍정적 태도를 갖게 하며 순간의 의미를 발견하

(34)

고 태도가 수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프랭클을 포함한 다수의 학자들은 우울 등의 인간의 정서적 고통은 그 고통을 없애고자 하는 노력을 통해서가 아니라 의미를 발견하면 사라진다고 하였다(Frankl, 1963, 1967; Fabry, 1980; Lukas, 1984).

의미치료는 신체적, 사회적, 환경적 여건은 변하지 않아도 삶을 긍정적으로 바 라보는 태도로 주관적 안녕감과 삶의 질을 높인다(James, 2012; Bratmili, 2015;

Breitbart et al., 2015; Zanjiran et al., 2015; Kim & Choi, 2020).

이상의 의미치료의 특성은 중년기 여성이 경험하는 인간의 고통인 우울을 중 재하는데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즉 중년기의 변화와 혼란으로 인해 삶의 공허 함과 무의미함으로 우울을 경험하는 여성에게 삶의 긍정성을 회복시키고 삶을 보 다 의미 있고 가치 있게 살아가도록 돕는 의미치료가 우울을 중재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2. Starck의 의미이론(Theory of Meaning)

프랭클의 의미치료(Logotherapy)에 기반을 두어 개발된 의미이론(Theory of Meaning)은 중범위 간호이론이다(Starck, 2014).

Starck(2014)는 의미이론에 대하여 ‘다학제 간의 결합을 위해 빌려주는 틀’이 라고 소개하였다. 즉 기존의 의미치료 요소들을 통합하여 제시한 의미이론 통합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간호중재 개발 및 근거기반 실무를 적용하는데 있 어서 적용근거 기본 틀로 사용 될 수 있다(Starck, 2014).

(35)

(1) 의미이론의 목적 및 개발방법

간호사 및 기타 건강관리자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는 생명을 위협하 는 질병, 만성질환자 들에게 건강을 회복하거나 치료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인간 의 동기부여의 방법을 찾는 일이다(Starck, 2014).

Starck(2014)는 다이빙 사고로 돌이킬 수 없는 척수 손상을 입게 된 젊은 남자 환자(Jerry Long)를 위해 간호사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질문한다. 그는 17세에 부상 당한 후 장애를 극복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렇듯 의미이론은 장애 및 비 극적인 삶의 변화에 대해 삶을 변화시키고 동기부여와 인간 행동에 대한 답을 제시 해준다. 의미이론은 개인의 수준을 넘어 그룹이나 지역사회에 의미치료를 적용하는 근거를 마련해 주었다(Starck, 2014).

Starck(2014)는 의미이론에 대하여 네 가지 가정을 제시하였는데 첫째, 인간의 의미추구는 삶의 주 된 동기라고 하였다(Frankl, 1984). 둘째로, 인간의 선택의 자유에서 선택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였다(Frankl, 1963). 셋째는 절망적인 상황 에서도 인간은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하였다(Frankl, 1984). 마지막으로 삶은 매 순간 모든 상황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였다(Fabry, 1991). 이 이론의 네 가지 가정은 인간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이론의 핵심이다(Starck, 2014).

Travelbee(1969, 1971, 1972)는 Frankl의 의미치료를 실제로 간호현장에 사 용한 최초의 간호사이다. Travelbee는 정신과 환자들에게 질병 상황에도 불구하 고 삶의 문제에 맞서 인간의 고통을 깨닫도록 돕는데 의미치료 기법을 처음 사용 하였다(Starck, 2014). 1997년 Frankl의 죽음 이후, 의미치료는 교육자, 연구자, 실 무자들에 의해 계속 이론이 넓어지고 확장 되어 나가고 있다(Starck, 2014). 이렇듯 Starck의 의미이론의 개발의 시초는 Frankl의 의미치료 배경이다.

(36)

(2) 의미이론의 개념

의미이론의 세가지 개념은 삶의 목적(Life purpose), 선택의 자유(Freedom to Choose), 인간의 고통(Human suffering)이다. 이들 개념은 인간의 차원에서 시 작된다. Starck(2014)는 인간 존재를 신체적(Body), 정신적(Mind), 영적(Spirit) 차원으로 이루워진 차원적 존재로 보았다. 신체적, 정신적 차원은 병이 들 수 있지만, 영적 차원은 병이 들 수 없다고 하였다(Starck, 2014).

이는 Frankl(1969)의 차원적 존재론을 기반하여 유도된 개념으로 프랭클도 인간 을 신체(Soma), 정신(Psyche), 영(Spirit)적인 3차원적 부분이 통합된 존재라고 설명한다. 신체적 차원에서 인간은 거의 완전히 결정되어진 존재이고, 정신적 차 원면에서 인간은 조정가능한 존재이다. 영적 차원에서의 인간은 자유와 책임의 존 재이다(김미라, 2018). 인간은 몸과 정신을 갖고 있지만, 영은 삶의 목적을 추구 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부분이다(Starck, 2014).

