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보고서 작성

문서에서 진단 검사 체계적 문헌고찰 (페이지 151-155)

진단 검사의 체계적 문헌고찰

C- EBLM (Committee on

1.10. 보고서 작성

요 약

◦ 체계적 문헌고찰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할 때는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의 보고지침 체크리스트 항목을 참고 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한다. 다만, 진단 검사 문헌의 대부분이 관찰연구인 점 을 고려하여 관찰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보고지침인 MOOSE(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체크리스트(Stroup, 2000)도 참고할 수 있다.

◦ 보고서 작성은 체계적 문헌고찰의 명확성 및 재현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하지만 보고서나 본문에 모든 내용을 기록할 수 없을 경우, 부록을 이용하여 상세 내용을 보고하도록 한다.

1.10.1. 보고 지침

진단 검사의 체계적 문헌고찰도 PRISMA 보고지침을 참고하여 질 좋은 보고서를 작 성하도록 한다. PRISMA는 27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고서의 완결성을 높이기 위해 체크리스트 항목을 사용하면서 수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다만, PRISMA는 무 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만 포함한 체계적 문헌고찰 위주로 체크리스트가 작성되었기 때 문에 진단 검사의 체계적 문헌고찰의 경우 진단 정확성뿐 아니라 임상적 효과까지 검토 하는 고찰일 경우, 대부분 관찰연구 유형에 해당하므로 검색방법, 자료추출, 비뚤림 위 험 평가, 자료합성 등이 다를 수 있지만 투명하고 명확하게 과정과 결과를 제시한다는 원칙하에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한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2011년 PRISMA 보고지침 사용을 승인하였으며 중재법에 대한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에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이를 참고하기 바란다.

다만, 진단 검사 문헌의 대부분이 관찰연구인 점을 고려하여 관찰연구에 대한 메타분 석 보고지침인 MOOSE(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체크리스트(Stroup, 2000)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130

131

구분 세부구분 주요 내용 비고

결론 결론 ‧ 핵심질문에 대한 최선의 답변(통 합적 결론)

‧ 대답을 요구한 질문에 대한 명확하고 통합 적인 결론을 제시해야 함

제언 ‧ 임상에서의 실제적 함의 ‧ 임상현장에서 연구결과가 가지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요약함

‧ 답변되지 않은 질문과 향후 연구 에 대한 제언

‧ 현재까지의 근거로 답을 주지 못한 부분을 기술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기술해야 함

참고문헌 및 부록

부록 ‧ 체계적 문헌고찰의 명확성과 재 현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수행 과정의 결과

‧ 부록에는 문헌검색전략의 상세 기록과 질 평가결과 및 근거 요약표, 선택‧배제 문헌 목록 등을 제시할 수 있음

132

NECA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불명열에서 FDG PET/PET-CT의 진단 정확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2012.

NECA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NECA 체계적 문헌 고찰 매뉴얼. 2011. studies of diagnostic accuracy: The STARD Initiativ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3; 138: 40-44.

Bossuyt PM, Reitsma JB, Bruns DE, Gatsonis CA, Glasziou PP, Irwig LM, Moher D, Rennie D, de Vet HC, Lijmer JG. The STARD statement for reporting studies of diagnostic accuracy: explanation and elaboration.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3; 138: W1-12.

Bossuyt PM, Irwig L, Craig J, Glasziou P. Comparative accuracy: assessing new tests against existing diagnostic pathways. BMJ 2006; 332: 1089-1092.

Bossuyt PM, Leeflang MM. Chapter 6: Developing criteria for including studies. In: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Diagnostic Test Accuracy. Version 0.4.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08.

문서에서 진단 검사 체계적 문헌고찰 (페이지 151-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