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마을 변화에 따른 새로운 서비스 요구 대두

농산어촌 마을의 기능 변화

3. 마을 변화에 따른 새로운 서비스 요구 대두

<그림 5-10> 마을 취약계층 돌봄 활동 수행 비율(조직 유무에 따른 비교)

주: 사회적경제 조직은 협동조합(농수협 제외), 마을기업 및 공동체회사, 사회적기업, 자활기업 등이 해당.

자료: 마을 이장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집계.

3.1. 주민들의 공간 이용 행태 변화

먼저 정주계층별 서비스 이용 성향에 따라 패널 마을 주민들의 유형을 구분해 보았다. 대체로 거주지와 근접한 장소에서 이용되는 성격의 5대 기초 서비스26)를 기준으로 주로 이용하는 장소를 종합하여 서비스 이용 성향을 분류하였다. <그림 5-11>은 연령별에 따라 주민들의 서비스 이용 유형을 구분한 결과이다. 전반적인 접근성 증대에도 불구하고 농산어촌 주민들은 가급적 주거지와 가까운 읍·면 범 위에서 기초 서비스를 가장 높은 비율로 이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단, 70대 이상 연령층에 비해 30~40대 젊은층일수록 거주 읍·면 외 또는 시·군 외 서비스 이 용을 선호하는 계층이 존재하는 등 연령대별로 공간 이용 행태에서 다소 차이가 나타난다.

<그림 5-11> 주민 유형별 기초 서비스 이용 성향(연령 비교)

단위: %

주: 주민(2,151명) 설문조사 결과에 근거한 5개 기초서비스 항목의 이용 장소에 따라 주민들의 서비스 이용 성 향을 구분함.

26) 주민 설문조사 문항 중 ① 식료품 및 생필품 구입, ② 이·미용실, 목욕탕 등 생활편의시설, ③ 보건소, 병의원 등의 간단한 진료, ④ 문화·여가·취미 활동, ⑤ 친목 모임 등 다섯 가지 서비스가 해당된다.

농산어촌 주민들 중에는 과거와 비교해서 읍·면 및 시·군청 소재지 등 주요 중심 지에 대한 방문 빈도가 줄어든 것으로 응답한 경우가 상당수를 차지한다. <그림 5-12>는 소득 수준 및 연령을 기준으로 각급 소재지에 대해 방문 횟수가 줄어든 주 민 비율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저소득층, 고령층일수록 과거보다 읍·면 및 시·

군청 소재지 등 방문 빈도가 줄어드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접근성이 떨 어지는 취약계층 주민이 늘어나는 상황을 고려, 배후마을에 대한 효과적인 서비 스 전달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기동력이 떨어지는 취약계층, 노인층 등의 경우 서비스 전달의 최종 창구로 일선 농산어촌 마을의 기능이 앞으 로도 요구될 것이라는 시사점을 얻게 된다.

<그림 5-12> 과거 대비 중심지 방문 빈도 감소 주민 비율(소득 및 연령 비교)

단위: %

주: 주민(2,151명)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읍·면 및 시·군청 소재지 유형별로 과거보다 방문 빈도가 줄었다 고 응답한 비율을 집계함.

3.2. 새로운 서비스 요구 대두

주민들의 공간 이용 행태 변화를 반영하여 앞으로 농산어촌 마을 및 중심지에 서 요구되는 기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표 5-17>은 주민 설문조사 결과 에 기초하여 거주 지역에서 부족한 서비스 항목을 조사한 결과를 보여준다. 소재 지 마을보다는 일반 마을 및 원격 마을 주민일수록 그리고 젊은 연령층보다는 고 령층 주민일수록 생필품 구매, 교통서비스 지원 등과 같이 가장 기초적인 서비스 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난다. 특히 고령자를 포함한 취약계층 주민을 대상으로 기초 중심지와 배후 마을 연계를 통한 서비스 제공 필요성이 높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 상위 중심지로의 이동에 제약을 받는 계층에게는 농산어촌 마을이 여전 히 유효한 서비스 전달의 공간 단위인 것이다.

젊은층 및 소재지 마을 주민들의 경우는 이와는 다른 모습을 보인다. 문화·여가 시설 확충에 대한 요구가 높으며, 이는 노년층과 달리 일선 마을이 아닌 읍·면 소 재지 기능 제고, 매력도 증대를 통해 충족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같은 조사 결과 를 고려하여 앞으로 주민 특성을 고려하여 마을 및 상위 중심지 단위에서 필요한 생활 서비스 기능을 차별적으로 제공토록 하는 해법 모색이 요구된다.

구 분

마을 유형 주민 유형

소재지 전 체 마을

일반 마을

원격

마을 30~40대 50~60대 70대 이상

마트/슈퍼 9.5 24.1 19.1 10.3 19.4 22.5 20.1

농업 관련 시설 3.3 3.2 3.1 1.6 4.5 2.4 3.2

의료 시설 42.3 36.3 32.4 33.7 32.6 40.2 36.4

문화/여가시설 24.3 14.3 18.9 30.4 22.4 10.6 17.3

교육 시설 1.5 1.2 2.0 7.6 1.1 0.7 1.4

교통 시설 8.0 11.4 16.1 7.6 12.5 12.2 11.9

복지 시설 6.0 8.2 7.6 6.0 5.3 9.9 7.6

기타 5.3 1.4 0.7 2.7 2.2 1.6 2.0

합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주민(2,151명) 설문조사 결과 집계.

<표 5-17> 거주 지역에서 가장 부족한 시설

단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