① 삶의 목적

의미이론의 중심 개념은 삶의 목적(Life purpose)이다. 삶의 목적은 ‘나는 누 구인가?, 나는 왜 여기에 있는가?’ 질문에 대한 즉, ‘자신의 존재 이유’에 대한 질문의 답이 된다(Starck, 2014).

삶의 의미와 목적은 Frankl 이론의 주 전제로 인간의 유일성과 특이성, 모든 사람은 필수적이고 대체할 수 없음(Frankl, 1973)을 말한다. 삶의 의미와 목적은 스스로 발견하는 것이다. 다른 사람이 의미를 부여하거나 처방 할 수 없다(Starck, 2014). 삶의 의미는 항상 변한다고 가정했지만, 멈추지는 않는다(Frankl, 198 4). 즉 개인마다 유일성을 갖고 변화하는 것이 삶의 의미이지만, 모든 사람들

(37)

은 삶의 의미를 갖고 있다는 것이 Frankl의 기본 전제이다. 삶의 의미와 목적 을 찾기 위한 세가지 방법은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를 통해 각 개인이 자신의 의미를 발견해야 한다고 하였다. 세가지 가치를 통해 간호사는 대 상자가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도록 도울 수 있다(Starck, 2014).

의미이론에서 제시하는 창조적 가치(Creative value), 경험적 가치(Experience value), 태도적 가치(Attitude value)의 탐색을 통해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 는 방법이다(Starck, 2014).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첫 번째 방법은 일이나 취미활동과 같은 행동에 의해 실현되는 창조적 가치이다. 즉 작품을 만들거나 자신을 넘어서는 행위를 경험하 면서 의미를 발견하게 된다. 자기초월(Self-transcendence)은 삶의 목적과 관 련이 있다(Frankl, 1969). 자기초월이란 죄책감, 과거의 트라우마, 기타 감정들 의 자신에서 벗어나 자기 자신에서 멀어지는 것이다(Starck, 2014). 우울한 자 신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을 향해 자기초월을 하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Starck, 2014). 여기서 자기초월과 Maslow(1968)의 자아실현을 혼동해서는 안되는데, 자기 초월이 이루어 지면 의도하지 않은 부산물로 즉, 궁극적 효과로 자아실현이 이 루어 진다고 하였다(Frankl, 1975). 자기초월은 인간 존재의 핵심으로 기본적으 로 자기 자신을 넘어서 의미있는 어떤 것을 성취하기 위해 나아가는 것이다. 자기 초월을 통해 인간의 자기 자신에 대한 존재적 이해가 가능하다(김미라, 2018a).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두 번째 방법은 자연이나 인간관계에서 만남 등에 의해 서 실현되는 경험적 가치를 통해서이다. 경험적 가치는 무언가를 경험하거나 누 군가를 만나면서 경험할 수 있다. 다른 사람을 사랑하거나, 만나는 경험을 통해 의미를 찾고 삶의 목적을 가능하게 한다. Frankl은 사랑은 개인을 넘어서 오래 지속된다고 믿었다. 즉 죽음보다 사랑이 더 오래 지속된다고 보았다.

(38)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세 번째 방법은 삶이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자신의 태도를 긍정적이고 용감하고 낙관적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이것은 태도적 가치를 통한 의미 발견으로 우리가 회피 할 수 없는 고통에 대해 취하는 태도에 의해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Starck, 2014). 이는 창조나 인생의 즐거 움 속에서 뿐 만 아니라 고통을 극복함으로써 그 가치가 실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삶의 3대 비극인 고통(Suffering), 죄책감(Inescapable guilt), 죽음(Death)에 대 한 태도를 통해 의미를 발견하도록 한다(Starck, 2017).

이처럼 의미이론는 세 가지 가치(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를 통해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고, 대상자가 삶의 고유성과 긍정성이 확장될 수 있고 삶의 부정적인 측면을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 기초월로 인해 우울에 국한된 내 모습이 아닌 자신에게서 벗어나 다른 사람을 향 하게 함으로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Starck, 2014). 의미이론의 요소들은 중년기 우울 여성에게 그들이 살아가야 하는 이유와 목적, 그리고 자기발견을 통 해 자신의 긍정성과 강점을 발견하도록 하여 우울에서 벗어나도록 도울 수 있다 (Starck, 2017).

② 선택의 자유

선택의 자유(Freedom to Choose)는 의미이론의 두 번째 개념이다. 이것은 우리 가 통제 할 수 있는 영역의 옵션 중에서 선택하는 과정을 말한다(Starck, 2014).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기 위해 어떠한 고통의 상황(Human suffering)에서도 언 제나 선택의 자유(Freedom to Choose)가 대상자에게 있음을 강조한다(Starck, 2014). 의미 있는 삶이란 선택을 함에 있어서 자유와 책임이 함께 있는 삶이다.

