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 대학병원의 혈액 폐기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한 대학병원의 혈액 폐기 분석"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접수일:2011년 7월 26일, 수정일:2011년 8월 11일, 승인일:2011년 8월 11일

한 대학병원의 혈액 폐기 분석

김병철ㆍ서영익ㆍ채금란ㆍ신정원ㆍ최태윤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교실

= Abstract =

Analysis of Discarded Blood Component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Byung Chul Kim, Young Ik Seo, Gum Ran Chai, Jeong Won Shin, Tae Youn Choi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Medical College, Seoul Hospital, Seoul, Korea

Background: When it comes to wasting blood components, it usually means wastage before transfusion due to several reasons such as improvement of the patient’s condition, death of the patient, delay of blood returning, etc. Yet blood components can sometimes can be wasted after a transfusion is started and this is referred as residual blood wastag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ate and causes of discarded blood components that are not used and the residual blood wastage in order to help reduce the rate of blood component wastage.

Methods: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0, the number of and the reasons for discarded blood components without use and residual blood wastage were analyzed by reviewing the 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and wastage statements at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Results: The number of blood components issued during the study period was 24,001 units. Among them, the number of units discarded without use was 162 units (0.7%) and the number of units of residual blood wastage was 115 units (0.5%). Among the reasons for the discarded blood component without use, improvement of the patient’s conditions ranked as 1st with 80 units (49.5%) and death of the patient ranked as 2nd with 42 units (25.9%). The biggest reason for the residual blood wastage was transfusion-related side effects with as many as 52 units (45.2%). Other than side effects, the wastage of residue from pediatric transfusion were 48 units (41.7%), followed by delay of surgery with 5 units (4.3%) and patients’ refusal with 4 units (3.5%).

Conclusion: The wastage of residue from pediatric transfusion was the second most common cause of residual blood wastage in our hospital. According to this, we should evaluate the routine use of pediatric transfusion bags and their cost-effectiveness in our hospital. (Korean J Blood Transfus 2011;22:120-126)

Key words: Blood components wastage, Residual blood wastage, Pediatric transfusion bag

(2)

서 론

우리나라의 헌혈인구는 점점 감소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10대와 20대가 주를 이루고 있는 국 내 헌혈인구 특성상 노인인구가 증가하는 현 추 세대로라면 조만간 혈액제제의 공급에 부족이 일 어날 것으로 예상된다.1) 빠른 고령사회로의 전환 과 동반되는 헌혈인구의 감소에 의한 혈액제제의 수급의 문제는 더 이상 방치할 문제가 아니며 국 가적으로 혈액수급에 대한 보건사회적인 정책이 절실히 필요하다.2) 혈액폐기란 수혈이 가능한 혈 액이 여러가지 이유로 수혈이 시행되지 못하고 재수혈을 할 수 없는 상태로 바뀌는 것을 의미한 다.3) 하지만, 종종 혈액제제의 수혈이 이루어지는 도중에 폐기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를 소 량혈액의 수혈로 인한 수혈후 잔여혈액이라 한 다. 지금 사용되고 있는 혈액제제의 80% 이상이 대형 대학병원에서 쓰여지고 있어4,5) 대학병원에 서 혈액제제의 폐기를 줄이면 혈액제제의 수급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저자들은 혈액폐 기의 감소를 위해 최근 본원의 폐기된 혈액제제 별 출고수, 폐기수, 폐기율을 조사하였고 특히 수 혈후 잔여혈액의 비율과 원인을 분석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재료

2009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순천향대학 교 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의 검사실정보시스 템 및 혈액 폐기 내역을 토대로 혈액은행에서 병 동으로 불출된 후 환자에게 사용하지 않고 폐기 된 혈액제제 162단위와 환자에게 사용하고 남아 서 폐기된 혈액제제 115단위를 대상으로 혈액 폐 기분석을 시행하였다.

2. 방법

1) 폐기혈액 및 수혈후 잔여혈액의 정의 폐기혈액은 혈액은행에서 병동으로 출고된후 환자에게 사용하지 않고 폐기된 혈액제제로 정의 하였다. 또, 수혈후 잔여혈액은 수혈부작용이나 소아 수혈에서와 같이 환자에게 소량의 혈액만 사용하고 혈액백을 꺼꾸로 들었을 경우 혈액이 흐르지 않을 정도일 때 폐기한 혈액제제로 정의 하였다. 전혈 또는 농축적혈구는 병동에 출고된 지 24시간이 지났거나 실온에 30분 이상 방치된 것, 농축혈소판 또는 성분채집혈소판은 출고 후 4시간이 경과된 것, 신선동결혈장은 해동 후 3시 간이 경과되고 냉장보관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 동결침전제제는 해동 후 1시간이 경과되고 냉장보관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은 폐기하였 다.

