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산어촌 마을의 일반 현황

1.1. 전국 농산어촌 마을의 현황

패널 마을 선정을 위해 행정리 단위 공식 통계자료인 농림어업총조사 지역조사 자료를 토대로 농산어촌 마을의 일반적 현황을 살펴보았다. 2015년 기준 전국의 농산어촌 마을은 36,792개로 2010년 기준 36,498개보다 294개(0.8%) 증가하였 다. 같은 시기 동안 읍부에서는 486개 마을이 증가하여 8,698개 마을이 있으며 면 부는 192개 감소한 28,094개의 마을이 분포한다. 비율로는 읍부 23.6%, 면부 76.4%를 차지한다. 시·도별로는 전남에 있는 마을이 6,768개(18.4%)로 가장 많으 며 경북 5,189개(14.1%), 전북 5,163개(14.0%) 순으로 나타났다<그림 3-1>.

가구수를 기준으로 농산어촌 마을의 분포를 살펴보면, 2015년 마을 가구 규모 가 40~59호 되는 마을이 22.2%로 가장 많으며, 20~39호(20.2%), 60~79호(15.5%) 순으로 나타났다<그림 3-2>. 2015년 중위가구수는 64호로 2010년의 49호에서 소 폭 증가하였다.

<그림 3-1> 시·도별 농산어촌 마을 현황

자료: 통계청(2016). 농림어업총조사 지역조사 부문 집계 결과.

<그림 3-2> 가구 규모별 마을 비율

자료: 통계청(2016). 농림어업총조사 지역조사 부문 집계 결과.

농산어촌 마을의 인구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시계열로 분석 가능한 전국 7천여 개 행정리의 인구수 변화를 시기별로 읍부, 면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 구가 연평균 –0.5% 이하로 감소한 ‘인구 감소 마을’이 과거보다는 줄어들었으나 꾸준히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즉 2010~2016년 기준 읍부의 58.8%, 면부의

57.1% 마을에서 인구가 감소하였다.

다행히 최근일수록 인구 감소 마을의 비율은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인구가 유 지되거나 증가하는 마을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1995년부터 2000년 사이 인구 증 가 마을은 읍부 14.7%, 면부 8.4%에 불과했으나, 2010년부터 2016년 사이에 25.0%, 25.2%로 각각 1.7배, 3배가량 증가하였다<그림 3-3>.

<그림 3-3> 인구 증감 마을 비율 변화

주: 시계열 분석이 가능한 7,288개 행정리 원자료 분석 결과.

한편, 농산어촌 마을은 인구 특성 이외에도 지대 및 지리적 위치, 산업 특성 등 마을의 고유 특성별로 세분하여 유형화할 수 있다. 특히 산촌은 「산림기본법」 제3 조에 의해 정의되는데 총 109개 시·군, 466개 읍·면을 산촌으로 정의하고 있다 (2014년 기준). 어촌은 별도의 법적 정의는 없으나 어촌계 조직이 구성된 읍·면을 어촌으로 상정하고 있으며 총 59개 시·군, 284개 읍·면, 1,780개 마을을 어촌으로 볼 수 있다(2018년 기준). 다만, 산촌이나 어촌이 명확히 농촌과 분리된다기보다 는 농촌이면서 산촌이고, 농촌이면서 어촌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과거 최양부·오내원(1986) 등과 같이 2000년대 이전의 연구에서는 농산어촌 마

을을 주로 지대(地帶)에 따라 도시근교, 평야지, 중간지, 산간지로 구분하였으며, 최근에는 대도시 및 소재지 접근성에 따라 근교, 일반, 원격 마을이나 소재지권 또 는 배후 마을로 구분하기도 한다.

그 밖에 해당 마을만의 사회·경제적인 특성에 따라 도농교류 마을, 귀농·귀촌 마을, 정부지원사업 추진마을 등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한 국 농산어촌 마을을 대표할 수 있도록 패널 마을 선정 시 상기와 같은 유형을 골고 루 선정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