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의 이론적 기틀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47)

본 연구는 패트리샤 스타크(Starck, 2014)의 중범위 간호이론인 의미이론(Theo ry of Meaning)의 원리를 기초로 하여 이론적 기틀을 설정하였다. Starck(2014) 의 의미이론은 빅터프랭클의 의미치료(Logotherapy)를 모이론 으로 기반을 두는 의미중재 실무의 기초가 되는 중범위 간호이론이다.

의미이론의 3가지 주요 개념은 삶의 의미(Life purpose), 선택의 자유(Freedom to choose), 인간의 고통(Human suffering)이다.

첫 번째 삶의 의미는 의미이론의 중심개념으로, 인간의 실존 이유를 설명한다.

이는 인간의 유일성과 상황의 특이성에서도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는 것이 인간 의 기본 동기이다(Starck, 2014). 선택의 자유는 의미이론의 두 번째 개념으로, 인간이 고통의 상황이나 통제 상황에서도 자신의 태도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Starck, 2014). 인간의 고통은 의미이론의 세 번째 개념인데, 주관적인 경험으로 개인마다 특이성과 유일성이 보인다. 의미치료에서 인간의 고통 자체는 무의미하다고 하지만 고통을 겪고 있는 인간은 의미가 있는 존재임을 강조한다 (Frankl, 1975). 예를 들어, 인간에게 암은 의미가 없다(Breitbatt et al., 2015).

그러나 암에도 불구하고 암을 가지고 있는 인간 개인은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하였다(Starck, 2014). 프랭클은 고통을 인간 경험의 일부라고 보았다. 또한 고 통을 다루는데 있어서 개인을 선택의 자유를 통해 자신의 태도를 선택 할 수 있 는 존재라고 보았다. 인간은 자유의지로 선택한 것에 대해 책임이 따른다(김미라,

2018a). 의미이론은 인간의 우울이라는 고통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본인을 ‘우울 한 사람’ 이 아닌 ‘우울증에도 불구하고 의미를 찾는 사람’으로 선택하여 그들이 변화하게 도와준다(Fabry, 1991).

Starck(2014)의 의미이론의 이론적 기틀에 개념 관계는 그림 1.에 제시되어 있 다.

그림 1. 이론적 기틀 : Theory of Meaning (Patricia L. Starck)

출처: Middle Range Theory for Nursing, Third Edition, New York, Springer, 2014

몸, 마음, 영의 통합 차원적 존재인 중년기 여성이 우울이라는 인간의 고통을

갖고 있지만,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도록 돕는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통 해 어떠한 고통의 상황에서도 선택을 할 수 있는 자유를 인지하고,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여 인간의 고통인 우울이 감소하고,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이 향상 되도록 하여 건강을 회복할 수 있다(Starck, 2014).

차원적 존재론에 의거하여, 몸 마음 영으로 이루어진 중년기의 여성은 여러 위기 상황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우울이라는 고통 속에 있으며, 삶이 무의미하게 느껴 지는 실존적 공허까지 느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년기 여성들에게 선택의 자유는 여전히 존재하는 것을 대상자에게 인지시켜 줄 수 있다. 우울은 개인적으로 느끼는 주관적인 고통의 경험이지만,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중년기 여성들 이 고통에도 불구하고 선택의 자유가 있음을 인지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Star ck, 2014). 의미이론의 개념들에서 자기발견,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 치, 자기발견, 긍정성, 고유성, 선택의 자유, 자기초월, 미래로의 전환을 통해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역사회 중년기 우울 여성들이 선택의 자 유가 있는 고유한 존재로서 삶의 의미와 삶의 목적을 발견하도록 도와주며, 그들 이 자신의 유일성과 긍정성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우울증상을 감소시키고 자기효 능감과 삶의 질을 증가 시킬 수 있을 것이다. Starck(2014)의 의미이론을 기반으 로 한 본 연구에서의 개념적 기틀은 그림 2. 와 같다.

그림 2. 연구의 개념적 기틀

Ⅳ. 연구방법

본 연구는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 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2단계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