2) 폐기혈액 분석

혈액은행에서 병동으로 불출된 후 환자에게 사용하지 않고 폐기된 혈액제제에 대해서 제제별 출고수, 폐기수, 폐기율을 분석하고 폐기 사유별 폐기수와 폐기율을 조사하였다.

3) 수혈 후 잔여혈액 분석

환자에게 사용하고 남아서 폐기된 혈액제제에 대해서 폐기 사유별 폐기수와 폐기율을 분석하였 다.

결 과

1. 폐기혈액의 제제별 폐기수, 폐기율과 폐 기 사유별 폐기수, 폐기율

2009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순천향대학 교 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혈액은행에서 출고 된 혈액제제의 총 출고수는 24,001단위로 농축혈

(3)

Table 1. The number (%) of issued blood components and discarded blood components without use, and the wastage rates of issued blood components (2009∼2010)

Blood components The number of issued blood components

The number of discarded blood components (%)

The wastage rates of issued blood components Platelet concentrates

Red blood cell Fresh frozen plasma Cryoprecipitates Apheresis platelet Whole blood Total

5,937 11,356 5,573 329 805 1 24,001

66 (40.7%) 43 (26.6%) 35 (21.6%) 10 (6.2%) 7 (4.3%) 1 (0.6%) 162 (100%)

1.1%

0.4%

0.6%

3.0%

0.9%

100%

0.7%

Table 2. The reasons and number (%) of discarded blood components without use (2009∼2010)

Reasons

The number of discarded

blood components

The percentage of discarded

blood components Improvement in the

patient’s condition Death of patient Deny of patient Damage

Exposure to room temperature

Others Total

80 42 8 2 1 29 162

49.5%

25.9%

4.9%

1.2%

0.6%

17.9%

100%

소판이 5,937단위, 농축적혈구 11,356단위, 신선 동결혈장 5,573단위, 동결침전제제 329단위, 성분 채집혈소판 805단위, 전혈 1단위였다. 주요 제제 의 폐기율은 농축혈소판이 1.1%, 농축적혈구 0.4%, 신선동결혈장 0.6%, 동결침전제제 3.0%, 성 분채집혈소판 0.9%, 전혈 100%였고 총 폐기율은 0.7%였다. 병동으로 불출된 후 환자에게 사용하 지 않고 폐기된 혈액제제는 162단위로 이 중 농 축혈소판이 66단위(40.7%)로 가장 많았고, 농축 적혈구 43단위(26.6%), 신선동결혈장 35단위 (21.6%), 동결침전제제 10단위(6.2%), 성분채집혈 소판 7단위(4.3%), 전혈 1단위(0.6%) 순으로 폐기 되었다(Table 1). 폐기사유로는 환자상태 호전이 80단위(49.5%)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사망 42단위(25.9%), 기타 29단위(17.9%), 수혈거 부 8단위(4.9%), 혈액백 파손 2단위(1.2%), 실온노 출 1단위(0.6%)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기타 사 유에는 보호자가 수혈을 동의하지 않아 폐기한 경우, 발열로 인해 수혈이 지연되어 폐기한 경우, 1차 수혈후 추가수혈을 위해 시행한 쿰스 테스트 에서 양성 소견을 보여서 폐기한 경우, 1차 수혈 후 과도한 양의 수혈을 방지하기 위해 폐기한 경 우, 신장이식 환자로 수혈이 불필요하다고 생각

되어 폐기한 경우 등이 있었다.

