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22-142)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과 아무런 처치 를 하지 않은 대조군만을 비교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러나 프로그 램의 특수한 효과를 보다 자세하고 정확하게 검증하기 위해서는 다른 처치(CBT 등) 를 하는 비교중재집단을 포함하여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의 추후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었는지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추가 중재(Booster Session)를 제공하고, 추후조사를 6개월, 12개월 후 실시하여 보다 장기적인 프로그램의 효과 의 지속을 확인해 볼 것을 제안한다.

셋째, 연구대상자를 특정지역의 중년기 우울 여성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구 결과를 우리나라 중년기 여성으로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므로, 연구결과 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보다 많은 표본수를 대상으로 하는 무작위 대조군 실험설 계 방법을 이용한 추후 연구가 이어지기를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대상자에게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보완하고 효과를 검증하 는 연구를 제안한다. 중년기 우울 여성 뿐 아니라, 중년기 남성, 우울증을 진단 받은 임상군, 기타 취약계층(노숙인, 정신장애인, 발달장애인 부모 등)의 대상자 를 확대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해 볼 것을 제언한다.

참고문헌

강경아. (2006). 청소년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의미요법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5, 119-130.

강경아, 김신정, 송미경, 김미정. (2013). 의미요법을 적용한 생명존중 교육 프로 그램이 초등학생의 삶의 의미, 생명존중 인식, 우울에 미치는 효과. Jour 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1), 91-101.

곽혜신. (2016). 중년 여성의 우울감 완화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사례연구. 동덕여 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8). 연령대별 많이 나타나는 정신건강 질환은?.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보도자료. http://www.hira.or.kr/bbsDummy.do?pgmid=HIR AA020041000100&brdScnBltNo=4&brdBltNo=9731 (검색일: 2019.10.18.) 구본진. (2008). 의미요법에 기반한 극복력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입원한

부인암 여성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울.

구재선. (2005). 성격, 효능감, 생활경험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 토착심리학적 접 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권순범. (2020). 개인화 관점에서 본 중년여성의 주거공간과 자녀의 주거독립 (D octoral dissertation, 서울대학교 대학원).

길은영, 장인희. (2016). 융의 개성화 관점에서 본 우울성향의 중년 여성의 미술 치료중재과정. 인지발달중재학회지, 7(1), 73-89.

김다혜. (2020). 대학원생의 자기효능감, 폭력 경험, 건강행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라. (2018). 로고테라피 초급 A 매뉴얼: An Introduction to Logotherapy.

빅터프랭클 로고테라피 협회: 텍사스, 미국.

김미라. (2018a). 로고테라피 중급 A 과정 매뉴얼: Franklian Psychology & At titudinal Change. 빅터프랭클 로고테라피 협회: 텍사스, 미국. 프랭클리 언 심리학과.

김미라. (2018b). 로고테라피 중급 B 과정 매뉴얼: Franklian Psychology: Mea ning-Centered Intervention. 빅터프랭클 로고테라피 협회: 텍사스, 미 국. 프랭클리언 심리학과.

김미라. (2019c). 로고테라피 고급과정 매뉴얼: Logotherapeutic Approaches Understanding and Treating Neurotic Disorder. 빅터프랭클 로고테 라피 협회: 텍사스, 미국. 프랭클리언 심리학과.

김태주. (1998). 중년기 여성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대구산업정보대 학논문집, 12, 109-124.

김태호. (2004). 의미치료 프로그램이 삶의 목적 의식,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 족도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길. (2001). 의미치료에 따른 집단 상담이 기독교인의 삶의 목적과 신앙생활 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진, 강광순, 강명옥, 고미자, 권영란, 김보영, 김은희, 박명희, 박후남, 이은 숙, 이정숙, 정순아, 최봉실 외 편저. (2016). 정신건강간호학 제2판. 서 울: 현문사.

김영순. (2008). 생의 의미발견 집단상담이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 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영욱, 오수학. (2017). 운동 중재가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

석.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1(2), 219-236.

