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의 효과평가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3-76)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중년기 우울 여성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 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며,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 디자인은 표 1. 과 같다.

Ÿ X =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8 회기(주당 2회)

표 1.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의 효과평가를 위한 연구설계

2. 연구대상

선정기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중년기 우울 여성이다. 선정기준은 만 40세에서 59세 까 지의 일개 지역사회인 S시 거주 중년기 여성을 표적 집단으로 하였다.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척도(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에서 5점-19 점 사이의 경도 우울증과 중간 정도 우울증 대상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

한 인지기능이 정상이고, 의사소통 가능자, 연구목적을 이해, 참여에 동의한 자를 포함하였다.

제외기준: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 제외기준은 우울하지 않은 사람(PHQ-9 점수 4점 이하) 및 심한 우울(PHQ-9 점수 20점 이상)을 가진 대상자이다. 또한 최근 4주 이내 정신 과적 약물복용을 시작 하였거나 약물용량에 변화가 있었던 자, 연구기간 내 다른 심리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자도 연구 참여를 제한하였다.

탈락기준:

본 연구의 연구대상 탈락기준은 8회기 프로그램 중 6회기 미만 참여자(조선희, 2019)는 연구에서 탈락하였다.

표본크기: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한 적정 표본 크기는 G*Power 3.1.9 program을 이용하여 (Faul et al., 2007) 두 집단 반복측정 분산분석에서 유의수준 α는 .05, 검정력 은 .80, 반복측정횟수 3회, 집단 수 2개, 효과 크기(effect size)는 0.4를 기준(김 찬희, 2018)으로 G*Power 3.1.9 program을 이용하여 표본의 크기를 산출한 결 과 총 36명이었다. 의미치료 프로그램을 대학생에게 적용한 선행연구의 대상자의 탈락률 6.7%(김숙남 등, 2011)를 고려하여 각 집단 별 대상자수는 20명으로 하 여 총 40명을 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후조사 까지 설문조사를 완료한 참여 대 상자는 총 38명으로 실험군 20명, 대조군 18명이었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 흐름도는 그림 5. 와 같다.

실험군

(A종합사회복지관) 대조군

(B종합사회복지관)

탈락 (n=13)

◾PHQ-9 < 5 (n=10)

◾스케줄 겹침 (n=3)

선별검사 (n=33)

선별검사 (n=23)

탈락 (n=5)

◾PHQ-9 < 5 (n=2)

◾참여거절(n=3)

사전조사 (n=20)

사전조사 (n=18)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8회기, 주2회)

(n=20)

사후조사

(n=20)

사후조사 (n=18)

추후조사 (n=20)

추후조사 (n=18)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1회 제공)

그림 5. 연구 진행과정 흐름도

3. 연구도구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으며, 도 구는 개발자 및 번역자에게 도구 사용에 대한 사전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1) 삶의 의미 (Meaning in Life)

본 연구에서 삶의 의미는 Steger 등(2006)이 개발하고, 원두리 등(2005)이 번안 하고 타당화 한 한국어판 삶의 의미 도구(Korean Version of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MLQ)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삶의 의미 도구는 전체 10문항에 7점 리커트 척도로 이루어진 자기보고식 검사이다. 2개 하위요인으로 의미추구, 의미존재가 있다. 의미추구(5문항)는 의미를 찾으려는 행위에 대한 부분이고, 의 미존재(5문항)는 이미 현존하고 있는 의미에 대해서 얼마나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부분이다. 1점 전혀 아니다, 2점 아니다, 3점 약간 아니다, 4점 보통이다, 5 점 약간 그렇다, 6점 그렇다, 7점 매우 그렇다로 나타낸다. 최저 10점에서 최고 70점까지 나타내는데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의미가 높음을 뜻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원 도구 개발 당시 Cronbach's alpha는 .82-.87이었고, 중년기 여 성을 대상으로 한 하정혜 등(2016)의 연구에서는 .89였다. 본 연구에서는 .93이었다.

