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논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1-116)

B.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Ⅵ. 논의

A.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본 프로그램은 Starck(2014)의 의미이론(Theory of Meaning)에 근거하여 중 년기 우울 여성을 위해 개발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의 주 목적 은 중년기 우울 여성이 삶의 의미를 발견함으로써 삶의 목적, 자기효능감,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우울은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프로그램은 김창대 등(2019)의 4 단계 프로그램 개발 모형 절차에 따라 개발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국내 중년기 우 울 여성이 삶의 의미증진을 통해, 우울을 극복하게 하기 위해 시도되었다는 점이 차별화 되며 이를 위해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첫 단계로 프로그램 목표수립을 위해 중년기 우울 여성을 대상으로 수행된 중재연구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중년기 우울 여성은 삶의 의미 와 목적을 찾지 못하여 우울함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했고(박금자, 2002; 신희석, 20 02;, Yu & Zu, 2011;, 손정아 등, 2019), 삶의 의미와 목적은 실존의 이유인데 의미 의 부재는 다양한 심리사회적 문제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년 기 우울 여성들이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게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은 의미치료에 기반을 둔 의미이론을 기 틀로 개발되었다. 의미이론에서 제시하는 기본 개념을 토대로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의 주요 요소를 도출하였다. 주요 요소는 ‘중년기 여 성으로 너와 나의 참 만남’, ‘자기발견 및 내 안의 긍정성’, ‘내 안의 고유성 발견: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 ‘선택의 자유와 책임’, ‘자기초월’, ‘새

로운 미래로의 전환’이다. 이에 따라 본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목표 및 회기별 목표 를 수립하였다. 특히 좋은 질문하기 활동을 통해 우울한 중년기 여성에게 적극적 이고 긍정적으로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적응전략을 제시하여 프로그램의 효 과를 높였다.

두 번째 단계인 프로그램 구성단계에서는 중년기 우울 여성들이 적극적이고 긍정 성을 갖고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적극적인 참여를 위 한 활동전략으로 접근이 용이한 지역종합사회복지관을 활용하여 독립적인 공간에 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매 회기마다 마인드 벨을 활용한 명상으로 프로그램의 집중을 유도하였으며 좋은 질문하기 활동을 통해 생각과 행동이 소극적인 우울 대 상자들에게 지시적 질문을 한 후 숙고할 시간을 충분하게 준 뒤에 발표를 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중년기 우울 대상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했고 적극적인 적응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세 번째 단계인 예비연구단계에서는 8회기 프로그램 중 4회기의 내용을 단축하여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 운영과 내용에 대해 검토하고 점검하였다. 또한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통해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이 중년기 우울 여성에게 적합 한지 확인하였고 수정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축하게 되었다.

본 연구 프로그램은 선행연구에서 가장 효과적이라고 제시한 8회기, 주 2회, 90분 운영으로 구성하였다(한진덕과 이근매, 2018; 조선희, 2019). 매 회기 다른 주제로 중년기 여성들이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을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이 기존 의미치료와 차별되는 점은 중년기 우울을 경험하는 여성의 특성에 맞추어 그들의 우울을 극복할 수 있는 적 극적이고 지시적 적응 전략을 제시한 데에 있다. 구체적으로 좋은 질문하기 활동 (소크라테스 대화법)은 소극적인 우울 여성에게 질문을 통해 답을 하게 하면서 삶

