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오미 나오키. 노경아 역. 2015. 󰡔반농반X의 삶󰡕. 더숲.

오내원·정기환·최경환·박대식·허장. 2001. 󰡔한국농촌경제사회의 장기변화와 발전(1985~

200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오영희·정경희·박종서·김경래·오신휘·임지영. 2015. 󰡔저출산·고령사회 동태적 분석을 위한 지역추적조사(Ⅲ) - 정릉3동·영동2동·소태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보건 사회연구원.

양병찬. 2008. “농촌 학교와 지역의 협력을 통한 지역교육공동체 형성 - 충남 홍동 지역

“풀무교육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14(3).

윤원근·이상문. 1995. “정주계층간 사회경제 및 공간관계 변화에 대응한 농촌공간정책 의 방향모색.” 󰡔농촌사회󰡕 5: 319-354.

윤원근·이상문. 1997. “정주공동성의 공간적 존재형태에 관한 연구(1).” 󰡔농촌계획󰡕

3(2): 36-49.

이상문. 1998. “20세기 후반 한국 농촌 마을의 정주기능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임승현·황영모·이중섭·김수용. 2019. 󰡔전라북도 농촌마을 기본통계 작성 및 마을소멸 취 약성 분석 연구󰡕. 전북연구원. 미발간.

조영재·김두환·조은정. 2015. “농촌마을의 공동화와 과소· 고령화 현상의 관련성 연구-충남 금산군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21(4): 85-94. 한국농촌계획학회 조영재·윤정미. 2018. 󰡔과소지역 농촌마을의 공간적 재편에 관한 정책사례 및 주민의식

조사 연구󰡕. 충남연구원.

조영재·사카시타 아키히코·신동철. 2018. “한계마을정책 개발을 위한 최근 일본의 한계 집락 관련 논의 및 정책 동향 연구.” 󰡔농촌계획󰡕 24(1): 21-32.

정기석. 2017. “마을 만들기 방법론의 현실적인 문제점과 방안: 농촌공동체 재생을 위한 사회적 자본의 개발·활용 전략 중심.” 한국농촌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정명채·오내원·최경환·박대식·이상문. 1995. 󰡔한국 농촌 사회경제의 장기변화와 발전 1985~2001, 16. 제10년차 조사결과 종합보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차미숙. 2020. “인구감소 시대 활력 있는 지역사회 구현방향-일본의 제2기 마을·사람·일 자리 창생정책(2020~2040).” 󰡔국토이슈리포트󰡕 제22호. 국토연구원.

최양부. 1985. “한국사회의 산업화와 전통농촌의 해체: 한국농촌에 대한 인식의 틀을 위

한 하나의 시론.” 󰡔한국사회학󰡕 19.

최양부·오내원. 1986. 󰡔한국 농촌 사회경제의 장기변화와 발전 1985~2001, 1. 조사연구 설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겨레신문. 2020.10.17. “나도 모르게 귀촌인? 농촌 인구 감소 외면한 귀촌 통계.”

Cloke. 1992. The countryside: development, conservation and an increasingly marketable commodity, in P. Cloke (ed.). Policy and Change in Thatcher`s Britain. Oxford.

UK: Pergamon Press.

Marsden, T. 1999. “Rural Futures: The Consumption Countryside and its Regulation.”

Sociologia Ruralis 39(4): 501-526.

Woods, M. 2016. 박경철·허남혁 외 역. 󰡔농촌: 지리학의 눈으로 보는 농촌의 삶, 장소, 그 리고 지속가능성󰡕. 따비.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t.naver.com/>. 검색일: 2020. 2. 24.

카카오맵 위성사진. <https://map.kakao.com/>. 검색일: 2020. 10. 20.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ict.korean.go.kr/>. 검색일: 2020. 10. 20.

통계청. 2016. 농림어업총조사 지역조사 부문 집계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