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개발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7-63)

Ⅳ. 연구방법

본 연구는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 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2단계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그림 3.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개발과정

출처: 김창대 등(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학지사, 2019)

1. 단계 1 : 프로그램 목표수립 단계

첫 번째 단계로 목표수립 단계이다.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대상자의 요구를 조 사하며, 그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의 회기별 목표를 수정하는 단계이다(김창대 등, 2019). 이 단계에서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 설정하고 의미이론을 토대로 프로그 램의 주요 요소 및 회기별 목표를 수립 하였다.

(1)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의 기획

여성의 중년기는 다양한 심리사회적 문제들을 갖고 있다. 그 중 우울은 가장 심각한 문제이다. 특히 중년기 여성은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지 못하여 우울을 경험하고 무엇을 선택하고 행동할 수 있다고 믿는 자기효능감과 전반적인 삶의

질도 낮게 나타난다. 이에 그들의 삶에 있어서 삶의 의미와 목적을 증진하도록 함으로써 중년기 여성들이 우울을 극복하고 나아가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을 증진 시키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은 이들에게 유용한 간호 중재 방법이 될 것이다.

의미중재는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를 통해 궁극적으로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도록 돕고 이로 인해 우울이 감소하고 다양한 심리사회적 문제 들을 해결 할 수 있다(Starck, 2017).

기존 의미중재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효과적이었으나, 국내 중년기 우울 여성 을 대상으로 적용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 연구들은 암 등의 심각한 신체 질환(강경아, 2006; 구본진, 2008; Mahdizadeh et al., 2016; Soetrisno et al., 2017), 노인 및 젊은 성인의 우울증(Robantmili et al., 2015; Kim & Choi, 2020), 일반 중년기 여성(이영애 등, 2007; 정명선 등, 2013)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년기 우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해외 이민 한국인 여성(Cho et al., 201 3; Bernstein et al., 2013, 2016)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알코올 중독자 부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조선희,2008)가 있다. 프로그램의 방법에 있어서도 기존의 의미 치료의 경우, 다년간의 지도 감독과 수련을 필요로 하는 치료 방법으로 지역사 회 간호사들이 쉽고 간편하게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중년기 우울여성을 대상으로 보다 용이한 프로그램 적용을 위해서는 구조화 된 방법을 이용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적응 전략을 유도하는 의미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되었다. 또한 의미치료 적용에 있어서 근거기반의 틀 로 구조화된 프로토콜을 가지고 지역사회 간호사들이 의미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적용 하는데 용이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사료 되었다. 그에 따라 국내 중년기 우울 여성 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기획하게 되었다.

(2) 우울한 중년기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개발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요구조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첫 단계로 선행연구 고찰을 실시하였다. 우울한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중재와 의미치료 프로그램 개발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중 년기 우울 여성의 요구도를 확인하였다. 이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 라 선행연구 고찰을 실시하였다. 우울한 중년기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 그램 개발 관련한 문헌고찰을 통해 중년기 여성의 우울 중재 프로그램의 요구도 를 확인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우울한 중년기 여성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 해 중년기 우울의 심각성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중년기 우울을 중재하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중년기 우울 여성들에게 적용 된 선행 우울중재 프로그램들을 살펴보고 효과와 제한점을 확인하였다.

기존 우울 중년기 여성 대상 간호중재는 윤리적 타당성 부족, 유사 실험설계로 우울중재의 효과인지 정확하게 파악이 안 됨, 중재효과 지속성 확인 부족, 중재 기간과 횟수 등의 근거 부족(채명옥 등,2016; 방윤이, 2019)이 한계점으로 드러 났다. 주요 우울증의 경우, 임상에서 약물치료가 우선이나, 지역사회에 있는 경도 및 중등도 우울증 중년기 여성의 경우 예방과 치료를 위해 적용할 수 있는 근거 기반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또한 삶의 의미 상실과 실존적 공허감이 중년기 우울과 관련이 높다는 것을 확 인하고 삶의 의미를 증진시키는 기존의 의미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그에 따라 의미중재를 통해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면서 삶의 의미 수준 증 진, 신체적 변화로는 고통 감소, 불안과 우울 등의 부정적 정서는 완화, 자아존중 감, 삶의 질, 자기효능감, 극복력, 안녕감, 희망 등 긍정적인 특성이 향상(Peterso

n et al., 2005; Steger et al., 2006; 구본진, 2008; 조선희, 2008; Cho et al., 201 3, Bernstein et al., 2013, 2016; Soetrisno et al., 2017; 한슬기, 2019; Kim & Cho i, 2020) 된다는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국내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한 의미증진 프로그램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 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중년기 여성들의 우울을 감소시 키고, 효능감과 삶의 질을 향상시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필요성을 확인 하였다.

(3)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 수립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높은 우울 유병률과 높은 자살사고로 주요 정신건강 문제인 우울을 조기 중재하기 위하여 중년기 우울 여성을 대상으로 삶 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들의 삶의 의미와 목적을 증진시키고, 우울 을 감소시키며, 자기효능감,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 프로그램 의 목적 및 목표 설정 절차에 따라 Starck(2014)의 의미이론과 빅터프랭클(Victo r. E. Frankl)이 제시한 의미치료의 기본 개념과 의미발견의 주요 지침(Fabry, 1 988)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주요 요소 및 회기별 목표를 수립 하였다.

