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p>.05)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그릿은 자율성이 스마 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라는 <가설 5-1>은 채택되지 않 았다.

<표 4-20> 자율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그릿의 조절효과

* p<.05, ** p<.01, *** p<.001

(2) 유능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그릿의 조절효과

유능성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표 4-21>과 같다. 1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유능성을 투입하고, 2단계에서는 조절변수인 그릿을 추가로 투입하 였으며,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유능성과 조절변수인 그릿을 곱한 상호작용항 을 추가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것이다. 다중공선성 문제를 진 단한 결과 다중공선성은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더빈 왓슨의 통계량 은 1.888로 자기상관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제3 단계에서 R2변화량이 .002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유능성과 그릿의 상호작용항(β=-.050, p>.05)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 게 나타났다. 따라서 ‘그릿은 유능성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 할 것이다.’라는 <가설 5-2>은 채택되지 않았다.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β t β t β t

립 자율성 -.166 -3.359*** -.106 -2.157* -.114 -2.289*

절 그릿 -.248 -5.032*** -.250 -5.071***

상호

작용 자율성 x 그릿 -.059 -1.213

R2 .027 .085 .089

R2변화량 .058*** .004

F 11.284*** 18.645*** 12.935***

<표 4-21> 유능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그릿의 조절효과

* p<.05, ** p<.01, *** p<.001

(3) 관계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그릿의 조절효과

관계성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표 4-22>와 같다. 1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관계성을 투입하고, 2단계에서는 조절변수인 그릿을 추가로 투입하 였으며,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관계성과 조절변수인 그릿을 곱한 상호작용항 을 추가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것이다. 다중공선성 문제를 진 단한 결과 다중공선성은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더빈 왓슨의 통계량 은 1.998로 자기상관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제3 단계에서 R2변화량이 .009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관계성과 그릿의 상호작용항(β=.096, p<.05)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따라 서 ‘그릿은 관계성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라는

<가설 5-3>은 채택되었다. 상호작용의 세부적인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 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호작용 회귀선을 확인한 결과 <그림 4-3>과 같은 그 래프로 나타났다. 그릿이 높은(상) 집단은 그릿이 낮은(하) 집단에서보다 관계 성로 인해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가는 정도가 더 작았다. 그릿이 높으면 관계성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β t β t β t

립 유능성 -.361 -7.731*** -.309 -6.472*** -.312 -6.537***

절 그릿 -.188 -3.948*** -.189 -3.956***

상호

작용 유능성 x 그릿 -.050 -1.087

R2 .130 .163 .165

R2변화량 .033*** .002

F 59.769*** 38.767*** 26.250***

이 높아도 스마트폰 과의존이 덜 상승되었다.

<표 4-22> 관계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그릿의 조절효과

* p<.05, ** p<.01, *** p<.001

<그림 4-3> 관계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그릿의 조절효과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β t β t β t

립 관계성 .113 2.279* .140 2.926** .134 2.795**

절 그릿 -.287 -5.989*** -.291 -6.107***

상호

작용 관계성 x 그릿 .096 2.025*

R2 .013 .094 .103

R2변화량 .081*** .009*

F 5.195* 20.756*** 15.311***

(4) 자율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 그릿의 조절효과

자율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 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표 4-23>과 같다. 1단계에서는 독 립변수인 자율성을 투입하고, 2단계에서는 조절변수인 그릿을 추가로 투입하였 으며,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자율성과 조절변수인 그릿을 곱한 상호작용항을 추가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것이다. 다중공선성 문제를 진단한 결과 다중공선성은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더빈 왓슨의 통계량은 1.919로 자기상관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제3단 계에서 R2변화량이 .002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자율성과 그릿의 상호작용항(β=.037, p>.05)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 게 나타났다. 따라서 ‘그릿은 자율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라는 <가설 6-1>은 채택되지 않았다.

<표 4-23> 자율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 그릿의 조절효과

* p<.05, ** p<.01, *** p<.001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β t β t β t

립 자율성 .342 7.270*** .223 5.364*** .219 5.214***

절 그릿 .496 11.905*** .494 11.887***

상호

작용 자율성 x 그릿 .037 .914

R2 .117 .348 .350

R2변화량 .232*** .002

F 52.859*** 106.599*** 71.315***

(5) 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 그릿의 조절효과

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 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표 4-24>와 같다. 1단계에서는 독 립변수인 유능성을 투입하고, 2단계에서는 조절변수인 그릿을 추가로 투입하였 으며,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유능성과 조절변수인 그릿을 곱한 상호작용항을 추가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것이다. 다중공선성 문제를 진단한 결과 다중공선성은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더빈 왓슨의 통계량은 1.847로 자기상관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제3단 계에서 R2변화량이 .001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유능성과 그릿의 상호작용항(β=.034, p>.05)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 게 나타났다. 따라서 ‘그릿은 유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라는 <가설 6-2>는 채택되지 않았다.