김영혜. (1995). 의미요법 집단상담이 20대 미혼여성의 삶의 목적, 자아존중감및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욱균. (2012). 허약노인의 스트레스 감소와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의미 요법을 적용한 단기집중 원예치료.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윤희. (2016). 의미요법에 기반으로 한 집단음악치료가 일 노인복지관 노인의 우울과 고독감, 죽음불안, 삶의 의미와 질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일 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자경, 손정락. (2007). 의미치료가 비행청소년의 우울, 삶의 목적 및 비행충동 에 미치는 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6(1), 1-19.

김정숙. (2016). 인간중심 표현예술치료가 중년기 여성의 우울, 불안, 정서인식 및 표현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주현. (1996). 혈액투석환자에게 적용한 지시적 심상요법의효과. 간호학논문집-서울대학교, 10(2), 256-257.

김찬희. (2018). 우울증상을 가진 지역사회 노인을 위한 집단 의미치료 프로그램 의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창대, 김형수, 신을진, 이상희, 최한나 공저. (2019).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 램 개발과 평가. 서울: 학지사.

김형섭, 정성권, 고영, & 송진우. (2001). 한국어판 ‘삶의 목적 (PIL) 검사’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사회정신의학, 6(2), 155-163.

김혜원, 안혜영, 조경미, 이주현, 김정은, 정연이, 이연희, 박승미, 김성은, 최혜 선, 이영진, 최영리 공역. (2016). 생애주기 인간발달 8판. 서울: 현문사.

남상건. (2015). 효과크기의 이해.

Hanyang Medical Reviews

, 35, 40-43.

문영순. (2015). 기독교인 중년기 여성 우울증에 대한 목회상담의 접근. 호남신학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2000).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39, 571-579.

박경희, 김상미. (2020). 제주지역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보건과 복지, 22(3), 115-138.

박금자, 이경혜. (2002). 중년여성의 우울 구조모형. 여성건강간호학회지, 8(1), 69-84.

박금자, 이지현, 김미옥, 방부경, 윤수정, 최은주. (2002). 중년 여성의 지각된 스트 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3(2), 354-362.

박선실. (2005). 집단의미요법이 대학생의 삶의 의미발견과 내적 의미실현에 미치 는 효과. 교육학논총, 26(2), 87-108.

박선영. (2013). 삶의 의미와 심리적 건강의 관계: 다차원적 삶의 의미 척도와 의 미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은선, 박지아. (2013). 삶의 의미 연구의 국내 동향과 과제. 사회과학연구논총, 29(1), 267-299.

박정묘. (2006). 심리유형과 자기효능감 및 생의 의미의 관계. 한국심리유형학회 지, 13, 1-24.

박정묘, 심혜숙. (2009). 심리기능에 따른 자기효능감, 페르소나, 영성이 중년기 생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311-328.

박정민, 최인령. (2016).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스트레 스, 스트레스대처방식, 우울, 분노 및 수면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 지, 46(2), 194-206.

박정숙, 이영은. (2011). 중년여성의 통합적 폐경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여성건강

간호학회지 제, 17(1).

박지원, 김주형, 김화순, 박진희, 배선형, 송주은, 정승은 공역. (2015). 간호연구 제9판, 서울: 수문사

박철안. (2016). 중년기 우울증의 문제와 그 극복의 방안-칼 융의 이론을 중심으 로. 신학과 실천, 49, 533-554.

박현숙, 김현미, 손경희, 이혜경, 전성숙, 안효자, 조금희, 하태희 외 편역. (201 8). 실무중심의 정신건강간호학 제5판(수정판), 서울: 현문사.

방윤이. (2019). 한국 갱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우울 감소 프로그램의 융합적 분석.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4), 257-264.

보건복지부. (2017). ‘우울증’,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할 ‘질병’입니다. 보건복지부 보 도자료, Retrieved From https://www.mohw.go.kr. (검색일: 2019.10.18.) 보건복지부. (2017). 2016년도 정신질환실태조사.

손정남. (2018). 중년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갱년기 삶의 질을 중심 으로. J Health Info Stat, 43(2), 148-157.

손정아, 김진주, 현명선. (2019). 중년기 여성의 사회적 연결성과 우울과의 관계 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 urs, 28(4), 373-381.