2. 수혈후 잔여혈액의 사유별 폐기수와 폐 기율

2009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순천향대학 교 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혈액은행에서 출고 되어 수혈후 남은 잔여혈액은 115단위였고 총출 고수에 대한 잔여혈액 폐기율은 0.5%였다. 환자

(4)

Table 3. The reasons for wastage of residual blood components, the number of wastage and the percentage of wastage (2009∼2010)

The reasons for wastage of residual blood components

The number

of wastage

The percentage

of wastage Wastage of residue from

pediatric transfusion

48 41.7%

Side effects of transfusion

Fever Dyspnea Palpitation Urticaria Hypertention Hemoglobin rise Chilling Facial edema Chest pain Mental change

28 13 2 2 2 1 1 1 1 1

24.2%

11.2%

1.8%

1.8%

1.8%

0.9%

0.9%

0.9%

0.9%

0.9%

Others Total

15 115

13.0%

100%

에게 사용하고 남아서 폐기된 혈액제제의 폐기사 유는 수혈부작용이 52단위(45.3%)로 가장 많았 고, 소아수혈후 잔여혈액폐기가 48단위(41.7%), 기타 15단위(13.0%)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사유 에는 내시경 도중 환자 자의로 라인을 제거한 경 우, 수혈이 4시간 이상 지연되어 감염의 위험성 이 높아 폐기한 경우 등이 있었다. 이 중 수혈부 작용의 증상은 발열 28단위(24.2%), 호흡곤란 13 단위(11.2%), 심계항진 2단위(1.8%), 두드러기 2 단위(1.8%), 혈압상승 2단위(1.8%)이었으며, 혈색 소상승, 오한, 얼굴부종, 흉통, 의식변화 등이 각 각 1단위(0.9%) 순으로 나타났다(Table 3).

고 찰

현재 우리나라의 헌혈인구는 2003년 이전까지

연간 헌혈자의 수가 250만명이 될 정도로 양적으 로 비약적인 성장을 하였지만, 2003년을 기점으 로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2008년 증가세로 돌아 서는 양상을 보인 후에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 이고 있다.6) 우리나라의 노령인구 비율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2) 노인 인구의 급속 한 증가로 인해 헌혈하는 인구인 청장년층이 감 소하고 수혈받는 인구인 노인층 증가가 예상되어 장래에는 심각한 혈액제제의 부족을 경험할 수도 있다.7) 많은 혈액제제의 확보가 필요한 앞으로의 현실에서 혈액제제의 폐기량을 줄이는 것은 혈액 제제의 수급에 필수적인 덕목이라 생각된다.

혈액을 폐기할 때에는 명확한 기준이 필요한 데 부적합한 혈액을 환자에게 수혈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혈액 중에 전혈 또는 농축적혈구는 병동에 출고된 지 24시간이 지났거나 실온에 30분 이상 방치된 것이나 냉장 보관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 농축혈소판 또는 성분채집혈소판은 출고 후 4시간이 경과되거나 유효기간이 경과된 것, 신선동결혈장은 해동 후 3시간이 경과되고 냉장보관 상태가 양호하지 않 은 것은 폐기되어야 한다.8) 이 중에 전혈 또는 농 축적혈구 제제에서 실온에 방치된 후 30분이라는 시간에 대해서 국내외적으로 의견이 분분한데9-11) 이 시간에 대한 기준이 바뀌어 연장되면 폐기되 는 전혈 또는 농축적혈구 혈액제제의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확실한 지침이 마련되어 야 할 것이다.

본원의 혈액제제 폐기에 관하여서는 검사실정 보시스템 및 혈액 폐기 내역을 토대로 2009년 1 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주로 혈액은행에서 병동 으로 불출된 후 환자에게 사용하고 남아서 폐기 된 수혈후 잔여혈액의 비율과 원인을 분석하였 다. 잔여혈액 폐기제제는 주로 농축적혈구와 신 선동결혈장이었는데 혈소판제제가 없는 이유는

(5)

용량이 적고 환자가 꼭 필요할 때 예약제로 맞기 때문에 잔여혈액이 남을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수혈후 잔여혈액의 사유 중에 가장 많은 것은 수 혈부작용이었고, 이 중 발열과 호흡곤란 증상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두번째로 많은 사유가 소아 수혈 후 잔여혈액 폐기였는데 성인용 혈액 백 400 mL 중에 150 mL 만 수혈하고 폐기하는 경우 가 대부분이었다.

혈액은행에서 병동으로 출고된 후 환자에게 사용하지 않고 폐기된 폐기혈액의 사유로는 환자 상태 호전이 가장 많았는데 이것은 혈액의 과다 요구와 관계되는 사항으로 의료인들의 부적절한 진단과 처방에 의한 불필요한 폐기라 생각된다.

