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형 건강장수도시 만들기의 모형 도출

문서에서 건강장수도시 조성의 현황과 과제 (페이지 117-120)

통인프라, 공공보건, 환경보전 등의 각 영역은 건강한 도시계획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서로 유기적으로 협력할 필요가 있다. 즉 건장장수도시 조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시관리, 토지이용, 교통관리, 생태환경, 지역보건의료서비스, 건 강보건환경, 생활체육 등 도시계획의 각 영역은 통합적으로 접근되어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림 5-3> 도시계획 영역간 협력의 필요성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건강장수에 대한 연구 및 정책적 대응 부문은 주로 보 건․의료 분야의 영역으로 치부되었다. 건강증진을 위해 보건의료서비스 향상 차원을 넘어 건강한 도시환경 만들기를 위한 국토 도시계획적 수단의 도입을 적 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필수요건을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건강정책과 다른 도시전략과의 연계를 가 지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메카니즘을 개발하는 것이다. 둘째, 도시내 건강불평등 해소와 사회개발에 대한 관심과 지속가능개발에 특별한 노력을 강조한다. 셋째, 도시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과정에 시민의 참여를 촉진한다. 넷째, 건강과 건강정책을 만들기 위한 교육을 강화하고 능력개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다섯 째, 구체적인 건강개발계획을 작성하고 실행계획을 수립한다. 여섯째, 건강개발 계획과 통합된 체계적인 건강모니터링과 평가시스템을 도입하고 도시내 다른 정 책의 영향을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도시내 최우선과제(예: 사회통합, 건강조건, 건강교통, 어린이, 노인, 안전, 가정폭력 등)에 대한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실행하 고 평가한다. 이상의 건강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필수요건은 도시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건강장수도시 만들기를 추진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여 많은 참고가 될 수 있다.

필수요건 주요 내용

건강정책 추진

메카니즘 개발 •건강정책과 다른 도시전략과의 연계를 가지고 상호작용할 수 있 는 메카니즘을 개발

건강과제의

이슈화 •도시내 건강불평등 해소와 사회개발에 대한 관심과 지속가능개발 에 특별한 노력을 강조

시민의 참여 •도시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과정에 시민의 참여를 촉진 교육 프로그램

강화,

•건강과 건강정책을 만들기 위한 교육을 강화하고 능력개발 프로 그램을 실행.

계획수립 •구체적인 건강개발계획을 작성하고 실행계획을 수립 모니터링 및

평가시스템

•건강개발계획과 통합된 체계적인 건강모니터링과 평가시스템을 도입하고 도시내 다른정책의 영향을 평가

우선과제 실행 •도시내 최우선과제(예: 사회통합, 건강조건, 건강교통, 어린이, 노인, 안전, 가정폭력 등)에 대한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평가 자료: WHO European Regional Office(2001)

<표 5-2> 건강도시조성을 위한 필수요건

한국형 건강장수도시 만들기 위한 모형 도출은 2002년도 이후 우리나라에서 많은 지자체들이 시도하고 있는 건강도시 조성 사업의 경험을 참고로 할 수 있을 것이다. 건강도시프로젝트는 1986년 초기부터 그 개념이 국내 학계에 소개되어 왔으나, 1996년 과천시 시범사업을 통해 국내 지자체로서는 최초로 시도 되었다.

그 후 지난 2002년부터 2004년 사이에 서울시, 창원시, 원주시, 부산진구가 서태평양 건강도시연맹(Alliance for Healthy Cities, AFHC, http://www.alliance-healthycities.com) 에 가입하였고, 현재에는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Korea Healthy Cities Partnership, KHCP, http://hc.hp.go.kr/)가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다. KHCP는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수준 제고 및 건강형평성 달성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방정부 간 공공정책과 정보를 공유하며,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1년 2월 기준으로 현재 국내의 50개 도시들이 KHCP의 정회원으로, 8개 기관이 준회 원으로 활동 중이다.

건강도시 사업은 주로 물리적 개선사업 부문과 교육관련 사업부문 위주로 추 진되고 있다(김은정, 2010). 물리적 개선사업에는 자전거도로 확충사업, 운동시설 설치사업, 보행환경 개선사업, 공원 조성사업, 위생 및 안전관련사업, 도시미관 디자인 개선사업 등이 있고, 교육관련 사업에는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관련 사업 및 건강관련 동호회 조직사업, 치안강화 사업, 건강증진프로그램 운영사업, 행사 축제 운영사업 등이 포함된다. 이처럼 개별지자체 수준에서 추진하는 건강 도시 활동은 아직까지 개별사업 차원의 일회성 또는 단기추진 위주로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을 토대로 정책적으로 건강증진을 위한 도시환경의 개선, 고령화 추세에 대한 대응 등에 부합하는 건강장수도시 만들기 사업의 모형을 개 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건강장수를 도시경영이나 도시관리의 중요 목표로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이를 다른 도시정책과 유기적 연계하에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시민들이 건강하게 장수할 수 있는 환경 을 조성하기 위한 건강장수도시형 모델이 다양하게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단위 사업으로 추진하기보다는 유기적 연계를 통해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추

진 메커니즘에 대한 더 많은 의견수렴이 있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도시의 건 강실태 및 고령화 추세를 감안하여 도시정책의 한 부문으로서 종합적인 실행 프 로그램의 도출이 필요하다. 건강장수 도시 조성을 위한 시범사업 등을 통하여 정 책메카니즘, 추진목표, 추진체계, 프로토타입형 계획수립, 모니터링 및 평가 체계 까지를 포괄하는 한국형 건강장수도시 조성모형에 대한 연구가 긴요하다.

문서에서 건강장수도시 조성의 현황과 과제 (페이지 117-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