<표 4-24> 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 그릿의 조절효과

* p<.05, ** p<.01, *** p<.001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β t β t β t

립 유능성 .376 8.122*** .243 5.813*** .240 5.730***

절 그릿 .482 11.519*** .481 11.510***

상호

작용 유능성 x 그릿 .034 .851

R2 .142 .356 .357

R2변화량 .214*** .001

F 65.960*** 110.187*** 73.649***

(6) 관계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 그릿의 조절효과

관계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 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표 4-25>와 같다. 1단계에서는 독 립변수인 관계성을 투입하고, 2단계에서는 조절변수인 그릿를 추가로 투입하였 으며,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관계성과 조절변수인 그릿을 곱한 상호작용항을 추가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것이다. 다중공선성 문제를 진단한 결과 다중공선성은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더빈 왓슨의 통계량은 1.930로 자기상관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제3단 계에서 R2변화량이 .000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관계성과 그릿의 상호작용항(β=.001, p>.05)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 게 나타났다. 따라서 ‘그릿은 관계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라는 <가설 6-3>는 채택되지 않았다.

<표 4-25> 관계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 그릿의 조절효과

* p<.05, ** p<.01, *** p<.001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β t β t β t

립 관계성 .176 3.581*** .126 3.032** .126 3.021**

절 그릿 .537 12.924*** .537 12.890***

상호

작용 관계성 x 그릿 .001 .019

R2 .031 .317 .317

R2변화량 .286*** .000

F 12.821*** 92.588*** 81.571***

(7) 스마트폰 과의존과 주관적 안녕감 간 그릿의 조절효과

스마트폰 과의존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표 4-26>과 같다. 1단계 에서는 독립변수인 스마트폰 과의존을 투입하고, 2단계에서는 조절변수인 그릿 을 추가로 투입하였으며,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스마트폰 과의존과 조절변수 인 그릿을 곱한 상호작용항을 추가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것이 다. 다중공선성 문제를 진단한 결과 다중공선성은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더빈 왓슨의 통계량은 1.997로 자기상관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제3단계에서 R2변화량이 .014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과의존과 그릿의 상호작용항(β=.121, p<.01)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따라서 ‘그릿은 스마트폰 과의존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라는 <가설 7>은 채택되었다.

<표 4-26> 스마트폰 과의존과 주관적 안녕감 간 그릿의 조절효과

* p<.05, ** p<.01, *** p<.001

상호작용의 세부적인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 호작용 회귀선을 확인한 결과 <그림 4-4>와 같은 그래프로 나타났다. 그릿이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β t β t β t

립 스마트폰 과의존 -.207 -4.233*** -.112 -2.190* -.097 -2.156*

절 그릿 .532 12.259*** .522 12.082***

상호 작용

스마트폰 과의존

x 그릿 .121 2.814**

R2 .043 .305 .318

R2변화량 .262*** .014**

F 17.921*** 87.449*** 61.951***

높은(상) 집단은 그릿이 낮은(하) 집단에서보다 스마트폰 과의존이 주관적 안녕 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더 작았다. 그릿이 높으면 스마트폰 과의존이 되 어도 주관적 안녕감은 덜 저하되었다.

<그림 4-4> 스마트폰 과의존과 주관적 안녕감 간 그릿의 조절효과 이상으로 그릿의 조절효과 분석결과를 그림으로 나타내어 보면 <그림 4-5>

에 제시되어 있다.

* p<.05, ** p<.01, *** p<.001 실선은 유의함, 점선은 유의하지 않음

<그림 4-5> 그릿의 조절효과

나.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1) 자율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자율성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확 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표 4-27>과 같 다. 1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자율성을 투입하고, 2단계에서는 조절변수인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추가로 투입하였으며,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자율성과 조절 변수인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곱한 상호작용항을 추가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시행한 것이다. 다중공선성 문제를 진단한 결과 다중공선성은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더빈 왓슨의 통계량은 1.939로 자기상관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제3단계에서 R2변화량이 .016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자율성과 부모-자녀 의사소통 의 상호작용항(β=-.126, p<.05)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따라서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자율성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라는

<가설 8-1>은 채택되었다.

<표 4-27> 자율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 p<.05, ** p<.01, *** p<.001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β t β t β t

립 자율성 -.166 -3.359*** -.139 -2.755** -.148 -2.943**

조 절

부모-자녀

의사소통 -.110 -2.184* -.112 -2.226*

상호 작용

자율성 x 부모-자녀

의사소통 -.126 -2.582*

R2 .027 .039 .055

R2변화량 .011* .016*

F 11.284*** 8.081*** 7.6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