두번째 사유로는 사망, 세번째가 기타 요인에 의 한 것이었다. 네번째가 수혈거부로 인한 폐기였 는데 특정 종교에 의한 것이 대다수였다. 국내에 서 보고된 폐기혈액의 폐기사유의 예로 Jo 등1) 환자상태 호전(44.0%), 사망(29.4%), 기타 요인 (15.4%) 순으로 보고하였고, Lim3)은 의료인의 무 관심(26.9%), 환자가 병원내에서 이동하거나 또 는 타병원 이송시에 혈액도 같이 운반되어 폐기 되는 경우(20.2%), 환자의 사망이나 가망없는 자 의퇴원(15.4%) 순으로, Lee 등8)은 혈액검사에 정 상(36.1%), 환자상태 호전(22.0%), 부적절한 보관 (11.7%) 순으로 보고하였다. 본원의 폐기혈액의 총폐기율은 0.7%로 Jo 등1)의 1.23%, Lim3) 1.23%보다는 낮았고 Lee 등8)의 0.28%보다는 높 았으며, 본원의 폐기기준과 이들 병원의 폐기기 준의 차이는 없었다.

이상 살펴본 혈액제제 폐기에 대한 분석을 통 해 저자들은 혈액폐기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대책을 마련하였다. 먼저 폐기혈액에 대해서는 혈소판제제의 폐기를 감소하고자 수령 후 4시간 이내에 환자가 혈소판제제를 수혈 받을 수 있는 경우에만 신청해달라는 공문을 보내고

예약제도를 실시하였다. 공문이나 교육문 발송이 혈액제제의 실온방치를 감소시키고 혈액을 운반 하거나 가온 시에 주의할 점 등을 상기시켜 혈액 폐기 감소에 기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12) 농축 적혈구에 대해서는 과다한 청구를 줄이기 위해 한번에 3단위 이상을 출고하지 않고 혈색소치가 7 g/dL 이하인 경우에만 1회에 1단위씩 신청하도 록 하였고 실온에 노출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서 얼음이나 냉매제를 넣은 혈액운반상자를 사용 하여 혈액을 운반하고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신 선동결혈장 역시 과다청구가 문제가 되는 혈액제 제로 이를 낮추기 위해서 1회 최대출고량을 5단 위로 제한하였다. 폐기혈액의 폐기사유로 가장 많은 원인이 되는 것은 환자상태의 호전과 사망 이었다. 이것은 의료인들의 잘못된 진단과 처방 에 의해서 과다한 혈액을 요구한 후 필요가 없어 지면 폐기하는 양상으로 일어났고 특히 앞서 언 급한 농축적혈구와 신선동결혈장에서 두드러지 게 나타났다. 이 문제에 관해서는 공문이나 강의 를 통해 혈액제제의 출고량을 제한하고 혈액제제 사용에 대한 지침을 교육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무엇보다 근본적인 것은 의료인들이 정확 한 진단과 처방을 내려야 하며 혈액제제가 부족 한 상황에 대한 적절한 인식을 가져야 할 것이다.

수혈후 잔여혈액에 관하여서는 폐기사유 중에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수혈 시에 발생하는 수혈부작용의 원인 중 하나인 발열을 예방하기 위해 백혈구 제거 적혈구 제제의 사용을 권하였 고, 두번째로 많은 원인인 소아 수혈 후 잔여혈액 폐기에 대해서는 본원에서는 소아 수혈 시 성인 용 혈액 백 400 mL 용량을 사용하는데 이 중 150 mL만 수혈하고 폐기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따 라서, 평상시에 성인용 혈액 백 대신 150 mL 용 량의 소아용 혈액 백을 만들어 사용하면 불필요 한 혈액폐기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6)

혈액제제의 수급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고려해보아야 한다고 생각된다.

