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반적인 마을 공동체 활동 약화

농산어촌 마을의 기능 변화

2. 마을 공동체 기능 변화

2.1. 전반적인 마을 공동체 활동 약화

을 주민들의 실제 활동 참여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림 5-6>은 이를 집계한 결과로서 마을별 공동체 조직 및 수행 중인 공동 활동 항목을23) 합산하여 표준점 수화(이장 조사 결과에 기초)한 값(X축)과 마을별 주요 공동체 활동에 대한 주민 들의 실제 참여 정도를 점수화하여 표준화(주민 설문조사 결과에 기초)한 값(Y축) 을 좌표상에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를 보면 마을활동 수행도(이장 응답)와 주민들 의 활동 참여도 간에 상관성이 존재함을 볼 수 있으며, 실제 표준점수로 나타낸 마 을 활동 수행도와 마을 활동 참여도 간 상관계수가 0.4655로 집계된다.

<그림 5-6> 마을 활동 수준 및 주민참여도에 따른 사례 마을 분포도

주: 마을 대표 및 주민들의 마을 공동체 활동 관련 항목 응답 결과를 점수화한 후 Z-score로 표준화하여 좌표 상에 표시함. (X축: 마을 활동 수행도 / Y축: 마을 활동에 대한 주민 참여도)

공동체 활동이 상대적으로 다양하게 수행되며 주민들의 참여도도 높은 마을과 그렇지 않은 마을을 비교하기 위해 위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농산어촌 마을을

23) 이는 마을 조직(마을회, 노인회, 청년회, 부녀회 등) 활동 여부 및 수행 중인 공동체 활동 항목을 합 산하여 집계하였다. 집계에 포함된 공동체 활동에는 ① 마을 공동 애경사, ② 도로·농수로 공동 관 리, ③ 청소·쓰레기 수거 등 공동 작업, ④ 마을 친목 모임, ⑤ 도농교류 활동, ⑥ 주민 축제 및 체육 행사, ⑦ 상시적 공동 식사, ⑧ 여가·문화활동 등이 해당한다.

유형화하였다. 유형화 방법은 <그림 5-7>에 개념화하였다. 마을의 공동체 활동 수 행도(이장조사 결과)와 주민 참여도(주민조사 결과)를 기준으로 4개 유형으로 구 분할 수 있다.

<그림 5-7> 공동체 활동 기준 마을 유형화 개념

자료: 저자 작성.

먼저 마을 인구 변화와 공동체 활동 수행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표 5-1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인구 규모가 감소 추세 또는 정체인 마을들의 경우 마을 활동 수 행도와 주민 참여도 모두 평균보다 낮은 마을 비율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반대로 인구 증가 마을의 경우 공동체 활동 수준 및 참여도 모두 평균보다 높은 마 을(유형1)이 37.8%로서 가장 많으며, 활동 수준에 비해 참여도가 낮은 마을(유형 4)도 29.7%로서 다른 유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기록하고 있다. 새로운 인구 유입이 공동체 활동 활성화를 이끌어내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 인구 감소 마을 또는 정체 마을 중에서도 공동체 활동이 상대적으로 활발하고 주민들의 참여도가 유지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인구 유입이 없어 마을 과소화가 심화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마을 공동체 기능이 전면적 으로 쇠퇴 또는 소멸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구 분 마을 인구 변화(2011~2020년)

감소 추세 변화 없음 증가 추세

(유형1) 활동 수행도 상 / 참여도 상 18.9 25.0 37.8

(유형2) 활동 수행도 하 / 참여도 상 18.9 16.7 10.8

(유형3) 활동 수행도 하 / 참여도 하 50.9 50.0 21.6

(유형4) 활동 수행도 상 / 참여도 하 11.3 8.3 29.7

합 계 100.0 100.0 100.0

주: 인구 변화 추이에 따라 마을을 유형화한 후 공동체 활동에 대한 마을 대표 및 주민 설문조사 결과를 기초로 한 마을 구성 비율을 집계.

<표 5-14> 마을의 인구 변화 추세와 공동체 활동 특성 비교

단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