의 의미와 목적을 찾도록 도왔다. 또한 지역사회 중년기 여성 우울을 위한 간호중 재 실무에 있어서 중재의 중요성에 비해 근거기반 간호실무가 부족한 실정이었는 데 Starck의 의미이론에 기반하여 연구 및 실무 현장에 근거의 틀로 유용한 가 이드가 되었다. 의미이론을 기반하여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를 중년기 상황에 맞게 구성하여 활동지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참여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게 하여 대상자의 실존적 유일성과 고유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를 통 해 중년기 우울 여성들이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는 활동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우울이 감소하고 효능감과 전반적인 삶의 질이 향상 되는 효과를 가져오 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주2회 8회기 제공되었는데, 참여자들은 8회기의 프로그램이 짧 았다고 평가하였다. 프로그램을 마친 후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해 확인한 결과 프 로그램 만족도는 높았다.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 견하여 우울이 감소하고 기쁨과 즐거움을 찾게 된 참여자들은 추후 프로그램을 개설 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이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병 상황으 로 복지관 타 프로그램들은 취소가 되어 참여할 수 없었고, 본 프로그램을 통해 중년기 여성으로의 정체성을 찾고 다시금 행복을 느끼게 되었기에 프로그램을 더 받고 싶다고 했다. 본 프로그램의 주 2회, 8회기 프로그램은 중년기 우울 여성들 에게 삶의 의미를 찾고 우울이 감소하는데 효과적이었다고 생각된다. 다만 긍정적인 심리적 변수의 향상과 유지를 위하여 중년기 여성을 위한 의미증진 프로그램의 회기 를 8회기 이상으로 구성하여 운영하는 것도 고려 해 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 프로그램은 중년기 우울 여성 대상자에게 의미이론(Starck, 2014)를 바탕으 로 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인간의 기본 욕구인 ‘선택의 자유’, ‘의미 에의 의지’, ‘삶의 의미’, 즉 ‘의미’를 찾도록 함으로써, 삶의 긍정성과 자신의 존

재가 충분히 고유한 존재로 가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중년기 우울 여성을 대상으로 한 근거기반 의미치료 프로그램 개발, 적용한 연구 가 거의 없기 때문에 본 연구의 시도는 차별화되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은 국내 중년기 우울 여성들의 우울 예방 중재가 미흡한 시점 에서 Starck의 의미이론 근거기반 틀을 활용하여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도록 도 와 우울이 만성적 경과로 진입하거나 중증 우울증으로 발전되는 것을 조기에 예 방하고 중재하는데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B.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1.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로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38명의 대상자에게 4주간 총 8회기의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그 결과 삶의 의 미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삶의 의미(Meaning in Life) 향 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의미치료 요소를 일부만 반영하거나 우울 대상자를 다루지 않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지시적 적응전략을 유도하여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한 것이 결과를 긍정적 으로 나타나게 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또한 추후 검정 결과 프로그램 종 료 후 삶의 의미의 효과는 지속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효과크기도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이는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의 속성인 자기발견과 참여자 간의 신뢰 관계 형성이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본 프로그램의 회기별 목표로 수립하였던 ‘1회기: 자기발견’, ‘3-5회기: 삶의 의미 발견: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 가 삶의 의미를 높이는 긍정적인 영향을 보인 것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본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매 회기 프로그램 도입부에 프로그램의 믿음을 함께 낭독하며 참여자들에게 삶이 의미가 있다고 강 조하였고, 매 회기 다른 주제의 활동으로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도록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다. 1회기 프로그램은 “너와 나의 참 만남(신뢰관계 형성)”을 주 제로 중년기 여성들과의 참 만남의 시간을 통해 신뢰감을 형성하는 것을 구성하 였는데, 이때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와 의미이론의 기본 개념인 삶 은 언제나 의미와 목적을 갖고 있고, 선택의 자유를 통해, 삶의 목적을 찾으면 우울은 회복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또한 서약서 및 규칙 작성과 함께 참여자 자기소개 및 불리고 싶은 별명 짓기 활동으로 고유하고 유일한 존재로 자기 자신 을 인지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이 자신을 한 인간으로 유일성과 고유성을 발견하여 삶의 의미를 발견하도록 하였다.

자폐 스펙트럼을 앓고 있는 아이를 키우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Mihan doust& Soleymani, 2020)에서는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대상 자들이 다른 대상자의 대화를 듣고 그들이 서로 유사한 두려움, 문제, 걱정거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프로그램을 통해 대상자들은 혼자가 아니라는 것 을 알아차리는 것은 은둔과 소외를 줄여 고통의 공통성을 높여 주었고, 삶의 의미 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한슬기, 2019)도 의미증진 프로그램이 삶의 의미 점수(MLQ)를 증가시켰다. 또한 의미치료 프로그램의 효과가 프로그램 종료 후 4주 까지 지속되었다는 것도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한다. 한슬기(2019)의 연구 에서는 간호사로 하여금 왜곡된 경험으로 인해 무시된 간호사라는 직업의 가치를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적용하여 긍정적으로 발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서 결국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