요 약

배경: 혈액제제의 폐기란 일반적으로 환자의 상태호전, 사망과 혈액반납의 지연 등의 원인에 의해서 수혈 전에 혈액을 폐기하는 것을 의미한 다. 하지만, 종종 혈액제제의 수혈이 이루어지는 도중에 폐기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를 소 량혈액의 수혈로 인한 수혈후 잔여혈액이라 한 다. 저자들은 혈액폐기의 감소를 위해 본원의 폐 기혈액과 수혈후 잔여혈액의 비율과 원인을 분석 하였다.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순천향 대학교 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의 검사실정보 시스템 및 혈액 폐기 내역을 토대로 폐기혈액과 수혈후 잔여혈액 의 수와 원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기간 동안 출고된 혈액제제는 24,001단위였다. 이 중 사용하지 않고 폐기된 혈 액제제는 162단위(0.7%)였고 수혈후 잔여혈액은 115단위(0.5%)였다. 폐기혈액의 원인으로 환자의 상태호전이 80단위(49.5%)로 가장 많았고 환자의 사망이 42단위(25.9%)로 두번째로 많았다. 수혈 후 잔여혈액의 가장 큰 원인은 수혈부작용으로 52단위(45.3%)였다. 수혈부작용 외의 원인으로는 소아 수혈 후 잔여혈액 폐기가 48단위(41.7%), 수 술의 지연이 5단위(4.3%) 그리고 환자의 거부가 4단위(3.5%)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소아 수혈후 잔여혈액의 혈액폐기는 본 원의 수혈후 잔여혈액의 두번째로 많은 원인이었 다. 따라서 본원에서 소아 수혈백을 평상시에 사 용할 것과 이것의 비용효과를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Jo SA, Hwang WJ, Kim SY, Kim YJ, Kim HH, Chang CL, et al. Study for efficient blood management using evaluation the blood wa- stage statements in pusan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Blood Transfus 2008;19:25-32 2. Park KU, Kwon SY, Kim SW, Lim YA. Long

term prospects for the blood supply and demand. Korean J Blood Transfus 2006;17:1-10 3. Lim YA. An analysis of blood component

wastage in the Ajou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Blood Transfus 2002;13:69-77 4. Min HK, Kim HO. A survey of utilization of

blood components for transfusion by training hospitals (2000). Korean J Blood Transfus 2002;13:135-41

5. Kim HO, Choi KH, Kim JJ, Kim DJ, Han YJ.

A survey of blood collection and transfusion in Korea, 1998. Korean J Blood Transfus 2001;12:213-8

6. Kwon SY, Cho NS, Park KU, Lim YA. Trends of donor population and donor deferral during the past eleven years (1995∼2005).

Korean J Blood Transfus 2006;17:135-45 7. Unit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02 revision 8. Lee YJ, Cho JH. The analysis of discarded

blood components in 1998 and Plan. Korean J Blood Transfus 1999;10:187-94

9. Hamill TR, Hamill SG, Busch MP. Effects of room-temperature exposure on bacterial growth in stored red cells. Transfusion 1990;30:302-6 10. Saxena S, Odono V, Uba J, Nelson JM, Lewis

WL, Shulman IA. The risk of bacterial growth in units of blood that have warmed to more than 10 degrees C. Am J Clin Pathol 1990;

94:80-3

11. Jeong BC, Lee CH, Kim KD, Kim CS, Song

(7)

DH. Bacterial growth in artificially conta- minated packed red cells following room temperature exposure. Korean J Blood Transfus 1993;4:89-96

12. Clark JA, Ayoub MM. Blood and component wastage report. A quality assurance function of the hospital transfusion committee. Trans- fusion 1989;29:139-42

수치

Table  1. The  number  (%)  of  issued  blood  components  and  discarded  blood  components  without  use,  and  the  wastage  rates  of  issued  blood  components  (2009∼2010)
Table 3. The  reasons  for  wastage  of  residual  blood  components,  the  number  of  wastage  and  the  percentage  of  wastage  (2009∼2010)

참조

관련 문서

바닥에 편히 눕게 하고 주변의 다칠 맊핚 물건을 치운다.. 아동의 의식을 돌이키고자 흔든다거나 경렦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이상해결책과 물리적 모순의 정의(defining ideal final result(IFR) and physical contradiction). – 3.1

비계기둥에는 미끄러지거나 침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밑받침철물을 사용하거나 깔판․깔목 등을 사용 하여 밑둥잡 이를 설치하는 등의 조치를 할 것.

• 제품마다 고유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브랜드 마다 차이가 큰 제품으로서 선매 품에 비해 구매 시 많은 시간과 특별한 노력을

덧셈에 관한 교환, 결합범칙이 성립함을 보여라.. 곱셈에 관한 교환,

주어짂 과제를 읷찍 마친 아동이 유사핚 과제를 반복하게 하거나 다 른 사랑의 과제를 대싞하게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 읶터넷

그러나 어느 날 도서관에 들렀던 지바고는 우연 히 라라를 만나게 되고 사랑의 감정이 싹트게 되고 라라와 동거를 시작한다.. 그리고 라라의 집에서 두 달 정 도를

- 골프공 생산업체의 경우, 골프공 생산에 필요한 원 부자재를 공급하는 업체에서부터 소매상에게 골프공 을 공급하는 프로세스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