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토·도시계획 차원의 접근 필요성

문서에서 건강장수도시 조성의 현황과 과제 (페이지 114-117)

정책적 측면에서도 농업진흥청에서는 일부 농촌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생산적 여가활동과 건강관리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건강장수마을 육성을 도모하였는데 (신영숙 등, 2005), 이는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건강한 사회환경요인 조성을 위한 의미 있는 시도로 여겨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건강장수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은 중층적인 구조로 이해되며 사회경제적 조건 및 광범위한 도시나 지역의 물리적 환경도 개인의 건 강장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건강장 수의 관점에서 도시환경의 개선 필요성은 문제제기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건강장수를 위한 국토공간의 발전전략차원에서 삶의 질 제고 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건강한 도시환경의 조성을 위한 공감대 형성이 시급하 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 건강장수 측면에서 도시환경의 실태 파악이 시급하다. 즉 건강장 수와 관련되는 제반 도시환경에 대한 다양한 조사 분석 연구와 도시의 특성에 따른 심층 분석 연구 등의 축적될 필요가 있다.

만들어진 질병을 치료하는 것에 재정을 소비하기 보다는 도시를 건강하게 만드 는 것이 더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이라는 점을 실제로 실현한다는 특징을 가 진다.

자료: 이부옥 (2011), 건강조시 프로젝트, 국토연구원 세미나 발표자료

<그림 5-2>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이러한 건장장수를 위한 물리적 환경, 지역사회 안전, 생활환경 등을 건강증진 측면에서 개선하려는 노력이 도시계획적 접근의 필요성으로 귀결된다. 캐나다 보건부에서는 도시민의 건강증진 목적으로 할 때 도시계획이 갖추어야 할 12가 지 건강목표를 제시하였다: 개인적 생활양식 촉진, 사회응집력 촉진, 고용기회 향상, 주요시설(서비스) 접근성, 안전한 식품, 안전성 증진, 형평성 증진, 주거수 준(주택의 질) 향상, 대기환경과 미관, 상하수 수질향상, 토양과 자연자원보전, 기 후변화 대응 등.

이들은 건강결정의 주요 요소들이라 할 수 있는데, <표>는 이러한 건강한 도 시계획의 정책 영역들이 이러한 건강한 도시계획의 목표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즉 다양한 도시계획의 영역들이 건강한 도시를 조성하는데 필요 한 환경조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5-1> 건강한 도시계획의 12가지 목표

도시계획의 12개 건강목표

도시계획의 정책 영역

건축 규제 주택

정책 경제 발전

사회 서비

공공

공간 교통 에너지 배수

도시 형태 도시

재생

개인적 생활양식

* * * ** ** * *

사회적 응집력

* * * * * ** *

주거수준 향상

** ** ** * *

고용기회 향상

* ** * * *

주요시설

(서비스)접근성

** * ** * ** ** *

안전한 식품

* * * *

안전성 증진

* * ** * *

형평성 증진

* ** * ** * ** * ** *

대기환경과 미관

* * ** * ** * * *

수질향상

** * * **

토양과

자연자원보호

* ** * **

기후변화 대응

** * ** * * ** ** ** *

**: 건강에 중요한 영향력 *: 건강에 일차적인 영향력

자료: 고광욱, 2011. 건강도시의 발달과 추진동향, 국토연구원 발표자료

이러한 건강한 도시계획의 구현사례로서 유럽건강도시 네트워크를 찾아볼 수 있다. 유럽건강도시 네트워크는 물리적 도시환경 개선을 통해서 건강증진을 실 현하기 위해 도시건강계획을 핵심과제로 설정하고 있다. 주거환경 개선, 대중교 통 접근성 향상, 도시환경의 안정성 확보, 걷기와 자전거타기를 유도하는 도시설 계 장려 등 도시계획 수단을 활용하였다(김은정, 2010).

이러한 건강장수도시를 위한 도시계획적 접근에 있어서 도시계획 영역내에서 의 협력 필요성도 강조된다. <그림 5-3>에서와 같이 공공사업, 공원녹지 공급, 교

통인프라, 공공보건, 환경보전 등의 각 영역은 건강한 도시계획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서로 유기적으로 협력할 필요가 있다. 즉 건장장수도시 조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시관리, 토지이용, 교통관리, 생태환경, 지역보건의료서비스, 건 강보건환경, 생활체육 등 도시계획의 각 영역은 통합적으로 접근되어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림 5-3> 도시계획 영역간 협력의 필요성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건강장수에 대한 연구 및 정책적 대응 부문은 주로 보 건․의료 분야의 영역으로 치부되었다. 건강증진을 위해 보건의료서비스 향상 차원을 넘어 건강한 도시환경 만들기를 위한 국토 도시계획적 수단의 도입을 적 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문서에서 건강장수도시 조성의 현황과 과제 (페이지 114-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