신경아. (2014). 우울증 중년 여성을 위한 REBT기반 영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신경일, 최순옥, 김숙남, 이정지. (2000). 여성가장의 생의 의미 향상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2), 127-146.

신상헌. (2014). 교회음악 중심 노래심리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과 심리적 안녕 감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순옥. (2018). 고학력 경력단절 중년여성의 사주유형과 자기효능감 및 우울의 관계 분석.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신희석. (2002). 생의 의미가 중년 주부의 우울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 회지: 여성, 7(1), 29-45.

심정자. (2015). 노인의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서울불교대학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안선영, 박효정. (2016). 중년 여성 당뇨병 환자의 성기능, 성 스트레스, 삶의 질 에 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23(4), 393-401.

안순옥. (2014). 중년 여성우울증에 대한 여성주의 목회상담: 이야기치료를 중심 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오진아, 김예영, 박유경, 유소연, 임미해, 조혜련 공저. (2020). 영화로 배우는 인 간성장발달. 서울: 수문사.

원두리, 김교헌, 권선중. (2005).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2), 211-225.

유경희, 주리애. (2011).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중년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교육연구, 5, 23-37.

유승연, 김미리혜, 김정호. (2014). 마음챙김 명상이 중년 여성의 화병 증상, 우울, 불안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883-98.

은신성. (2013).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중년기 목회자부인의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은. (2016). 고위험 허약 독거 여성노인을 위한 의미요법 기반 운동 프로그 램 개발 및 효과.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주형. (2020). 한국 중년 여성의 운동과 스포츠웨어 (Doctoral dissertation,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영애, 황현정, 송종은, 손기철. (2007). 의미요법을 도입한 압화 원예치료가 중 년여성의 삶의 목적과 자아정체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 25(3), 277-290.

이정지. (1996). 의미간호요법이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 생의 목적과 의미 발 견 및 희망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종호. (2014). 로고테라피 집단상담이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삶의 목적수준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효진, 김양수, 박인. (2013). 임상 연구에서 연구 표본수의 산출. 대한견·주관절 학회지, 16(1), 53-57.

임명남. (2016). 중년 여성의 우울을 위한 인지행동 독서치료 단일사례연구. 평택 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숙빈, 김선아, 김성재, 이숙, 현명선, 신성희, 김석선 등 공저. (2015). 정신간호 총론 제7판, 서울: 수문사.

장은영. (2015). 집단 음악치료가 평생교육원에 재학 중인 중년 여성의 우울감, 자아존중감, 인지 및 회복탄력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전명철, 김진숙. (2019). 영유아기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및 부부갈등의 역할. 상담학연구, 20(1), 93-120.

정명선, 김영순, 김수진. (2013). 생의 의미발견 집단상담이 중년여성의 삶의 의 미, 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교육치료연구, 5, 129-144.

전홍진. (2012). 우울증과 자살 역학연구.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 ociation

, 55(4), 322-328

조선희. (2008). 알코올 의존자 부인을 위한 의미요법 자서전 쓰기 프로그램의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7(2), 171-181.

조선희. (2019). 의미요법이 성인 및 노인 우울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 sing, 28(4), 333-343.

채명옥, 전해옥, 김아린. (2016). 한국 중년 여성의 비약물적 우울중재연구. 한국 산학기술학회, 17(3), 638-651.

최보경. (2016). 소루마사지요법이 중년 여성의 하지통증, 피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상진, 최인재. (2002). 한국인의 문화 심리적 특성이 문제대응방식, 스트레스,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 (情), 우리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55-71.

하정혜, 김지현. (2016). 중년 여성 한부모의 성역할갈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에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 리치료, 28(4), 1023-1046.

한국로고테라피연구소. 로고테라피란?. 홈페이지 내 로고테라피 소개, Retrieved Fro m https://www.logotherapykorea.org. (검색일: 2019.11.03.)

한슬기. (2019). 간호사를 위한 일의 의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서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한재희, 남지연. (2020). 상담 및 심리치료 이론 시리즈 12. 의미치료. 서울: 학지사

한진덕, 이근매. (2018). 중년 여성 우울 중재프로그램 국내 연구 동향. 미술치료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22-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