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마을 간 물리적 환경·경관의 질 차등화

농산어촌 마을의 기능 변화

1. 인구 유입에 따른 농산어촌 마을 분화

1.3.2. 마을 간 물리적 환경·경관의 질 차등화

환경, 경관의 질과 같은 물리적 조건은 마을에 따라 차등적이다. 이 역시 마을 분화를 촉발하게 된다. 특히 난개발 확산의 영향을 받는 마을과 그렇지 않은 마을 은 거주지로서 주민 선호도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표 5-11>은 인구 증감 여부를 기준으로 마을을 구분하여 난개발 행위(자연환경 저해 시설 및 환경오염) 증가 여 부를 주민들이 응답한 결과이다. 최근 인구 감소세를 보이는 마을일수록 인구 증 가 마을에 비해 난개발 시설이나 환경오염이 증가하는 것으로 주민들이 인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5-12>에 제시된 마을 이장 설문조사에서도 인구 증가 추 세인 마을과 비교해서 인구가 감소하거나 변화 없는 마을일수록 난개발 문제가 심 각한 것으로 파악된다. 농산어촌 마을의 난개발 요소 증가가 신규 인구 유입에 제 약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특히 이는 전체적으로 인구가 증가하는 대도시 근교지역이라 해도 그에 속한 개별 마을들 중에는 과소화가 심화되는 사례가 나타날 수 있음을 말해준다. 성주 인 외(2019)는 개별입지 제조업체가 마을 주변에 다수 분포하는 화성시 장안면을 사례로 이를 확인하였다. 장안면에는 인구 증가 마을이 14개로 집계되지만 반대 로 인구가 꾸준히 감소하는 마을이 21개로 그보다 더 많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구 분 마을 인구 변화 구분

감소 추세 마을 변화 없는 마을 증가 추세 마을

마을에 자연환경 저해 시설 증가

전혀 그렇지 않다 16.5 19.5 18.2

대체로 그렇지 않다 29.5 29.5 30.8

보통이다 23.5 24.1 28.1

대체로 그렇다 24.5 20.3 19.4

매우 그렇다 6.1 6.5 3.6

합 계 100.0 100.0 100.0

환경오염 증가 (소음, 악취, 쓰레기 등)

전혀 그렇지 않다 9.2 16.1 14.9

대체로 그렇지 않다 25.3 19.9 24.8

보통이다 28.5 25.7 25.7

대체로 그렇다 27.6 27.2 28.6

매우 그렇다 9.3 11.1 6.0

합 계 100.0 100.0 100.0

주: 난개발 관련 응답은 주민조사(2,151명) 결과를 집계. 마을 인구 변화 구분은 이장 설문조사 결과를 기준으 로 함.

<표 5-11> 마을 유형별 난개발 확산 추이(주민조사)

단위: %

구 분 마을 인구 변화 구분

감소 추세 변화 없음 증가 추세 마을의 난개발 시설

입지 여부

없음 26.4 16.7 29.7

있음 (문제 없음) 47.2 50.0 51.4

있음 (문제 심각) 26.4 33.3 18.9

합 계 100.0 100.0 100.0

자료: 마을 이장 설문조사 결과.

<표 5-12> 마을 유형별 난개발 확산 추이(이장조사)

단위: %

어메니티 자원 분포 정도는 마을 인구 증감에 대해 난개발 요소와는 반대 효과 를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5-5>는 마을 자원 분포 수준22)에 따라 세 그룹 (상/ 중/ 하)으로 마을을 구분하여 시기별 인구 변화 추이를 집계한 결과이다. 마을 에 자연자원, 전통·경관 자원이 다수 분포하여 상위 집단에 해당하는 마을들의 경 우 인구가 증가했다는 응답 비율이 2000~2010년 기간에 50.0%, 2011년 이후에

22) 마을 자원 분포 수준은 이장 설문 응답 내용을 기초로 판정하였다.

77.8%를 기록하였다. 반대로 하위 집단에 속한 마을들의 경우 인구 감소 추세인 경우가 두 시기 각각 35.4% 및 62.5%로 집계되었다. 최근에 올수록 마을 어메니 티 자원과 인구 증감 간 연관성이 더욱 높아지는 추세라 할 수 있다. 앞으로 농산어 촌 마을의 분화를 촉진하는 요인으로 물리적 환경·경관 여건이 더욱 중요해질 것 이라는 시사점을 얻게 된다.

<그림 5-5> 마을의 어메니티 자원 분포 정도와 인구 변화 추이

단위: %

자료: 마을 이장 설문조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