의미이론(Theory of Meaning)의 3가지 주요 개념은 삶의 의미(Life purpose), 선 택의 자유(Freedom to choose), 인간의 고통(Human suffering)이다(Starck, 2014).

삶의 의미는 의미이론의 첫 번째 중심개념으로, 인간의 실존 이유를 설명한다.

이는 인간의 유일성과 상황의 특이성에서도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는 것이 인간 의 기본 동기라고 하였다. 의미이론의 두 번째 개념인 선택의 자유는, 인간이 고 통의 상황이나 통제 상황에서도 자신의 태도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인간의 고통은 의미이론의 세 번째 개념인데, 주관적인 경험으로 개인마다 유일 성이 보인다(Starck, 2014). 의미이론에서 제시하는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방법으 로는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의 탐색을 통해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고 하였다(Starck, 2014). 창조적 가치는 자기초월과 관련이 있고, 의미이론 에서 제시하는 중재 요소들을 고찰하고 통합하여 프로그램 목적을 수립하였다.

의미이론에 기반을 두어 수립한 본 프로그램의 목표는 ‘첫째, 중년기 여성과의 참 만남의 관계형성을 통해 타인과 신뢰관계를 형성한다. 둘째, 자기발견을 통해 강점(긍정성), 자신만의 가치(유일성)를 명료화 한다. 셋째,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 치, 태도적 가치를 통해 내 안의 고유성을 확인하고 삶의 의미를 찾는다. 넷째, 선택 의 자유를 인지하게 하고, 자기중심성(중년기 우울에 몰두되어 고통속에 있는것)에서 벗어나 자기초월하여 의미 있는 일을 향하도록 돕는다. 다섯째, 삶의 목적과 의미를 발견하고 새롭게 변화된 자신의 모습을 확인한다.’ 로 하였다.

Starck(2014)의 의미이론과 Frankl이 제시한 의미치료의 기본 개념과 의미발견의 주요 지침(Fabry, 1988)을 토대로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의 주요 요소를 ‘너와 나의 참 만남’, ‘자기발견 및 내 안의 긍정성’, ‘내 안의 고유성 발견 :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 ‘선택의 자유와 책임’, ‘자기초월’,

‘새로운 미래로의 전환’ 으로 도출하였다.

주요 요소에 따르는 회기별 목표는 1회기: 프로그램의 목적과 규칙을 이해하 고 참여자간의 관계형성을 통해 신뢰관계를 형성, 2회기 : 자기발견을 통해 자신의 긍정성을 찾고 내 유일한 가치를 명료화, 3-5회기 :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 도적 가치를 통해 내 안의 고유성을 발견, 6회기 : 중년기에 당면한 문제를 확인하 고, 인간에게는 선택의 자유가 있고 행동을 선택하면서 스스로가 영향력을 발휘 할 수 있음을 인지, 7회기 : 자신에게 맞춰진 초점(중년기 우울)을 초월하여 타인과의

의미 있는 일을 향하도록 함, 8회기 : 새롭게 변화된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고 앞으로의 삶 속에서 유지 할 수 있도록 격려이다. 본 프로그램의 목적 및 회기별 목표 수립 과정 은 그림 4. 와 같다.

프로그램의 목적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중년기 우울 여성의 삶의 의미와 목적을 증진시킴으로써, 우울을 감소시키고, 삶의 의미, 삶의 목적, 자기효능감,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목표

첫째, 중년기 여성들과의 참 만남의 관계형성을 통해 타인과 신뢰관계를 형성한다.

둘째, 자기발견을 통해 강점(긍정성), 자신만의 가치(유일성)를 명료화 한다.

셋째,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를 통해 내 안의 고유성을 확인하고 삶의 의미 를 찾는다.

넷째, 선택의 자유를 인지하게 하고, 자기중심성(중년기 우울에 몰두되어 고통속에 있는 것) 에서 벗어나 자기초월하여 의미 있는 일을 향하도록 돕는다.

다섯째,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새롭게 변화된 자신의 모습을 확인한다.

회기 주요 요소 회기별 목표

1 너와 나의 참 만남 프로그램의 목적과 규칙을 이해하고 중년기 여성 참여자간 의 관계형성을 통해 신뢰관계를 형성한다.

2 자기발견 및 내 안의

긍정성 자기발견을 통해 자신의 긍정성을 찾고 내 유일한 가치를 명료화 한다.

3-5 내 안의 고유성 발견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를 통해 내 안의 고유 성을 발견한다.

6 선택의 자유와 책임

중년기에 당면한 문제를 확인하고 인간에게는 선택의 자유 가 있고 행동을 선택하면서 스스로가 영향력을 발휘 할 수 있음을 인지한다.

7 자기초월 자신에게 맞춰진 초점(중년기 우울)을 초월하여 타인과의 의 미 있는 일을 향하도록 한다.

8 새로운 미래로의 전환 새롭게 변화된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고 앞으로의 삶 속에서 유지 할 수 있도록 참여자간 격려한다.

그림 4. 프로그램의 목적 및 회기별 목표 수립 과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