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스마트폰 영향요인 분석

(1) 자율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자율성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표 4-8>과 같 다. 설명력인 R2는 .027이고 그에 따른 통계량 F값이 11.284로 p<.001에서 분석 되어 본 회귀모형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을 나타내는 표준화계수 β값은 -.166(p<.001)로 <가설 1-1>의 ‘자율성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부(-)의 영 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1>은 채택되었다.

<표 4-8> 자율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 p<.001

(2) 유능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유능성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표 4-9>와 같 다. 설명력인 R2는 .130이고 그에 따른 통계량 F값이 59.769로 p<.001에서 분석 되어 본 회귀모형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을 나타내는 표준화계수 β값은 -.361(p<.001)로 <가설 1-2>의 ‘유능성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부(-)의 영 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2>는 채택되었다.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B 표준오차 β

상수 2.706 .178 15.177***

자율성 -.148 .044 -.166 -3.359***

R2=.027 F=11.284***

<표 4-9> 유능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 p<.001

(3) 관계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관계성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표 4-10>과 같 다. 설명력인 R2는 .013이고 그에 따른 통계량 F값이 5.195로 p<.05에서 분석되 어 본 회귀모형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을 나타내는 표준화계수 β 값은 .113(p<.05)으로 유의미하지만 관계성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정(+)의 영향 을 미치므로 <가설 1-3>의 ‘관계성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3>는 채택되지 않았다.

<표 4-10> 관계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 p<.05 *** p<.001

나. 주관적 안녕감 영향요인 분석

(1) 자율성과 주관적 안녕감

자율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표 4-11>과 같다.

설명력인 R2는 .117이고 그에 따른 통계량 F값이 52.859로 p<.001에서 분석되어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B 표준오차 β

상수 3.100 .130 23.788***

유능성 -.280 .036 -.361 -7.731***

R2=.130 F=59.769***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B 표준오차 β

상수 1.836 .126 14.578***

관계성 .082 .036 .113 2.279*

R2=.013 F=5.195*

본 회귀모형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을 나타내는 표준화계수 β값 은 .342(p<.001)로 <가설 2-1>의 ‘자율성은 주관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2-1>은 채택되었다.

<표 4-11> 자율성과 주관적 안녕감

*** p<.001

(2) 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

유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표 4-12>와 같다.

설명력인 R2는 .142이고 그에 따른 통계량 F값이 65.960로 p<.001에서 분석되어 본 회귀모형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을 나타내는 표준화계수 β값 은 .376(p<.001)로 <가설 2-2>의 ‘유능성은 주관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2-2>은 채택되었다.

<표 4-12> 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

*** p<.001

(3) 관계성과 주관적 안녕감

관계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표 4-13>과 같다.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B 표준오차 β

상수 2.089 .205 10.192***

자율성 .367 ..51 .342 7.270***

R2=.117 F=52.859***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B 표준오차 β

상수 2.319 .156 14.853***

유능성 .352 .043 .376 8.122***

R2=.142 F=65.960***

설명력인 R2는 .031이고 그에 따른 통계량 F값이 12.821로 p<.001에서 분석되어 본 회귀모형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을 나타내는 표준화계수 β값 은 .176(p<.001)로 <가설 2-3>의 ‘관계성은 주관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2-3>은 채택되었다.

<표 4-13> 관계성과 주관적 안녕감

*** p<.001

(4) 스마트폰 과의존과 주관적 안녕감

스마트폰 과의존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표 4-14>와 같다. 설명력인 R2는 .043이고 그에 따른 통계량 F값이 17.921로 p<.001에서 분석되어 본 회귀모형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을 나타 내는 표준화계수 β값은 -.207(p<.001)로 <가설 3>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주관 적 안녕감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3>는 채택되었다.

<표 4-14> 스마트폰 과의존과 주관적 안녕감

*** p<.001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B 표준오차 β

상수 3.035 .150 20.171***

관계성 .154 .043 .176 3.581***

R2=.031 F=12.821***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B 표준오차 β

상수 4.088 .129 31.574***

스마트폰 과의존 -.250 .059 -.207 -4.233***

R2=.043 F=17.921***