(2) 삶의 목적 (Purpose in Life)

본 연구에서 삶의 목적은 Crumbaugh 와 Maholick(1968)이 개발한 삶의 목적 검사(Purpose in Life)를 김형섭 등(2001)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삶의 목적 도구 (Purpose in Life; PIL)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삶의 목적 도구(PIL)는 총 20문 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7점 리커트 척도로 각 문항의 중간 점수 4점을 기준으 로 아주 부정적인 답(1점)과 아주 긍정적인 답(7점)만을 양극단에 놓고 그 사이에 상반된 일정한 등간격으로 나누어 답하도록 되어 있다. 최저 20점에서 최고 140 점까지 나타내는데,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목적이 높음을 뜻한다. Crumbaugh

와 Maholick(1968)에 따르면 92점 이하는 삶의 목적 부족, 93-111점 사이는 삶 의 목적이 불명확한 것, 112점 이상은 삶의 목적이 명확하게 존재한다고 보았다.

도구의 신뢰도는 Crumbaugh 와 Maholick(1968)의 연구에서 Cronbach's alpha 는 .85이었으며,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김형섭 등(2001)의 연구에서는 .89이었 고, 본 연구에서는 .91이었다.

(3) 우울 (Depression)

본 연구에서 우울은 Radloff 등(1977)이 개발한 CES-D(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 Depression Scale)를 전겸구 등(2001)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한국어판 역학연 구센터 우울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일주일간 경험했던 우울 증상의 빈도에 따 라 0점에서 3점까지로 측정하는 리커트 4점 척도, 총 20문항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한 것을 의미한다. 자료 분석 시 4개 문항(4번, 8번, 12번, 16번)은 역점수를 부여하여 분석하였다. 응답 범위는 0점(극히 드물다)에서 3점(대부분 그랬다)까지 이며, 분석 시에는 변수 값을 0점에서 3점까지로 리코딩한 합 점수를 사용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원 도구 개발 당시 Cronbach's alpha는 .85이었고,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박금자 등, 2002)에서는 .90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80 이었다.

(4) 자기효능감 (Self efficacy)

본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은 Sherer 등(1982)이 개발한 자기효능감 도구(Self-Efficacy Scale)를 김주현(1996)이 수정 번역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기효능감

도구는 7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점에서 4점까지 리커트 4점 척도이고, 점수 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원도구 개발 당시 Cronbach's alpha는 .86이었고,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박정숙과 이영은(2011) 연구에서는 .86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93이었다.

(5) 삶의 질 (Quality of Life)

본 연구에서 삶의 질은 세계보건기구가 개발한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도구를 기초로 민성길 등(2000)이 개발한 한국 어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도구(WHOQOL-BREF)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삶의 질 도구는 총 26개의 항목, 리커트 5점 척도로 1점에서 5점까지 구성되어 있다. 전반적인 삶의 질 및 일반적 건강, 신체적 건강 영역, 심리적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 환경 영역의 4가지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좋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한국어판 개발 당시 Cronbach's alpha는 .90이었다. 중년기 여성 을 대상으로 한 안선영 등(2016)의 연구에서는 .93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94이었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Demographic Variables)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나이, 교육 정도, 직업, 종교, 결혼 상태, 주관적 경제 상태, 성격 특성, 자녀의 수, 복지관 프로그램 이용 여부 및 개수 등 을 조사하였다.

4.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월 14일부터 9월 2일까지 S시 소재 위치 가 다른 2개의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진행 되었으며, 구체적인 자료수집 진행 절차 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스크리닝

본 연구는 S시에 소재한 A, B종합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40세 이상 59세 이하 의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모집공고를 게시하고 자발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선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을 하기 전 A 종합사 회복지관 시설장 및 관리자에게 본 연구의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자료수집에 대 한 허가를 받았다. 선별검사 도구는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척도(PHQ-9,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를 이용하였다.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척도는 DSM-IV의 주요우울장애의 진단기준에 따른 우울증을 선별하기 위한 자기 보고형 검사 도구 이다. 총 9문항 4점 리커트 척도로 0점에서 4점은 우울증 아님, 5점에서 9점 사이 는 경도 우울증, 10점에서 19점 사이는 중간정도 우울증, 20점에서 27점 사이는 고 도 우울증으로 본다(박승진 등, 2010). 본 연구에서는 5점에서 19점 사이의 경도 우울증과 중간정도 우울증 대상자를 연구대상으로 선별하였다.

실험군을 모집한 A 종합사회복지관에서는 총 33명이 스크리닝에 참여하였다.

선별검사자 중에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척도(PHQ-9) 점수가 5점 미만인 대상자 1 0명과 프로그램 일정과 스케줄이 겹치는 3명의 대상자는 연구에서 제외되었고, 사전 조사를 실시한 실험군 인원은 총 20명이었다. 이 인원(20명)은 프로그램 참

가부터 추후 조사까지 탈락 없이 진행되었다.

