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진단 검사 메타분석

문서에서 진단 검사 체계적 문헌고찰 (페이지 161-164)

진단 검사의 메타분석

2.1.2. 진단 검사 메타분석

중재법 연구에서는 흔히 한 가지의 의료결과 척도(예. 상대 위험도)를 보고하지만, 진단 정확성 연구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의 의료결과 척도(민감도/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양성우도비/음성우도비 등)를 동시에 보고한다.

또한, 진단 검사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는 역치 효과 등으로 인해 연구 간에 이질성 (heterogeneity)이 흔하게 발생할 수 있다. 역치 효과란, 역치가 달라짐에 따라 민감 도, 특이도, 우도비와 같은 진단 정확성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높은

139 검사결과가 질병의 높은 가능성을 나타낸다면, 역치를 증가시키면 특이도는 증가하고

민감도는 감소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역치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통계적 모형이 필요 하다.

진단 정확성 메타분석의 요약결과는 요약추정치(summary point)와 요약곡선(summary line)을 제시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들 방법의 선택에 대한 엄격한 규칙(hard-and-fast rule)은 없다. 일반적으로 메타분석에 포함되는 연구들에서 진단 정확성의 변동이 크지 않 은 경우에 요약추정치를 제시하며, 변동이 큰 경우에는 요약곡선을 제시하게 된다. 상 호보완적인 정보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요약추정치와 요약곡선을 모두 제시하는 경우도 있지만 변동이 큰 경우의 요약추정치는 의미가 없으며, 변동이 작은 경우에는 요약곡선 이 잘 추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진단 정확성의 변동은 연구들이 유사한 역치를 사용하는 경우 작게 나타나며, 연구마다 다양한 역치가 사용되는 경우 크게 나 타난다.

AHRQ (2012)에서는 여러 가지 진단 정확성 척도의 요약추정치를 각각 산출하는 경 우, 관련공식에 의해 산출되는 값과 요약추정치 사이에 불일치(inconsistency)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한 가지 척도의 요약추정치를 바탕으로 관련공식을 이용하여 기타 척도 를 추정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특히 역치 효과 판단이 용이하며 유병률과 독립이라 는 점에서 민감도와 특이도의 요약추정치를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에 본 책자 에서는 진단 정확성에 대한 척도로써 민감도와 특이도를 동시에 고려하는 메타분석 방 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140

그림 2-1 Obtaining summary (overall) metrics for medical test performance(출처: AHRQ 2012)

진단 정확성 관련공식

 PrPr    Pr 

   Pr  Pr  Pr

 

  



* P r  : 유병률

141 표 2-1 진단정확성 척도 특성

척도 특성

민감도/특이도

⋅역치효과 판단용이

⋅유병률과 독립

⋅공식을 이용하여 기타 척도 추정 가능

양성/음성 예측도 ⋅유병률에 종속

⋅case-control 디자인 연구에서는 추정이 불가능 우도비 ⋅불일치성 발생 (0∼1을 벗어난 요약 민감도와 특이도)

진단 오즈비

⋅중재법에서의 메타분석 방법 적용 가능

⋅이질성 검토를 위해 중재법에서 활용하는 통계량( 등) 활용가능

⋅메타회귀모형에 설명변수들을 포함하여 이질성 설명이 용이

⋅해석의 어려움

문서에서 진단 검사 체계적 문헌고찰 (페이지 161-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