즉 자유의지에 의한 선택으로 책임감 있게 반응하는 삶이다(김미라, 2018a).

(39)

Frankl(1984)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자신의 태도를 선택하고 자신의 방식을 선 택하는 것이 인간의 자유(Freedom to will) 라고 했다. 수용소에서 어떤 사람은 돼지처럼 행동했고 어떤 사람은 성인처럼 행동한 일화를 소개하며 인간의 선택의 자유에 대해 설명하였다.

③ 인간의 고통

인간의 고통(Suffering)은 고유하고 다양한 주관적인 경험이다(Starck, 2014).

Frankl(1975)은 고통에는 의미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고통은 인간 경험의 일부 이다. 인간은 감당할 수 없고, 설명할 수 없고, 피할 수 없는 일들이 일어난다. 이 러한 사건에서 의미를 찾을 필요는 없다. 오히려 의미는 우리가 고통에 대해 취하 는 입장, 예를 들어 암과 함께 살기 위해 선택하는 용기 있는 방식에서 비롯된다 (Starck, 2014).

Frankl(1975)은 최악의 고통을 ‘절망, 의미 없는 고통’ 이라고 설명했다.

(3) 의미이론의 전제

의미이론의 핵심 전제는 인간의 일차적인 동기가 자신의 삶에서 의미와 목적을 추구하는 것이며, 이러한 동기는 프로이드의 쾌락에의 추구나 아들러의 권력에의 추구보다 더 강하다는 것이다(Starck, 2014).

의미이론에서 사람은 몸(Body), 마음(Mind), 그리고 영(Spirit)의 통합으로 간주 된다(Starck, 2014). 한 번도 상처받지 않은 영은 선택의 자유를 추구하는 인간 의 고유한 부분으로 설명된다. 몸과 마음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것(having)이고, 영은 우리에게 있는 것(being)이다. Frankl(1984)이 말한 영(Spirit)의 개념은 종

(40)

교나 믿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본질, 즉 그 사람의 영성을 지칭 하는 것이다. 인간의 영은 고통에 대한 태도를 택할 수 있다. 의미이론에서는 환 자가 고통에도 불구하고 삶의 목적을 향해 나아갈 때, 간호사는 환자의 선택의 자유에서 반성을 촉진하여 환자의 영을 돌본다고 보았다(Starck, 2017).

(4) 의미이론 기법

Frankl(1969)은 세 가지 의미치료 접근법을 설명하였다. 이는 탈숙고(Dereflection), 역설적 의도(Paradoxical Intention), 소크라테스 대화법(Socratic Dialogue)이다. 탈 숙고와 역설적 의도는 인간 존재의 본질적인 특성, 즉 자기초월과 자기와 거리두 기 능력을 통해 실현된다(Starck, 2014). 치료자는 대상자의 과거를 깊이 파헤치 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심리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대상자안에 잠재한 긍정적 인 잠재력을 발견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김미라, 2019c).

① 탈숙고

탈숙고(Dereflection)는 문제가 되는 현상 또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문제 를 강조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행위를 말한다(Starck, 2014). 탈숙고는 자기초월 능력을 강화한다. 탈숙고의 일반적인 절차로는 과도한 의도와 숙고간의 연계성을 확인한 후 관계를 설명하고, 대상자에게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

이어 의미있는 활동에 대한 대한 목록을 작성하게 하고, 어떤 것에 대해 과도하게 의도하거나 숙고할 때마다 대안목록으로 돌아가 의미있는 활동을 하게 한다(김미라, 2019c).

우울한 사람의 경우 탈숙고는 그사람과 우울증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참조

관련 문서

연령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수축기 혈압, 체질량 지수가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SPSS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실습해보도록 하자.. 보고자 하는 변수를

공기 기포 지닌 잎 따라 흐르는 물을 주기적으로 막음으로써 젂력원으로

③특정한 컴퓨터 외에는 이용할 수 없는 프로그램을 다른 컴퓨터에 이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에서의 변경.. ④프로그램을 특정한 컴퓨터에 보다 효과적으로

 해석도화기 상에서 지상기준점 성과와 항공삼각측량 성과를 이용 하여 필요한 지형 지물을 묘사하는 작업으로서, 지상기준점 및 사 진기준점 성과를 이용하여

본인이 저작한 위의 저작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 아래 조선대학교가 저작 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락하고

미분과 적분의 발명에 대한 뉴턴과 라이프니츠 사이의 논쟁 속에서 라이프니츠는 어떤 한 감정을 느꼈을지 눈을 감고 공감해봅시다..

○ 이에 교수님께 메일로 자문을 하여 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전분을 이용 하여 생분해가 가능한 플라스틱을 제작한 후 추가적인 성분을 집어넣 어 연구 목적에

저작물에 대한 이용기간은 년으로 하고 기간종료 개월 이내에 별도의 의사 표시가 5 , 3 없을 경 우에는 저작물의 이용기간을 계속 연장함5. 해당 저작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