대조군을 모집한 B 종합사회복지관에서는 총 23명이 스크리닝에 참여하였다.

선별검사자 중에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척도(PHQ-9) 점수가 5점 미만인 대상자 2 명과 설문조사에 응하기 거절하는 3명의 대상자는 연구에서 제외되었고, 사전 조 사를 실시한 대조군 인원은 총 18명이었다. 이 인원(18명)은 추후 조사까지 탈락 없이 진행되었다(그림 5. 참조).

(2) 사전조사

실험군 3개 그룹의 설문조사는 2020년 1월 14일부터 9월 2일까지 S시 소재 1 개의 A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실시하였다. 모집공고를 통해 선별검사를 실시한 후 에 실험군으로 선정된 대상자에게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고, 삶의 의미증진 프로 그램을 받기 전 사전조사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조군의 사전조사는 2020년 1월 14일부터 9월 2일까지 S시 소재 실험군과 다른 기관인 1개의 B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실시하였다. 모집공고를 통해 선별검사 를 실시한 후에 대조군으로 선정된 대상자에게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고, 사전조 사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대상자가 대조군인지 모르는 연구 보조원 2명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사전, 사후, 추후조사는 동일한 연구보조원이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사전조사 후 별도의 처치를 제공하지 않았다. 설문에 소요 되는 시간은 약 15-20분 내외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대상자에게 동일한 소정 의 사례품을 제공하였다.

(3)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제공

실험군 A 그룹(6명)은 2020년 1월 14일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주 2회, 8회기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4주간 제공하였고, B 그룹(5명)은 2020년 3월 13일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주 2회, 8회기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4주간 제공하였 다. C 그룹(9명)은 2020년 7월 10일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주 2회, 8회기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4주간 제공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시간은 총 90분으로, 상황 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에게 매 회기 소정의 사례금과 마스크를 제공하였다.

실험군으로 프로그램을 시작한 20명 중에 9명의 참여자는 100% 출석률을 보였 다. 7명은 개인사정(직장, 건강문제)등으로 1회 결석하였고, 4명은 개인사정(건강 문제, 자녀문제)으로 2회 결석하였다. 조선희(2019)의 연구에 따르면 의미중재가 성인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한 결과 프로그램 회기가 6-8 회기 운영이 가장 많았고, 효과도 높게 나왔기 때문에, 본 프로그램의 총 8회기 프로그램 중 6회기 이상 참여 대상자에게 사후조사 및 추후조사를 실시하였다.

(4) 사후조사

실험군의 사후조사는 주 2회, 8회기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4주간 제공한 후, 실시하였다. A 그룹은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 마지막 회기를 끝낸 직후인 2 020년 2월 6일에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B 그룹은 2020년 4월 7일에 사후 조 사를 실시하였다. C 그룹(9명)은 2020년 8월 5일에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사전조사가 완료 된 후 4주 후에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소

요되는 시간은 약 15-20분 내외였으며, 대조군 모든 대상자에게 실험군과 동일 한 소정의 사례품을 제공하였다.

(5) 추후조사

실험군은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이 종료 된 4주 후에 추후조사를 실시하였다.

A 그룹(6명)은 2020년 3월 11일에 실시하였고, B 그룹(5명)은 2020년 5월 6일에 추후조사를 실시하였다. C 그룹(9명)은 2020년 9월 2일에 추후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조군 또한 실험군과 동일한 시기인 사후조사가 완료 된 후 4주 후에 추후조 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15-20분 내외였으며, 대조군 모든 대상자에게 실험군과 동일한 소정의 사례품을 제공하였다.

5. 윤리적 고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A 대학교병원 기관연구윤리심의위원회에서 연구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AJIRB-SBR-SUR-19-477).

연구 참여는 자의적이며 자신이 원하지 않을 경우 설문 조사 및 프로그램에 응 하지 않아도 되고, 이로 인해 불이익을 절대 받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을 설명하 였다. 연구의 목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연구자 외에 다른 사람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딩 자료를 연구자가 직접 작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대상자에게 연구 목적과 연구 내용을 자세히 설명하고 응답해 준 내용은 모두 무 기명으로 처리하여 비밀이 보장되고 연구 목적 외의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음을 약속하였다. 추후조사가 끝난 직후 대조군 집단에게 빅터프랭클의 <죽음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